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랑니는 왜 삐뚤게 나는 걸까(매복 사랑니가 나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사랑니는 왜 삐뚤게 나는 걸까

 

사람의 이는 평생동안 딱 두번 자랍니다

태어났을 때 유치가 자라게 되고
유치를 뽑고 나면
평생동안 사용해야 하는 영구치가 자라게 됩니다

영구치에 문제가 생겨 뽑아버리게 되면
다시는 이가 자라지 않기 때문에
잘 관리해야 합니다

하지만 사람의 이 중에서 딱 한번 자라고
그리고 뽑아도 괜찮은 이가 있습니다

바로 사랑니이죠

그런데 사랑니는 평생동안 한번 밖에 자라지 않으면서
똑바로 나오지 않아 우리들을 불편하게 만듭니다

도대체 왜 사랑니는 삐뚤게 자라는 것일까요?

www.youtube.com/watch?v=sWjGDunjrL0


사랑니는 영구치중 가장 늦게 나는 어금니로
제3대구치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사랑을 알게되는 나이에 자라기 때문에
혹은 사랑의 아픔처럼 고통을 준다고 해서
사랑니라고 불린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사랑니는 영구치가 다 자라고도 한참 뒤에
보통 10대 후반에서 20대 초반에 나오게 되지만
사람에 따라 더 늦게 나오는 경우도 있고
네개가 전부 나오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사랑니가 전혀 자라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랑니가 똑바로 나와준다면
관리를 잘했을 때 굳이 뽑지 않아도 되지만

삐뚤게 자라거나 누워서 자란다면
썩거나 신경을 건드려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지옥같은 고통을 감수하면서 꼭 뽑아내야 합니다


생물이 진화하면서 점점 필요가 없어져 퇴화하거나
기능이 사라져 흔적만 남아있는 기관을 흔적기관이라고 합니다

인간의 대표적인 흔적기관이라고 하면
꼬리뼈, 맹장, 사랑니가 있죠

불을 사용하기 전 인류의 주식은 식물이었습니다
풀, 견과류, 뿌리 같은 것들을 주로 먹었습니다


이렇게 딱딱한 음식을 먹기 위해선
더 발달된 턱이 필요했고 더 많은 이가 필요했습니다

인류의 조상이라고 알려진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화석을 보면
지금의 인류보다 턱이 더 튀어나와 발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류가 불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호모 에렉투스때부터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불을 사용하게 되면서 음식을 익힐 수 있게 되었고
이때부터 부드러운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딱딱한 음식을 먹는 빈도가 줄어들었고
칼이나 포크가 발달하면서 음식을 작게 잘라 먹었습니다

인류는 더이상 큰 턱이 필요하지 않게 되었고
턱은 점점 퇴화해갔습니다

그리고 이것은 어금니에도 영향을 줬죠



사랑니는 턱관절 성장이 끝난 뒤
모든 이가 자리를 잡은 뒤에 나오게 됩니다

인류가 진화하면서 턱이 작아져버렸지만
사랑니는 여전히 자라고 있어서
부족한 공간을 비집고 올라올 수 밖에 없게 되었고
이런 이유 때문에 똑바로 자라지 못하는 것입니다

즉 사랑니가 삐뚤게 자라는 것은
진화에 의한 결과물인 것이죠

 


만약 치과 기술이 발달하지 못해
사랑니가 있는 사람은 도태되고
사랑니가 없는 사람만 생존할 수 있다고 하면

미래 인류는 사랑니가 없는 쪽으로 진화하겠지만
발달된 치과 기술 덕분에 사랑니를 뽑아버릴 수 있어
미래에는 어떻게 될지 아직 알 수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유전자 기술 역시 발달하고 있기 때문에
지금은 쓸모가 없어져버린 사랑니를
유전자 조작을 통해 자라지 않게 해버린다면

미래 인류는 사랑니를 뽑는 고통을 감수하지 않아도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인류의 턱 크기는 앞으로도 계속 작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지금의 어금니가 제2의 사랑니가 될 가능성이 있겠죠

어쩌면 우리는 사랑니와의 싸움을
영원히 해야하는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알람을 여러개 맞추면 아침에 일어나기 더 힘들다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알람 여러개 맞춰도 일어나기 힘든 이유

아침에 잠에서 깨는 일은 언제나 힘듭니다

잠을 많이 자지 않았을 때는 물론이고
잠을 많이 잤다고 생각했을 때도
일어나는 것은 똑같이 어렵죠

아침에 개운하게 일어나는 것이
과연 가능한 것인지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가능하면 더 이상 잠이 오지 않을 때까지 자고 싶지만
해야 할 일이 있기 때문에
하루를 시작하기 위해
졸린 눈을 비비고 일어나야 합니다

보통 잠에서 깨기 위해 모닝콜을 이용하는데
때로는 나 자신을 믿지 못해
5분이라도 더 자기 위해
여러 개를 맞춰놓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알람을 여러 개 맞춰놓으면
하나만 맞춰놨을때 보다
잠에서 깨는 게 더 힘들어진다고 합니다



스마트폰을 계속 사용하고 있으면 배터리가 달아
충전을 해야 하는 때가 옵니다

사람 역시 계속 활동을 하고 있으면 에너지가 소비돼
휴식을 해야 하는 때가 옵니다

스마트폰은 전기를 이용해 충전을 하지만
사람은 잠을 자는 것으로 충전을 합니다

 


밤이 되면 졸리고 잠이 오는 이유는
멜라토닌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기 때문입니다

뇌에는 시교차 상핵이라는 부위가 있는데
시교차 상핵은 외부로부터 정보를 받아 호르몬을 조절해
사람의 생체 리듬을 컨트롤하는 곳입니다

빛이 들어오면 코르티솔을 분비해 잠에서 깨게 만들고
빛이 사라지면 멜라토닌을 분비해 잠에 빠지도록 만듭니다



깊은 잠에 빠지기 위해서 불을 끄고 커튼을 쳐
방을 최대한 어둡게 합니다

우리는 보통 알람 소리를 듣고 잠에서 깨게 됩니다
하지만 방을 최대한 어둡게 한 덕분에 빛은 잘 들어오지 못합니다

빛을 받지 못하면 시교차 상핵은 여전히 멜라토닌을 분비합니다
깨어날 시간이 됐지만 빛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뇌는 여전히 밤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아침에 일어나기가 힘든 것입니다

 


대뇌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전두엽은
기억력, 사고력, 운동 능력, 감정 등 여러 가지를 담당하는 곳입니다

빛이 아닌 알람에 의해 잠에서 깨게 되면
멜라토닌이 여전히 많이 분비되고 있어
전두엽이 완벽하게 활성화되지 못합니다


그래서 운동 능력이나 인지 능력, 방향 감각 같은 것들이 떨어지게 되고
감각과 신경이 예민해지게 됩니다

이런 상태를 수면 관성이라고 부르죠

수면 관성은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30분 정도 지속된다고 합니다
시간이 지나 잠에서 완전히 깨 전두엽이 활성화되면
수면 관성은 사라지게 됩니다



만약 처음 알람을 들었을 때 빛을 받았다면
멜라토닌 분비가 줄어들면서 잠에서 깰 수 있지만

알람을 끄고 다시 한번 잠에 들게 되면
이후에 다시 알람에 의해 잠에서 깨더라도
멜라토닌이 여전히 분비되고 있어 몽롱한 상태
즉 수면 관성 상태에 계속 빠지게 됩니다

수면 관성이 지속되면 피로가 쌓이게 되는데
이것 때문에 더 잤음에도
피로가 풀리지 않고 깨어나기 힘든 상태가 되어버립니다

 


5분 단위로 알람을 맞춰
깨고, 자고, 깨고, 자고를 반복하면
수면 관성이 지속되면서 자도 자도 졸리고
깨고 싶어도 깰 수 없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빛을 받으며 잠에서 깨는 것이 가장 좋지만
어쩔 수 없이 알람을 써야 한다면
첫 알람에 의해 잠에서 깼을 때 바로 일어나 활동을 하거나
빛을 쫴 멜라토닌의 분비를 줄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알람은 누워서 손에 닿지 않는 곳에 두는 것이 좋고
자신을 믿지 못해 알람을 여러 개 맞춰야 한다면
연습을 통해 알람을 조금씩 줄여보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다리를 떨면 왜 복이 나간다고 말하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다리를 떨면 정말 복이 나가는 걸까

어떤 행위를 오랫동안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익혀진 행동 방식을 습관이라고 합니다

습관이 만들어지면 무의식중에도 그 행동을 하기 때문에
나도 모르게 무언가를 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습관 중에는 좋은 습관도 있지만
손톱 뜯기, 입술 뜯기, 손 빨기, 다리 떨기처럼
나쁜 습관도 있습니다

이중에서 다리 떨기는 대표적인 나쁜 습관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데
다리를 떨면 복이 나간다고 해서
어른들이 많이 금지 시키곤 하죠

그냥 다리를 떠는 것뿐인데
왜 복이 나간다고 말하는 것일까요



다리를 떨면 복이 나간다고 하는 데에는
예전부터 내려오는 몇 가지 설이 존재합니다

지갑이나 저금통에 돈이 없어 탈탈 터는 행동과
다리를 떠는 행동이 비슷해보여
재물을 날려보낸다는 설

너무 가난해 추위를 이기지 못해
덜덜 떨고 있는 모습과 비슷해 보여
복이 들어오지 않는다는 설

그리고 오래전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관상가에 관한 설이 있죠



아주 먼 옛날 관상을 잘 보는 사람이 살았는데
하루는 어떤 가난한 집에 묵게 되었다고 합니다

관상가가 집주인의 관상을 보니
현재 처지와는 다르게 부자가 될 상을 하고 있는데
왜 가난하게 살고 있는지 의아했다고 합니다

그날 밤 관상가는 우연히 집주인이 자는 모습을 보게 되었는데
집주인은 발을 툭 툭 차며 잠을 자고 있었습니다

관상가는 이런 행동 때문에 집주인이 가난하게 산다고 생각해
집주인의 다리를 쇠망치로 내려쳐 꺾어버리고 도망쳤습니다

그래서 집주인은 더 이상 다리를 차며 잠을 잘 수 없게 되었죠

 


하지만 그 이후 집주인은 놀랍게도
하는 일이 잘 풀려 점점 부자가 되었습니다

시간이 지나 관상가가 다시 찾아가
자신이 다리를 꺾고 도망간 사람이라고 소개하자
집주인은 관상가를 후하게 대접했다고 합니다

이 이야기가 계속 전해져 내려와
다리를 떨면 복이 나간다고 믿게 되었던 것이죠



실제로 다리를 떠는 행위는 자신은 알지 못하지만
다른 사람이 봤을 때 내가 불안하고 초조해 보이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그래서 부정적인 이미지가 만들어질 수 있고
이것 때문에 이득을 보지 못할 확률도 있겠죠

그리고 다리를 떨 때 나는 신경 거슬리는 소리 때문에
주변 사람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리를 떠는 것이 꼭 나쁜 것만은 아니라고 합니다

다리를 떠는 이유는 습관이 몸에 배어 서일 수도 있지만


너무 오래 앉아있는 경우
하반신 쪽 혈액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다리가 자연적으로 떨리는 경우도 있고

정서가 불안한 경우
태아 때 자궁에서 느끼던 심장박동을 다시 느끼기 위해
규칙적으로 다리를 떠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흔히 다리를 떨면 주의가 산만해지고
집중력이 흐트러진다고 생각하지만

연구 결과 다리를 떨게 되면
근육이 움직여 뇌를 활성화시키는 데 도움을 줘
집중력이 올라갈 수 있다고 합니다

다리를 떠는 행위는 보기에 좋지 않고
주위 사람에게 피해를 줄 수 있지만
전해져 내려오는 설과 다르게
본인에게는 오히려 복을 가져다주는 행동이었던 것이죠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