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세종대왕이 우리나라 최초로 만든 것(한글 말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한글 말고 세종대왕이 우리나라 최초로 만든 것

불은 우리 생활을 편하게 해주는 것임과 동시에
언제나 조심해서 다뤄야 하는 위험한 것입니다

인류가 불을 처음 발견한 뒤로
화재 사고는 끊임없이 일어났을 것입니다

지금은 소방서가 있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해도 그나마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지만
소방서가 없었던 시절에는 속수무책으로 당해야 했습니다

불의 역사가 아주 오래된 만큼
소방서의 역사도 굉장히 오래됐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600년 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최초의 소방서는
한글을 만든 것으로 유명한 세종대왕이 처음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1426년 2월 15일 조선의 왕이 세종일 때
수도인 한성부(한양)에서 큰 화재가 발생합니다

이때 조선에는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었는데
이것 때문에 단 하루 만에 집 2200채가 불타버렸고
재가 돼버려 확인할 수 없는 사람을 제외하고
확인할 수 있는 인명피해만 32명이 있었습니다

그 당시 한성부의 총 가옥 수는 약 2만 정도로 추정되는데
화재로 2200채가 타버렸으니
10% 이상이 순식간에 날아가 버렸다고 할 수 있겠죠

이 화재를 한성 대화재 혹은 한양 대화재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큰 화재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명령을 내려야 했던 세종은 한성부에 있지 않았습니다

조선 초기에는 왕이 직접 지휘하는 군사 훈련 행사가
많이 있었습니다
이것을 강무라고 하는데

1426년 2월 13일 세종은 강무를 위해
첫째 아들인 문종과 함께 강원도로 떠났습니다


사실 아내인 소헌왕후 역시 강원도로 같이 떠날 예정이었지만
금성대군을 임신하고 있었던 때라 함께하지 못했습니다

참고로 금성대군은 1426년 3월 28일에 태어났으니
소헌왕후는 그야말로 만삭이었다고 말할 수 있겠죠


한성부에 남겨진 소헌왕후는 만삭의 몸을 이끌고
화재 진압을 위해 바쁘게 움직였는데

돈과 식량은 어쩔 수 없다고 해도
종묘와 창덕궁이 타버리는 일은 일어나지 않게 하라고
명령했다고 합니다

불은 당일에 꺼지는 듯 보였으나
다음날 다시 번지면서 추가로 집 200채를 더 태운 뒤
사그라들었습니다

1426년 2월 16일 세종은 한성부에 화재가 난 것을 보고받았고
2월 19일 한성부로 돌아오게 됩니다


세종은 잿더미가 되어버린 한성부를 보고
크게 후회했다고 합니다

2월 15일 화재가 발생하기 전
다른 지역에서도 크고 작은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고
흉년 피해 때문에 굳이 떠나지 않으려고 했기 때문이죠

게다가 한성부에서 가까운 경기도 지역으로 가려고 고민을 하기도 했고
강원도로 가는 중에 날씨가 좋지 않아 돌아가려고 했다고 합니다



세종은 한성부에 자신이 도착했을 때
신하들이 굳이 예의를 갖추지 말라고 전했으며
문밖에 나와 마중을 하지 말고 궁에서 대기하라고 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도착하기 전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보상을 해줄 것을 명령했고
도착하자마자 피해 상황에 대한 보고를 받고
화재가 또 발생했을 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다닥다닥 붙어 있던 집을 적당히 철거해 간격을 띄웠으며
우물을 파 물을 저장하도록 했고
화재가 발생했을 때 즉각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습니다

방화를 저지르는 사람을 붙잡아 고발하면 보상을 줬으며
만약 그 사람이 천민이라면 양민으로 옮겨주기까지 했습니다

하지만 여러 가지 법을 만들어도
방화에 의한 화재가 끊이지 않았고
방화와 함께 도둑질도 많이 늘어나
더 확실한 방법이 필요해졌습니다



1426년 2월 26일 세종은 화재를 방지하기 위한 조직을 만드는데
불을 금한다는 뜻으로 이곳을 금화 도감이라고 불렀습니다(禁火都監)

이것이 바로 우리나라 최초 그리고 조선 최초의 소방서입니다

금화 도감에서 일하는 소방수 중 소화 작업을 하는 사람을
금화군(禁火軍)이라고 불렀고
물을 긷고 나르는 사람을 급수비(汲水婢)라고 불렀습니다

금화 도감에 소속된 사람들은
지금의 소방수와 비슷한 역할을 했으며
화재에 약한 초가집 지붕을 기와로 바꾸는 작업도 같이 했습니다

세종이 금화 도감을 설치한 이후
화재에 대한 대응이 확실히 빨라졌으며
효과적인 진압도 가능해졌습니다


금화 도감이 만들어지기 전 1422년에는
성을 수리하는 성문 도감(城門都監)을 만들기도 했는데
금화 도감과 성문 도감의 역할이 많이 겹쳤기 때문에

1426년 금화 도감과 성문 도감을 하나로 합쳤고
이것을 수성 금화 도감(修城禁火都監)이라고 불렀습니다


이렇게 직접적인 화재 예방 이외에도
간접적으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
성 안에 드므라는 것을 설치하기도 했습니다

경복궁 안쪽에 들어가면 드므의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여기에는 물을 담아놨습니다

과거에는 화재를 일으키는 귀신이 있다고 믿었는데
이 귀신은 아주 무서운 모습을 하고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정작 본인은 자신의 모습을 본 적이 없었죠


귀신이 화재를 일으키기 위해 궁에 들어왔다가
물이 담겨 있는 드므를 보게 되면
드므에 비친 자신의 모습이 보일 것이고

드므에 무서운 귀신이 있다고 착각해
화재를 일으키지 못하고 그대로 도망가게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드므를 설치해 화재가 일어나지 않게 기원했던 것입니다



이후 1467년 조선의 왕이 세조일 때
금화군은 불을 멸하라 라는 의미로
멸화군(滅火軍)이라는 이름으로 바뀌게 됩니다

50명으로 구성된 멸화군은
불을 끄는 것보다 불이 번지지 않게 하는데 더 중점을 뒀습니다


이들은 도끼와 쇠갈고리를 들고 다니며
불이 붙은 건물을 무너트려 불길이 번지지 않게 했고

불이 많이 크지 않다면 물에 적신 천을 이용해
불을 껐습니다

멸화군의 활약 때문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 때문인지는 모르겠지만
멸화군 창설 이후 조선의 화재는 많이 줄어들었으며
1637년 조선의 왕이 인조일 때
쓸데없는 곳이라 하여 폐지되면서

세종이 만들었던 우리나라 최초의 소방서인 금화 도감은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됩니다

 

 


이후 근대화된 소방 장비가 들어오게 되면서
1925년 우리나라 최초의 정식 소방서인
경성소방서가(종로소방서)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돌을 먹은 것도 아닌데 몸속에 돌이 생기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왜 몸속에 돌이 생기는 걸까

음식이 우리 몸속으로 들어가면
효소에 의해 음식물이 분해되고
소화기관에 의해 필요한 영양분이 흡수됩니다

피가 만들어지고 세포가 재생돼
건강한 생활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런데 때로는 몸속에 돌이 만들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몸속에 만들어지는 돌을 결석이라고 하는데
요로결석이나 편도결석 같은 것들이 대표적이죠

우리가 돌을 먹은 것도 아닌데
몸속에 돌이 만들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돌을 먹지 않아도 몸속에 돌이 생기는 가장 큰 원인중 하나는
바로 칼슘입니다

칼슘은 뼈나 치아의 주 성분이 되며
근육의 수축과 이완, 신경 전달, 혈액 응고 등
몸속에서 여러 가지 역할을 담당하는 물질입니다

 


만약 칼슘이 필요 이상으로 많다면
갑상선에서 칼시토닌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돼
칼슘의 흡수를 막고 오줌을 통해 배설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러는 과정에서 칼슘이 뭉쳐 결정이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결석입니다

요로결석이나 편도결석이 대표적이기 때문에
이곳에만 돌이 만들어진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눈이나 귀에도 만들어질 수 있고
침샘, 관절, 위, 장 심지어 배꼽에도 만들어질 수 있습니다

대부분 칼슘 뭉침이 원인이 되지만
위에 생기는 위석은 과일 씨나 머리카락이 원인이 되기도 하며
배꼽에 생기는 제석은 땀이나 피지가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칼슘에 의해 돌이 생기는 것은
칼슘을 많이 섭취해서가 아니라
칼슘을 흡수하지 못해서입니다

비타민 D는 칼슘이 흡수될 수 있게 도와주는 물질로
결석을 예방하고 싶다면 
칼슘과 함께 비타민 D를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칼슘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물을 많이 마셔야 합니다

 


특히 여름에는 땀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오줌을 싸는 빈도가 줄어들어
요로결석 발생 확률이 겨울보다 여름에 더 높아지게 됩니다
그러니 여름에는 더 많은 물을 마셔야겠죠

실제로 연구 결과 칼슘을 많이 섭취한 사람보다
칼슘을 섭취하지 않은 사람의 결석 발생률이 51%나 높았다고 합니다

만약 칼슘이 부족해지면 뼈에 있는 칼슘을 녹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것은 골다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가장 흔히 발생하는 요로결석은
여자보다 남자가 발생할 확률이 더 높다고 하며
20대에서 40대 사이에 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무언가가 이동해야 될 통로에 돌이 꽉 막고 있으면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큰 통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결석은 평소 물을 자주 마시는 것만으로 예방할 수 있으니
이런 고통을 느끼고 싶지 않다면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이 좋으며

건강을 위해 필요 이상으로 많은 영양제를 섭취하는 것보다
운동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나무에 볏짚이나 헝겊을 입혀놓으면 나무는 따뜻해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이걸 해주면 나무는 안추울까

여름에서 가을로 그리고 겨울로 계절이 바뀌게 되면
날씨가 추워지기 때문에 이것을 견디기 위해
우리는 옷을 껴입습니다

추위는 인간만 느끼는 것이 아니라
동물도 느끼고 식물도 느낍니다

동물은 털이 있고 우리는 옷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추위를 견딜 수 있지만
식물은 그럴 수 없기 때문에
식물에게 겨울은 힘든 계절이 됩니다

그래서 그런지 거리를 걷다 보면
나무에 옷을 입혀놓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무 크기에 비해 아주 작은 옷을 입혀놔서
큰 의미도 없을 것처럼 느껴집니다

고작 이 정도로도 나무는 따뜻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일까요?

 

youtu.be/KX7F-3Imudk


겨울이 되면 나무는 자신의 방식으로
추운 날씨를 견뎌낼 준비를 합니다

가지에 달려있던 잎을 모두 떨어트려
앙상한 가지만 남긴 뒤 성장을 멈추는 경우도 있고
세포와 세포 사이에 얼음결정을 만들어
바람을 막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겨울이 되면 가로수에 볏짚이나 헝겊 같은 것들이
입혀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잠복소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나무 크기에 비해 추위를 막아주는 면적이 작아서
전혀 도움이 안 될 것 같지만
놀랍게도 잠복소는 나무가 추위를 견디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하지만 잠복소의 더 큰 역할은 보온이 아니라
해충을 박멸시키는 데 있습니다



겨울이 되면 나무뿐만 아니라
벌레들도 각자의 방식으로
추운 날씨를 견뎌낼 준비를 합니다

나무에서 떨어진 잎에 모여 겨울잠을 자는 경우도 있고(무당벌레)
겨울 동안 나무줄기에 들어가 추위를 이겨내는 경우도 있고(사슴벌레)
나무 아래에 있는 돌 틈에 숨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실 잠복소라는 것은 잠복을 할 수 있는 장소를 말하는 것으로(潛伏所)
벌레, 그중에서도 해충을 잡기 위해 설치된 물건입니다

겨울이 되면 해충들이 나무 아래로 내려오는데
만약 나무 기둥에 따뜻한 장소가 있다면
굳이 아래까지 내려가지 않고 그곳에 모여 겨울을 보내게 되겠죠

이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잠복소입니다


시간이 지나 봄이 되기 전
해충들이 모여있는 잠복소를 떼어낸 뒤 불태워버리면
해충이 봄에 번식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됩니다

즉 잠복소는 나무에게 따뜻함을 주기도 하지만
나무에게 피해를 주는 해충을 박멸하는 역할을 하기도 하는 것입니다



솔나방과 미국흰불나방은 나뭇잎을 모두 먹어버려
나무에게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해충인데
잠복소는 이런 해충을 잡기 위해 설치된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해충뿐만 아니라 거미나 무당벌레 같은 익충들이
추위를 피하기 위해 잠복소에 머무르다가
해충과 함께 태워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합니다

결국 해충을 잡아줄 수 있는 거미나 무당벌레가 죽어버리면
오히려 봄에 해충이 더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잠복소를 설치하지 않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