728x90
반응형

우리가 먹는 김은 왜 김이라고 불리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김은 왜 김이라고 할까

단백질과 비타민이 풍부하게 들어있고
동맥경화, 고혈압, 골다공증
그리고 암을 예방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외국인들에게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하나만 있어도 밥 한공기를 해치워버릴 수 있는 이 반찬은
바로 김입니다

김은 해조류의 한 종류로
살짝 구워서 양념장과 함께 싸먹어도 아주 맛있고
소금을 뿌려 구운 뒤 싸먹어도 아주 맛있고
다른 음식에 추가해 먹어도 아주 맛있고
그냥 먹어도 아주 맛있는 음식입니다

우리는 평소에 김을 먹을 때
이름에 대해 별다른 생각을 하지 않지만
김에 대한 영상을 보고 있는 중이니 한번 생각해봅시다

김은 왜 김이라고 불리는 것일까요



김은 전세계적으로 80종 정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상업적으로 생산되고 판매되는 김은 대부분
한국, 중국, 일본에서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 우리나라의 김은 가장 높은 수출량을 보이고 있죠

그리고 한국, 중국, 일본 중에서 김을 먹은 것 역시
기록상으로는 우리나라가 최초라고 합니다

김에 대한 기록은 삼국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김은 바다 바위에 붙어 자라게 되는데
그 당시 사람들이 이것을 보고 마치 옷을 입은 것 같다고 해서
김을 해의라고 불렀습니다

일연 스님이 제작한 삼국유사를 보면
신라시대때 해의를 먹었다는 기록이 있다곤 하지만
여기서 등장하는 해의가
김을 뜻하는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고 합니다




이후 조선시대로 넘어오면서 해의에 대한 기록
즉 김에 대한 기록이 확실하게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424년에 만들어진 경상도지리지에 등장하기도 하며
1454년에 만들어진 세종실록지리지에
해안 지방의 특산품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며
명나라에 바치는 조공품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합니다

언제부터 해의가 김으로 불렸는지
이것에 대한 기록은 정확하게 남아있지 않지만
몇 가지 설이 존재합니다

 


1640년 조선의 왕이 인조일 때
김여익이라는 사람이 해변에 표류해온 나뭇가지에 해의가 붙어 있는 것을 보고
이것에 영감을 얻어 해의 양식을 처음 시작했다고 합니다

당시 김여익은 해의가 무엇인지 전혀 몰랐다고 하며
양식에 성공했을 때도 음식에 이름을 짓지 않았습니다


이후 이 음식은 인조의 수라상에 올라가게 되었고
인조는 음식을 먹어본 뒤 이름을 물어봤지만
아무도 대답하지 못했습니다

그때 한 신하가
이름은 아직 없고 김 아무개가 만든 음식이라고 말했는데
이것을 들은 인조는
그렇다면 이 음식을 이제부터 김이라고 불러라 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그날부터 해의는 김이라는 음식으로 불리게 된 것이죠



또 김여익이 해의 양식에 성공하고 거래를 할 때
김씨 집안에서 만든 음식이라고 말했기 때문에

그리고 김여익의 양식법 때문에 김 양식이 보급화 되었으니

해의를 김이라고 불렀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김여익은 당시 전라남도 광양에서 김 양식을 시작했는데
이것을 기념하기 위해 광양에는 김시식지가 있으며
전라남도 기념물 제113호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김여익에 대한 이런 기록은
무덤 앞에 세우는 돌인 묘비에 적혀 있다고 하지만
현재 묘비의 행방은 알 수 없고
사본만 남아 김시식지 유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김에 대한 어원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어쨌든 김씨 성을 가진 사람과 관련이 있어서 참 다행입니다

만약 김씨 성이 아니라
조씨 성을 가진 사람이 양식을 했다고 전해져 내려왔다면
오늘날 김은 김이 아니라 조라고 불렸을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즐겨 먹는 이 음식의 이름은
김밥이 아니라 조밥이 되었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