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치약대신 모래로 양치했던 조선시대(양치의 역사)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모래로 양치를 했던 조선시대

우리가 매일 하는 양치질의 역사는 아주 오래되었지만
지금처럼 칫솔에 치약을 묻히는 방식의 양치질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지금과 같은 형태의 치약은 1890년대에 만들어졌고
지금과 같은 형태의 칫솔은 1930년대에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그 당시까지만 하더라도
칫솔과 치약의 가격이 너무 비싸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지는 못했습니다

1950년대 우리나라에서도 자체적으로 칫솔과 치약을 만들어냈으며
이때부터 양치질이 대중화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칫솔과 치약이 아직 만들어지지도 않았던 조선시대에는
도대체 어떤 방법으로 양치질을 했을까요




과거에는 지금처럼 칫솔과 치약을 이용해 양치를 하지 못했지만
어쨌든 이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지금과 다른 방법으로 양치질을 했습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계란이나 굴 껍데기를 갈아 이를 닦았고
고대 로마에서는 오줌을 이용해 이를 닦았다고 합니다

이때는 칫솔이 없었기 때문에 손가락을 이용해
양치를 하지 않았을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후 시간이 흘러 그럴듯한 모습의 칫솔이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동물 뼈나 나무에 돼지털을 박아 만들기도 했으며
좀 더 부드러운 말의 털을 이용해 만드는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살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버드나무 가지를 이쑤시개처럼 만들어
치아 사이에 낀 음식물을 빼내는 형식으로 양치질을 했습니다

버드나무의 가지를 양지라고 부르는데
과거에는 버드나무를 이용해 양치를 하는 것을 양지질이라고 불렀습니다

이후에 이 단어가 전해져 내려오다가 지가 치로 바뀌었고
이런 행위를 양치질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버드나무는 왕과 양반만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일반 평민들은 지푸라기를 이용해 칫솔처럼 만들어 사용하기도 했고
소금을 이용해 양치질을 했습니다

지금은 소금을 구하는 것이 어렵지 않지만
과거에는 소금은 아주 귀하고 비싼 물건이었습니다

그래서 돈이 없는 일부 사람들은 소금이 아니라
모래를 이용해 양치를 하기도 했습니다

 

 


요즘 만들어지는 모든 치약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치약의 성분으로는 연마제, 불소, 향료, 보존제가 있습니다

여기서 연마제는 이에 붙어있는 플라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당시 모래가 바로 연마제의 역할을 했던 것이죠

이때 너무 굵은 모래를 쓰면 잇몸이 상하거나
이가 손상될 수 있어 고운 모래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서양에서 만든 칫솔과 치약이 들어오게 되면서
양치질에 대한 방법이 현대처럼 바뀌긴 했지만
여전히 돈이 없는 사람들은 지푸라기나 모래를 이용했습니다

앞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1950년대 락희공업사에서
럭키치약이라는 치약을 만들어내면서
많은 사람들이 지금과 같은 양치질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만병통치약 병을 치료하는 마법의 약물 스테로이드의 원리와 부작용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모든 병을 치료하는 마법의 약물

의학 기술은 우리 생각보다 많이 발전했지만
아쉽게도 아직 고칠 수 없는 병이 많이 있습니다

병이 낫지 않고 계속 달고 살아야 하는 경우
이 병을 고칠 수 없다는 정신적 고통 이외에도
염증 작용으로 인한 물리적 고통을 자주 경험하게 됩니다

이런 통증이 심해지면 생활하는데 불편하기도 하고
잠을 자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를 먹습니다

하지만 병에 따라 진통제가 큰 효과를 주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서
통증이나 염증을 없애기 위해

다른 약물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곤 합니다



스테로이드라고 하면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이나
근육을 키우기 위해 필요한 호르몬
두 가지가 대표적이지만

스테로이드는 물질의 집합체를 말하는 것으로
세부적으로 나누면 훨씬 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콜레스테롤, 당질 코르티코이드, 성 호르몬, 아나볼릭)


이번 영상에서는 염증을 없애는 데 도움을 주는 스테로이드인
코르티솔 스테로이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코르티솔은 부신피질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되면 몸이 이것에 대항할 수 있도록
맥박과 호흡을 증가시키고 혈압과 포도당의 수치를 높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통증이 있는 상황에도 분비되는데
염증을 줄이고 통증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하게 됩니다

코르티솔 스테로이드는 코르티솔 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할 수 있게 만들어낸 약물로
크게 먹는 약, 주사, 바르는 약으로 나누어지며
이것을 통틀어 스테로이드제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스테로이드제는 염이 들어가는 병
관절염, 결막염, 근막염, 위염, 장염 같은 것들
피부, 호흡기, 알레르기, 암 관련 질환에서
효과를 볼 수 있고

흡수가 빠른 만큼 효과도 빠르게 나타나서
마법의 약물로 불리기도 합니다



몸에 문제가 생기면 면역세포가 해당 부위로 이동해
세균과 싸우면서 치료를 시작합니다

이러는 과정에서 피부가 빨갛게 붓거나 열이 나고 통증이 생기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염증이죠

염증 반응은 면역세포가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아주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하지만 이것이 아주 오래되거나 이상이 없는 곳에 발생하면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이런 상황을 만성염증이라고 합니다

 


면역세포 중 일부는 치료하는 과정에서
몸에 있는 이로운 세포를 공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이 지속되면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더 큰 문제로 발전하게 됩니다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바로 코르티솔 스테로이드입니다


스테로이드가 몸에 들어오면
면역세포가 문제가 생긴 곳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게 됩니다

염증 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억제하고
관련된 세포가 활성화되지 않도록 만들어줍니다



하지만 스테로이드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몸의 면역체계가 억제되기 때문에
약을 끊었을 때 관련된 문제가 더 심해지는 리바운드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세균에 의한 감염에 쉽게 노출될 수 있고
골다공증이 생기거나 근육이 약해지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소화 관련 문제가 생기거나 몸무게가 늘기도 하며 여드름 같은 부작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의해서만 사용해야 하며
비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구입, 사용하는 것은 금지해야 합니다


단백동화 스테로이드와 마찬가지로
코르티솔 스테로이드의 발견은 혁명과도 같았습니다

거의 만병통치약인 것처럼 대부분의 병에 사용할 수 있었으니까요

미래 의학은 스테로이드를 얼마나 잘 쓰느냐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치료할 수 없던 병을 치료하게 된다면
우리의 평균 수명도 많이 올라가게 되겠죠

부디 더 안전한 스테로이드가 만들어져
모든 사람들이 아프지 않고 오래오래 살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길치가 길을 잘 찾지 못하는 과학적인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당신이 길치인 과학적인 이유

낯선 곳에 갔을 때 길을 잘 찾지 못하는 사람
아니 익숙한 곳이라고 하더라도
목적지에 도착하는 것이 쉽지 않은 사람

이런 사람을 우리는 길치라고 부릅니다

길치는 아무리 자주 다니는 곳이라고 하더라도
방식이 조금만 달라져도 길을 찾지 못하고
거꾸로 되돌아가야 하는 경우
처음 와본 곳인 것처럼 느껴지고

낮에 보는 길과 밤에 보는 길이 다르게 느껴지는 사람들입니다

목적지에 도착하기까지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을 답답하게 만들죠

 


길을 찾는 능력, 위치, 방향, 거리에 대한 정보는
뇌가 얼마만큼 일을 잘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결정됩니다

우리가 보는 모든 것들은 단기기억으로 저장됩니다
이후 해마에 의해 단기기억은 장기기억으로 바뀌고
대뇌피질에 저장됩니다

저장된 기억이 필요한 상황이 되면
해마는 기억을 꺼내 우리가 행동할 수 있게 합니다


과거에는 길을 찾는 것도 이와 같은 원리일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해마는 공간을 기억하는 역할도 같이 하기 때문이죠

1971년 신경 과학자인 존 오키프는 쥐 실험을 통해
길을 찾는 데 도움을 주는 신경 세포가 해마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늘 가는 길이 익숙한 이유는
그 장소를 신경 세포가 기억하고 있기 때문인 것이죠

그래서 이 세포를 장소 세포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집에서 나와 버스 정류장까지 간다고 하면
집 현관에서 나오는 순간에는 집 현관과 관련이 있는 장소 세포가 활성화 되고
특정 건물을 지나면 특정 건물과 관련이 있는 장소 세포가 활성화 되면서
여기가 어디인지
목적지에 도착하기 위해 어디로 가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됩니다

장소 세포는 설치류뿐만 아니라 박쥐, 원숭이 그리고 인간을 포함한
다양한 동물에서 발견됐다고 합니다


2005년 신경 과학자인 마이브리트 모세르와 에드바르 모세르는
해마 옆에 존재하는 내후각 피질에서 길을 찾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또 다른 세포를 쥐 실험을 통해 발견했습니다

이 세포가 활성화되는 모습을 관찰해보니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무늬를 그린다고 해서
격자 세포라고 부릅니다

격자 세포는 내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
특정 장소로부터 얼마나 왔는지 알 수 있게 해줍니다

뇌가 장소를 구역으로 나눠
머릿속에 기억하고 있다는 뜻이죠

 


쉽게 말해 장소 세포가 특정 장소 즉 맵을 그려준다면
격자 세포는 맵에 좌표를 찍어준다는 것입니다

우리 뇌 속에 스마트폰 지도와 GPS가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발견 덕분에 오키프와 모세르 부부는
2014년 노벨상을 받기도 했습니다


길을 찾을 때 장소 세포와 격자 세포가 정보를 주고받게 되며
길을 잘 찾는 사람은 이들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고 있다는 뜻이고
길을 잘 찾지 못하는 길치는
이들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뜻입니다

알츠하이머에 걸린 사람은 잘 다니던 길을 가다가도
갑자기 잃어버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이유는 장소 세포와 격자 세포가 손상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 세포의 발견은 길치를 치료하거나
알츠하이머, 인지능력 장애를 치료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