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야광은 어떻게 어둠 속에서도 빛을 낼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어떻게 어둠 속에서도 빛을 낼까

 

어두운 곳에서도 빛을 내는 현상 혹은 물건을 야광이라고 합니다

요즘도 야광을 가지고 노는지 잘 모르겠지만
제가 어렸을 땐 방에 불을 끄고 이불 속으로 들어가
어둠속에서도 밝게 빛나는 야광 장난감을 가지고 놀기도 했습니다

스티커로 된 형태도 있어서 방 천장에 붙여 놓고
야광 스티커를 보며 잠에 들기도 했죠


물질을 이루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를 원자라고 합니다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자는 원자핵 주변을 돌고 있는데
외부의 자극 없이 안정적인 상태를 바닥상태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원자에 자극이 가해지면 전자가 에너지를 가진채
궤도를 벗어나게 되는데 이것을 들뜬상태라고 하죠

 


들뜬상태의 원자는 다시 안정적인 상태인
바닥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들뜬상태에서 바닥상태로 돌아가면
가지고 있던 에너지를 방출하게 되죠

야광은 바로 이런 원리로 빛을 내는 것입니다



야광물질에 빛을 쪼이면 들뜬상태가 되는데
들뜬상태가 되면 전자는 빛을 흡수해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빛이 사라지면 바닥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전자는 흡수했던 빛을 다시 방출하게 됩니다

그런데 야광물질은 바닥상태로 돌아가는 과정이
아주 천천히 일어납니다

전자가 원래 위치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빛을 계속 방출하기 때문에
우리는 어둠속에서도 빛을 내는 장난감이나 스티커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결국 야광을 보기 위해선 들뜬상태로 만들어줘야 하기 때문에
빛을 충전해주는 과정을 거치는 것입니다

야광물질과 다르게 바닥상태로 돌아가는 과정이 빠른 물질도 있습니다
이것을 형광물질이라고 하죠


형광물질은 어둠속에서 빛을 내진 못하지만
빛이 있는 환경에서 더 밝게 빛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언가를 강조할 때 사용되는 형광펜이나
어둠속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이 입는 안전조끼는
바로 이런 원리를 이용해 만들어집니다



축제나 콘서트장에서는 별다른 장치가 없어도 빛을 내는
야광팔찌를 사용하곤 합니다

야광팔찌에는 다이페닐 옥살레이트라는 형광물질과
과산화수소가 들어있는데
다이페닐 옥살레이트는 야광팔찌 속 얇은 유리관에 담겨 있습니다


야광팔찌를 구부리면 빛이 나는데
팔찌를 구부리면 유리관이 깨져
다이페닐 옥살레이트와 과산화수소가 만나
화학반응이 일어나 빛을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팔찌를 구부릴 때 뚜둑하는 소리가 나는데
이것은 얇은 유리관이 깨지는 소리입니다

야광팔찌는 장난감이나 스티커와 다르게 일회용인데
이것은 팔찌에 있는 다이페닐 옥살레이트가 화학반응이 일어나
소모되었기 때문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100도의 끓는 물에는 화상을 입는데 100도의 사우나는 왜 괜찮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똑같이 100도인데 사우나는 왜 괜찮을까

 

살짝 배가 고프니까 라면을 하나 먹어야겠습니다
라면을 먹으려면 물을 끓여야 하죠

물이 끓을 때 온도는 100도입니다

혹시 뜨끈함을 느끼기 위해서
이 물에 손을 넣어보실 분 계시나요?

아마 아무도 없을 것입니다
손을 넣는 순간 우리는 화상을 입을 테니까요

그렇다면 뜨끈하다고 해야 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시원하다고 말하는
사우나에 자주 가시는 분 계시나요?

사우나마다 다르지만 사우나의 온도는 100도를 넘어
130도까지 올라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참 이상합니다
100도의 끓는 물에 들어가면 곧바로 화상을 입는데
100도의 사우나에는 아무렇지 않게 들어갑니다

사우나에서는 왜 화상을 입지 않는 것일까요




우리의 피부는 수용할 수 없는 온도에 노출되면 화상을 입습니다
40도인 물질에 한 시간 정도 닿을 경우
55도인 물질에 10초 정도 닿을 경우
60도인 물질에는 5초만 닿아도 화상을 입죠

물질을 이루고 있는 분자는 끊임없이 움직입니다

온도가 낮은 물질보다
온도가 높은 물질의 분자가 더 활발히 움직이죠

 


다른 온도를 가진 물질이 서로 접촉하면

온도가 낮은 물질의 분자는
온도가 높은 물질의 분자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온도가 높아지고

온도가 높은 물질의 분자는
온도가 낮은 물질의 분자에게 열을 전달해 온도가 낮아집니다

그러다 결국 같은 온도가 되는데
이것을 열평형이라고 합니다




열은 분자가 많을수록
즉 분자의 밀도가 높을수록
더 많이 접촉하게 되니 더 빠르게 전달됩니다

분자는 기체 상태일 때보다 액체 상태일 때 밀도가 더 높습니다

만약 같은 온도의 액체와 기체가 있다고 한다면
예를 들어 100도의 끓는 물과 100도의 공기가 있다고 한다면

액체인 끓는 물이 열을 더 빠르게 전달하니
같은 온도라 할지라도
공기보다 끓는 물을 더 뜨겁다고 느끼게 됩니다


사우나는 핀란드에서 전통적으로 행해지던 목욕 방식 중 하나입니다

방의 온도를 뜨겁게 한 뒤
그곳에 들어가 땀을 쫙 빼고 물로 씻어내는 식이죠

100도까지 올라가는 사우나의 경우
공기를 가열시켜 방의 온도를 올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끓는 물에 닿으면 곧바로 화상을 입지만
같은 온도의 공기로 가득 찬 사우나에 들어가면 화상을 입지 않는 것이죠



사우나는 뜨거운 공기를 이용해 방의 온도를 올리는 건식 사우나와
뜨거운 수증기를 이용해 방의 온도를 올리는 습식 사우나로 나누어집니다

건식 사우나의 온도는 100도 정도
습식 사우나의 온도는 50도 정도입니다

같은 사우나라고 하더라도 설정하는 온도가 다른데
이것 역시 같은 이유입니다

습식 사우나는 수증기
즉 액체를 이용해 온도를 올리기 때문에 화상을 입을 수 있어
건식 사우나보다 온도를 낮게 설정하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번개는 왜 일직선으로 치는 것이 아니라 지그재그로 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번개는 왜 지그재그로 칠까

 

 

구름의 종류 중 하나로 수직으로 높게 발달한 구름을
적란운이라고 합니다
소나기를 뿌리기 때문에 소나기구름이라고도 하죠

적란운의 영향으로 비가 많이 오는 날에는
갑자기 번쩍하며 번개가 치기도 합니다


적란운 내부에서 수증기가 물방울로 물방울이 얼음조각으로 바뀌며
서로 부딪혀 마찰이 발생합니다

이러는 과정에서 무거운 물방울이나 우박은 음전하를 가지고 아래쪽으로
가벼운 수증기는 양전하를 가지고 위쪽으로 올라가게 됩니다

이때 음전하와 양전하 사이 강력한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것을 방전이라고 합니다

방전은 구름 내부에서 만들어지는 운내방전뿐만 아니라
구름과 구름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운간방전
구름과 땅 사이에서도 만들어지는 낙뢰가 있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통틀어 번개라고 부르고 있죠

 



그런데 왜 번개는 일직선으로 치지 않고
지그재그로 치는 걸까요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는 작용을 저항이라고 합니다
전류는 저항이 더 작은 쪽으로 흐르려고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을 절연체라고 하는데
공기는 원래 절연체입니다


그런데 적란운이 만들어져
지면과 구름 사이에 높은 전압 차이가 발생하면
절연 파괴가 일어나 공기도 전기가 통하게 됩니다

공기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모두 같은 상태일 거라고 생각되지만
어떤 공기는 평범하고 어떤 공기는 수분을 더 많이 가지고 있고
어떤 공기는 먼지 같은 이물질이 많이 있습니다

 


이물질이 많은 공기보다 평범한 공기보다
수분을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공기가 저항이 더 낮기 때문에
번개는 이런 공기를 찾아 이리저리 움직이게 됩니다

그래서 일직선으로 치는 것이 아니라 지그재그로 치는 것이죠

우리가 어떤 목적지까지 가는데 일직선으로 가면 가장 빠르겠지만
장애물이 있을 경우 돌아갈 수밖에 없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번개가 치는 순간 온도는 27000도 정도 된다고 합니다
번개 주변에 있던 공기는 순간적으로 엄청난 고온에 노출되는데

갑작스럽게 팽창하게 되면서 주변 공기와 부딪혀 굉음이 발생하는데
이것이 바로 천둥이죠

그런데 번개는 번쩍하고 한번 치는 것과 달리
천둥은 쿠과과고가ㅘ광 하면서 소리가 여러 번 들립니다

 


사실 천둥은 원래 번개가 번쩍할 때 한 번만 소리가 납니다
하지만 번개와 우리 사이 거리가 굉장히 멀기 때문에

소리가 귀까지 전달되는 과정에서 장애물에 부딪혀
시간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실제보다 긴 시간 동안 들리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