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뉴질랜드가 있다면 어디엔가 올드질랜드도 있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뉴질랜드가 있으면 올드질랜드도 있나?

 

올드 질랜드에 대해 생각해본 적 있나요

오세아니아에 있는 나라인 뉴질랜드
넓은 초원과 양떼들
반지의 제왕과 마오리족이 유명한 나라입니다

뉴질랜드는 말 그대로 뉴 질랜드입니다
우리나라 말로 하면 새로운 질랜드라는 뜻이죠

이렇게 새로운 질랜드가 있다면 오래된 질랜드
올드 질랜드도 어디엔가 있다는 뜻이 됩니다

올드 질랜드는 도대체 어디에 있을까요

https://youtu.be/5QjudqwEG-g


네덜란드의 탐험가인 아벨 태즈먼은
1642년 네덜란드의 무역회사인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로부터
남태평양의 미지의 지역을 탐험하는 임무를 받게 됩니다

1642년 11월 태즈먼은 남태평양을 탐험하다
유럽인 최초로 외딴섬 하나를 발견하게 됩니다


태즈먼은 당시 동인도 회사의 총독이었던 앤서니 반 디멘의 이름을 따
이 섬의 이름을 Van Diemen's land라고 지었습니다

Van Diemen's land는 현재는 호주에 속해 있는 섬으로
지금은 이름이 바뀌어 처음 발견한 태즈먼의 이름을 따
태즈메이니아 주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태즈먼은 여기에서 멈추지 않고 동쪽으로 더 이동했습니다

1642년 12월 그는 또다른 섬 하나를 발견하게 되는데
이 섬 역시 유럽인 최초로 발견한 것입니다

태즈먼은 이 섬이 남아메리카의 일부인 것으로 생각해
아르헨티나의 섬 이름인 스태튼 랜트(Staten Landt)에서 이름을 따
똑같이 스태튼 랜트라고 지었습니다



스태튼 랜트는 태즈먼이 유럽인 최초로 발견한 땅이지만
그보다 먼저 이 땅에 도착한 사람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태즈먼 일행에 위협을 느낀 원주민은 태즈먼 일행을 공격했고
이러는 과정에서 선원 4명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태즈먼은 그대로 네덜란드로 돌아왔고
새로운 섬에 대한 사실을 알렸는데
네덜란드의 지도 제작자들이 스태튼 랜트는 남아메리카의 일부가 아니라
새로운 섬이라는 것을 알아차리게 됩니다

그래서 스태튼 랜트가 아니라 새로운 이름을 짓게 되는데
이 섬이 네덜란드 남서쪽에 있는 질랜드라는 지역과 닮았다고 해서
뉴질랜드라고 지었습니다


즉 뉴질랜드는 실제로 새로운 질랜드라는 뜻이고
네덜란드의 질랜드가 바로 올드 질랜드인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질랜드와 뉴질랜드는 하나도 안닮았다고 합니다



네덜란드의 이런식의 작명은 뉴질랜드가 처음이 아닙니다
지금의 뉴욕을 과거 네덜란드가 점령했을 때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과 닮았다고 해서
뉴암스테르담이라고 불렀고

뉴암스테르담의 한 도시를 네덜란드의 하를렘과 닮았다고 해서
뉴하를렘이라고 불렀는데 이곳은 지금 할렘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태즈먼이 처음 뉴질랜드에 도착했을 때 있었던 원주민은
그 유명한 마오리족입니다

마오리족은 1200년대에 처음 도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들이 뉴질랜드 도착했을 때 나라의 이름을
길고 흰 구름의 땅이라는 뜻을 가진 아오테아로아라고 지었습니다

그래서 뉴질랜드는 뉴질랜드라는 이름과 함께
아오테아로아라는 이름으로도 불리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시체라도 먹은 걸까? 향기 대신 시체 썩는 냄새가 나는 의문의 꽃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시체 먹은 꽃

 

우리는 흔히 꽃이라고 하면
예쁜 색깔, 아름다운 모습, 좋은 향기를 생각합니다

물론 모든 꽃이 이런 것은 아니기 때문에
편견이라고 하면 편견이라고 할 수 있는데
특히 이 꽃은 그 편견을 완전히 박살내버립니다

세계에서 제일 큰 꽃이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는 이 꽃은
지름이 1m나 되고 10kg이나 되는 무게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포켓몬스터에도 뚜벅쵸, 냄새꼬의 진화형으로 나오는
이 꽃에 이름은 라플레시아입니다

https://youtu.be/QYJczbYWjuU


라플레시아는 영국의 정치인 토마스 스탬포드 래플스라는 사람이
1818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라는 섬을 탐험하다 처음 발견한 것으로
처음 발견한 그의 이름을 따 라플레시아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라플레시아는 꽃이 피는 시기도 일정하지 않고
꽃이 피기까지 시간도 굉장히 오래 걸리지만

꽃이 핀 기간은 아주 짧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활짝 핀 라플레시아를 보는 것은 마냥 쉬운 일이 아닙니다


1876년 영국에서 열린 박람회에서
꽃이 핀 라플레시아가 전시된 적이 있었습니다

이곳에는 라플레시아를 보기 위해 굉장히 많은 사람들이 몰리게 되었죠

하지만 이곳을 방문한 사람들은
라플레시아의 냄새를 맡고 굉장히 역겨워 했으며
두통이나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사람들도 있었고
구토를 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


이런 이유는 라플레시아가 마치 시체라도 먹은 것처럼
시체 썩는 냄새가 났기 때문입니다

식물은 스스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번식을 하기 위해선 다른 매개체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바람에 의해 꽃가루가 옮겨질 수도 있고
벌이나 나비에 의해 꽃가루가 옮겨질 수도 있습니다

이것을 수분이라고 하죠

꽃은 각자마다 매개체를 유인하는 방법을 가지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바로 꿀입니다


하지만 라플레시아는 냄새를 이용해 매개체를 유인합니다

사람이 죽고 시체가 부패하기 시작하면
악취가 나기 시작합니다

이 냄새를 맡고 파리는 빠르게 시체로 접근합니다


라플레시아에서 시체 썩는 냄새가 나는 이유는
바로 이런 파리를 유인하기 위함입니다

시체 썩는 냄새로 파리를 유인해
자신의 꽃가루를 옮기게끔 만드는 것이죠

그래서 라플레시아를 시체꽃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라플레시아는 꽃이 피고 빠르게 지기 때문에
번식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짧아

이런 극단적인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다른 식물에 기생해 영양분을 흡수해 살아가는 식물을
기생 식물이라고 하는데
라플레시아는 대표적인 기생 식물입니다

그래서 다른 꽃과 다르게 잎도 줄기도 뿌리도 없습니다

이런 곳으로 가야할 영양분이 꽃으로 몰리게 되니
크게 자라게 된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원의 각도는 왜 하필 360도일까 계산하기 복잡하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100도였다면 계산하기 편했을텐데

 

여기에 원이 있습니다
원의 각도는 몇도일까요?

맞아요 다들 아시는 것처럼 원의 각도는 360도입니다

누군가 이렇게 정했기 때문에
우리는 원의 각도가 360도라고 배우는 것인데
조금만 생각하면 이상합니다

처음에 원의 각도를 100도로 정했다면
깔끔하고 딱 떨어져 계산하기 편할텐데 말이죠

원의 각도가 하필 360도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https://youtu.be/GqH_3rhRWCY


어떤 숫자를 나누어 떨어지게 할 수 있는 수를 약수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10은 1, 2, 5, 10으로 딱 떨어지게 나눌 수 있으니
이들을 10의 약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360은 계산하기 애매한 숫자인 것처럼 보여지지만
약수가 24개나 있어 오히려 계산하기에 편합니다


원의 각도가 100도라면 1부터 10까지 숫자중
1, 2, 4, 5, 10으로만 딱 떨어지게 나눌 수 있는데


원의 각도가 360도라면 1부터 10까지 숫자중
7을 제외하고 나머지 숫자로 딱 떨어지게 나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원의 각도를 처음 360도로 정하고
지금까지 바뀌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



원의 각도를 처음 360도로 정한 건
고대 바빌로니아의 학자들인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태양이 언제뜨고 지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는데
연구를 하다보니 태양은 하루하루 매일 조금씩
뜨는 위치가 달라진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어느순간 태양이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온다는 것을 확인했는데
이 시간이 바로 360일이었습니다

그래서 이들은 1년을 360일이라고 생각하기도 했죠


바빌로니아에서는 지금과 같은 달력은 없었고
원을 그려 1년이라는 시간을 기록했는데

1년은 360일이었으니 자연스럽게 원을 360개로 나누게 되었고
이러다보니 원의 각도가 360도로 정해졌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계속 사용되어
원의 각도가 360도로 정해진 것이라고 합니다


원의 둘레를 원의 반지름으로 나누면
6개로 나눌 수 있고 이들을 연결하면 정삼각형 6개가 만들어집니다

당시 바빌로니아 사람들은 60진법을 사용했는데
이것 때문에 정삼각형의 내각을 60도로 정했고
정삼각형의 내각이 60도이니 원은 360도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이렇게 원의 각도가 100도가 아니라 360도가 된 덕분에
우리는 피자를 먹을 때 싸우지 않고
정확하게 나누어 먹는 것도 가능해졌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