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아이스크림의 절반은 공기로 이루어져 있다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아이스크림의 절반은 공기라고?

아이스크림을 좋아하시나요?

저는 초코나 바닐라 같은 맛 보다는

딸기나 레몬 같은 상큼한 맛을 선호하는 편입니다

 

아이스크림은 여름에 많이 먹게 되는 간식이긴 하지만

얼어 죽어도 아이스 아메리카노는 포기할 수 없는 것처럼

춥지만 겨울에도 많이 먹는 간식이기도 합니다

 

 

밥을 먹기 전 출출할 때 먹는 간식

밥을 먹은 뒤 입가심으로 먹는 후식

참 여러가지가 있지만 아이스크림은 모두가 좋아하는

호불호가 딱히 갈리지 않는 음식입니다

 

초코, 바닐라부터 과일맛까지

여러가지 맛이 있긴 하지만

단맛이 기본이 되기 때문에 설탕이 가장 중요한 재료라고 생각될 수 있지만

아이스크림을 만드는데 설탕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공기라고 합니다

 

아이스크림의 주 재료가 되는 것은

크림, 우유, 설탕입니다

 

아이스크림을 만들기 위해선 이런 재료들을 한곳에 넣고 섞어줍니다

이렇게 재료를 섞어줄 때 공기도 같이 들어가게 섞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우리는 매일 공기를 마시고 있지만

맛도 없고 향도 없기 때문에

공기를 마신다는 것을 느끼지 못합니다

 

하지만 공기는 아이스크림의 맛을 결정짓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재료들과 함께 공기를 섞은 뒤

얼려주게 되면 재료의 부피가 늘어나게 됩니다

 

이것을 오버런이라고 하는데

재료의 양만큼 공기를 넣는다면 오버런 100%라고 말합니다

 

즉 재료의 양을 100이라고 했을 때 공기의 양도 100이라면 오버런 100%인 것이고

오버런 90%라면 재료의 양이 100일 때 공기의 양은 90이라는 뜻입니다

 

소프트 아이스크림처럼 부드러운 아이스크림은

공기가 많이 들어간 아이스크림이고

 

바 형태의 딱딱한 아이스크림은

공기가 적게 들어간 아이스크림입니다

 

오버런이 높은 아이스크림은 맛과 향이 가벼워지고

오버런이 낮은 아이스크림은 상대적으로 맛과 형이 풍부해집니다

 

마트에서 판매하는 일반적인 아이스크림의 경우

오버런 80~100%로 만든다고 합니다

 

오버런이 100%라면 재료의 100%만큼 공기가 들어갔다는 뜻이니까

이런 아이스크림을 먹는다면

절반은 재료를 먹는 것이고 절반은 공기를 먹게되는 것입니다

 

만약 오버런 50%의 아이스크림이 있다면

원재료의 절반만이 공기라는 뜻입니다

 

오버런 100%의 아이스크림보다 재료가 훨씬 더 많이 들어갔다는 뜻으로도 생각해볼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이런 아이스크림의 경우 값이 비싸지게 됩니다

 

하겐다즈나 젤라토는 다른 아이스크림에 비해 양은 적지만

가격은 훨씬 비쌉니다

 

이런 이유는 하겐다즈나 젤라토는 오버런이 낮기 때문입니다

오버런이 낮으면 재료가 더 많이 들어갔다는 뜻이니까

맛이 더 풍부해지게 되고

가격이 비쌀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과거나 지금이나 공기를 사먹는다는 생각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

물론 미래가 되면 모르겠지만 아직까지 누군가 공기를 판다고 하면

미친사람이라는 소리를 듣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알게 모르게 공기를 사먹고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타투는 왜 지워지지 않고 영원히 남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타투가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 이유

혹시 타투가 있거나 앞으로 타투를 계획하고 있는 분들이 계신가요?

 

저는 대학교 다닐 때 타투를 해볼까 하는 생각을 하긴 했지만

뭔가 무서워서 미루다보니 시간이 많이 지나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물론 그때 했어도 지금 후회는 하지 않았을 것 같긴 합니다

 

타투는 영원히 지워지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하고싶어도 하지 못하는 사람들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https://youtu.be/gAQ_Or5FTOk

과거 문자가 없었을 때

동굴에 벽화를 그리던 것까지 포함을 한다면

 

그림을 그리는 것은 인류와 함께 시작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림을 잘 그리는 것은 어렵지만

도구만 있다면 어디에나, 어디서나, 누구나 그릴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수업시간, 회의시간 지루할 때 낙서를 하고 졸라맨을 그리는 것도

그림이라고 할 수 있죠

 

그림의 역사가 오래된 만큼 타투의 역사도 아주 오래되었습니다

 

과거 문명이 발달하지 않았을 때 타투는

신분을 나타내거나 주술적인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문명이 조금 발달했을 때는

타투는 야만인들이나 하는 것이라고 생각했고

죄인이나 노예에게 낙인을 새기는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현대에 와서 타투는 하나의 예술로 자리잡게 되었지만

일탈을 표현하거나 범죄자들이 많이 사용하게 되면서

긍정적인 이미지보다 부정적인 이미지가 훨씬 더 강했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타투를 하는 것에 대한 이미지가 많이 바뀌었습니다

흉터를 가리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고

간단한 문구나 이미지를 그리면서 자신을 표현하고

하나의 멋으로, 예술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이 있죠

 

사람의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표피는 생성과 탈락을 계속 반복합니다

 

표피에 타투를 하게 된다면 시간이 지나 표피가 탈락할 때

타투도 같이 탈락하게 될 것입니다

 

타투는 잉크가 묻은 바늘을 피부에 찔러넣는데

이 바늘은 1분에 수천번 이상 왕복하게 됩니다

 

앞에서도 말한 것처럼 잉크를 표피에 새긴다면 금방 사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타투를 할 때는 표피가 아니라 진피에 잉크를 새기게 됩니다

 

그래서 시간이 지나 표피가 탈락해도 타투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우리 몸속에 어떤 이물질이 들어오면

몸은 이것을 유해한 물질이라고 판단해

면역세포를 이용해 이 물질을 제거하려고 합니다

 

이때 명령을 받고 출동하는 세포가 바로 대식세포입니다

 

대식세포는 유해한 물질을 잡아먹고 분해한 뒤

림프절로 돌아가 몸의 면역체계를 강화합니다

 

타투를 해서 몸에 잉크가 들어오면

대식세포는 잉크를 잡아먹습니다

 

그런데 대식세포에게는 잉크를 분해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잉크를 분해하지 못하고 림프절로 돌아가지 못하게 됩니다

 

잉크가 계속 들어오면 대식세포가 계속 만들어지고

대식세포는 잉크를 먹지만 분해할 능력이 없으니 그 자리에 머무르게 됩니다

 

잉크에 의해 대식세포는 염색이 되고

잉크가 몸 밖으로 배출되지 못해 피부에 계속 남게 됩니다

 

그래서 타투의 모양이 유지되는 것이죠 

 

시간이 지나 대식세포의 수명이 다해 죽게 되면

다른 대식세포가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됩니다

 

죽은 대식세포가 남긴 잉크를 새로운 대식세포가 먹게 되고

역시 분해할 능력이 없으니 림프절로 돌아가지 못하게 그 자리에 계속 머무르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도 타투는 지워지지 않고

영원히 피부에 남게 되는 것입니다

 

즉 타투는 잉크가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라

잉크 때문에 염색된 대식세포가 눈에 보이는 것입니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 림프절로 돌아가는 대식세포가 생기기도 하고

대식세포가 죽을 때 다른 대식세포가 잉크를 먹지 못해

몸 밖으로 배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 타투가 점점 연해지는 것이죠

 

타투를 지우기 위해선 레이저를 이용해 대식세포를 터트려야 합니다

대식세포가 터지면서 잉크도 같이 터지게 되고

미세한 잉크 입자들은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터진 잉크 역시

다른 대식세포가 와서 먹는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타투를 지우는 일은 아주아주 어려운 것입니다

 

그래서 한번에 지우지 못하고 몇번이나 지우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입니다

 

타투를 하는 것에 대한 인식이

과거보다 많이 좋아지긴 했지만

 

타투를 하게 된다면 영원히 남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혹시 생각이 바뀌어 지운다고 하더라도

지우는 것은 아주 어렵고 지워도 흔적이 남기 때문에

 

항상 신중하게 선택한 뒤 타투를 해야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겨울에 에어컨 틀고 30도로 맞추면 따뜻해질 수 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겨울에 에어컨을 틀면 따뜻해질까?

겨울은 추운 계절입니다

그런데 이상하게 올해는 그렇게 춥지 않군요

 

물론 춥지 않아서 생활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지만

그래도 겨울이 춥지 않다는 것은 어떤 문제가 있다는 뜻이죠

 

개구리가 벌써 깨어나기도 했고

꽃이 피는 곳도 있다고 하니.. 걱정이 됩니다

 

 

겨울은 원래 춥습니다

그게 정상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추운곳에서는 생활할 수 없기 때문에

보일러처럼 따뜻하게 해줄 수 있는 어떤 것을 작동시킵니다

 

반대로 여름은 덥습니다

 

역시 우리는 더운곳에서는 생활할 수 없기 때문에

에어컨처럼 차갑게 해줄 수 있는 어떤 것을 작동시킵니다

 

에어컨의 온도는 16도까지 떨어지기도 하며

최고 온도는 30도까지 올라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겨울철 온도는 영하로 떨어질 때도 있고

보통 한자릿수를 기록하는데

 

그렇다면 이렇게 추운 겨울에 에어컨의 온도를 30도로 맞춰놓는다면

방안이 따뜻해질 수 있을까요?

 

어떤 물질의 상태가 변하면

즉 고체에서 액체, 액체에서 기체가 되면

주변에 있는 열을 흡수하게 됩니다

 

그리고 반대로 기체에서 액체, 액체에서 고체가 되면

가지고 있던 열을 방출하게 되죠

 

이때 고체에서 액체로 될 때 흡수하는 열을 융해열이라고 하고

액체에서 기체로 될 때 흡수하는 열을 기화열이라고 합니다

 

에어컨은 기화열을 이용해 작동하는 기계입니다

 

에어컨을 작동하기 위해선

아주 약간의 압력 조절만으로도 액체에서 기체로 기체에서 액체로 변할 수 있는 물질이 필요합니다

 

이것을 냉매라고 하는데 우리는 흔히 에어컨 가스라고 부릅니다

 

에어컨은 크게 압축기, 응축기(실외기), 팽창밸브, 증발기(실내기)로 나눠집니다

 

먼저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기체상태의 냉매가 압축기로 이동합니다

 

압축기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럼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냉매의 온도가 올라가게 됩니다

 

이때 냉매의 온도는 80도 이상이며 100도까지 올라가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온도가 올라간 기체 상태의 냉매는 응축기로 이동합니다

 

여름철 바깥의 온도는 30도 이상이라 우리가 생활하기엔 더운 날씨지만

100도인 냉매에게는 시원한 날씨입니다

 

그래서 응축기를 통과하다보면 밖의 온도 때문에 냉매의 온도가 내려가게 됩니다

 

온도가 내려가면 압력도 낮아지게 되는데

앞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냉매는 작은 압력의 변화만으로도 상태가 변하게 됩니다

 

기체였던 냉매는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액체로 변하게 됩니다

 

기체에서 액체로 변하면 열을 방출하게 됩니다

이때 방출된 열은 응축기에 있는 팬에 의해 밖으로 내보내집니다

 

그래서 실외기에서 뜨거운 바람이 나오는 것입니다

 

 

액체로 변한 냉매는 온도가 낮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뜨거운 상태입니다

이제 냉매는 팽창밸브로 이동합니다

 

팽창밸브는 냉매가 통과하는 통로가 갑자기 좁아졌다 넓어지는 곳입니다

 

통로가 좁아졌다 넓어지면 통과하는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게 됩니다

속도가 빨라지면 압력이 낮아집니다(베르누이의 효과)

그럼 온도도 낮아지게 되죠

 

이렇게 통로를 이용해 온도를 낮추는 것을 교축이라고 합니다

 

온도가 낮아진 냉매는 이제 증발기로 이동합니다

이때 냉매는 기체로 변하진 않았지만 기체로 변하기 쉬운 상태가 됩니다

 

증발기로 이동한 냉매는 방 안의 뜨거운 공기와 만나게 됩니다

 

뜨거운 공기 덕분에 냉매는 증발이 일어나게 되고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게 됩니다

 

액체에서 기체로 변하려면 기화열이 필요하기 때문에

주변에 있는 뜨거운 공기에서 열을 빼앗아갑니다

 

그럼 주변의 뜨거운 공기의 온도가 내려가게 되죠

 

온도가 내려간 공기는 증발기에 있는 팬에 의해 실내로 방출됩니다

그래서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찬바람이 나오는 것입니다

 

차가운 기체가 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로 이동합니다

그럼 압축기는 냉매의 압력을 높혀서 다시 뜨거운 기체로 만들죠

 

이런 과정을 반복해 주변의 뜨거운 공기를 모두 차가운 공기로 바꾸는 것이

에어컨의 작동 원리입니다

 

즉 에어컨은 기계 자체에서 차가운 바람을 내보내는 것이 아니고

주변에 있는 뜨거운 공기를 차가운 공기로 바꿔 내보내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주변에 뜨거운 공기가 없다면

에어컨은 작동하지 않게 됩니다

 

겨울철 집안의 온도는 에어컨을 켜놓은 것처럼 춥습니다

 

이럴때 에어컨을 작동시키면 실외기가 작동하지 않으니

선풍기를 켜놓은 것처럼 바람만 나올 뿐입니다

 

희망 온도를 30도로 올려놓는다고 해도

에어컨에는 뜨거운 공기를 차갑게 바꾸는 기능만 있기 때문에

방 안의 온도를 올릴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에어컨의 이런 원리를 반대로 적용하면

실내기가 실외기가 되고 실외기가 실내기가 되면

 

에어컨을 작동시켰을 때 뜨거운 바람이 나올 수 있습니다

그럼 반대로 실외기에서는 차가운 바람이 나오게 됩니다

 

이런 기능이 있는 에어컨을 작동시킨다면

겨울에 에어컨을 틀어 방 안을 따듯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런 기능이 없는 에어컨이라면

아무리 온도를 높힌다고 해도

방 안을 따뜻하게 만드는 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