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제를 해결하려 했는데 더 심각해지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포상금을 걸자 오히려 개체가 늘어났다?

어떤 문제가 발생했을 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가
오히려 그 문제를 더 심각하게 만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과거 인도가 영국의 식민지였을 때
너무 많은 코브라 때문에 사람들이 사망하는 사고가 많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영국은
코브라에 포상금을 걸어
코브라를 잡아오는 사람에게 포상금을 줬습니다

이런 정책을 시행했을 때는 분명 효과가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코브라를 잡았고 포상금을 받아 갔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를수록 상황이 이상하게 흘러갔습니다

 


줄었던 코브라의 수가 다시 늘어나게 된 것이죠

코브라의 수가 늘었다는 것은
사람들이 코브라를 잡지 않는다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참 이상하게 포상금을 받아 가는 사람들의 수도 늘어났습니다


영국은 왜 이런 일이 일어나는지를 조사했습니다

그랬더니 일부의 사람들이 야생 코브라를 잡는 것이 아니라
코브라를 사육하고 사육된 코브라를 잡아 보상을 받고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이들은 굳이 힘들게 야생 코브라를 잡아 숫자를 줄이는 것보다
코브라를 키워 잡아가면 계속 돈을 벌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던 것입니다

 


영국은 이 정책이 효과를 보지 못한다고 판단해
코브라를 잡아와도 포상금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바꾸었습니다

이제 사람들은 코브라를 키울 이유가 없어졌습니다
야생의 코브라도 잡을 이유가 없어졌죠

사육하던 코브라는 그대로 방치됐습니다

이것으로 정책을 시행하기 전보다 코브라의 수는 더 많아지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유래해 문제 해결을 위한 시도 때문에
상황이 더 나빠지는 것을 코브라 효과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과거 베트남이 프랑스의 식민지일 때
쥐가 너무 많아 수를 줄이기 위해 포상금을 걸었었습니다

이때 쥐 꼬리를 가져오면 포상금을 줬는데
사람들은 쥐가 사라지면 포상금을 받지 못하게 되니
쥐 꼬리만 자른 뒤 번식할 수 있도록 다시 놓아주었습니다

결국 쥐의 수는 줄어들지 않았고
포상금만 낭비한 셈이 되었습니다

 


과거 우리나라에서 입시 위주의 교육 방식을 바꾸기 위해
수능의 비중을 낮추고 내신의 비중을 높여
공교육을 살리기 위한 정책을 시행했었습니다

하지만 그 결과 사교육에 대한 부담이 더 커졌고
주요 대학들은 변별력을 높이기 위해 논술의 비중을 늘리면서
수험생들은 수능, 내신, 논술을 모두 신경 써야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있었던 부동산 폭등 문제까지
모두 코브라 효과의 예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코브라 효과가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해선
문제를 단순하게 보는 것이 아니라 입체적으로 봐야 한다고 말합니다

코브라가 문제니 코브라를 없애면 되겠다 하는 단순한 생각보다는
어떻게 해야 코브라의 접근을 막을 수 있을 것인지
코브라에게 물렸을 때 더 빠르게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를 생각했다면
더 좋은 결과가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과거에 이렇게 해서 해결이 됐으니 이번에도 될 거야 하는 생각보다는
시대에 맞게 발생할 수 있는 변수들도 생각해야 하고
관련된 여러 전문가들의 말도 많이 들어봐야 하고
반대쪽 의견도 절대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