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근한 잡다한 지식/생활 잡다한 지식

어떤 주사는 팔에 맞는데 왜 어떤 주사는 엉덩이에 맞을까

히읗(hieut) 2025. 3. 16. 14:44
728x90
반응형

어떤 주사는 팔에 맞는데 왜 어떤 주사는 엉덩이에 맞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왜 어떤 주사는 엉덩이에 맞을까


주사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어떤 병을 예방하기 위해
혹은 어떤 병을 치료하기 위해 주사를 맞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사는 약물을 몸 속에 직접 넣기 때문에 흡수가 빨라
먹는 약보다 더 효과가 좋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사를 맞는 부위는 크게 피부, 근육, 혈관으로 나누어집니다

피부에 주사를 맞으면 약물이 먼저 피부에 흡수되고
이후에 혈관을 타고 흐르기 때문에
주사중에서 효과는 가장 느리게 나타나지만
부작용이 일어날 위험은 가장 적다고 할 수 있습니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피부에 맞는 주사는 진피에 맞는 피내주사와
피하지방에 맞는 피하주사가 있습니다

항생제 반응 검사를 하거나 알레르기 검사를 할 때
피내주사를 맞게 되며

일부 백신이나 당뇨병 환자가 인슐린을 투여할 때
피하주사를 맞게 됩니다


피내주사나 피하주사의 경우
약물을 진피나 피하지방에 투여하면 되기 때문에
사실 부위는 크게 상관이 없지만

주사를 놓는 사람 입장에서 팔에 놓는 것이 가장 무난하기 때문에
이런 주사는 팔에 맞는 것입니다



근육에 맞는 주사는 근육주사라고 합니다

근육에는 많은 혈관이 있어
피부에 맞는 것보다 효과가 더 빠르게 나타나는데
여러 근육중에서 엉덩이 근육은
누구라도 잘 발달되어 있고 혈관이 많이 있기 때문에
근육주사는 주로 엉덩이에 맞게 됩니다


엉덩이에는 다리 감각을 느끼고 운동을 조절하는 신경인
좌골신경이 위치해 있습니다

엉덩이에 주사를 놓는 경우 좌골신경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엉덩이 한쪽을 네곳으로 나눴을 때
가장 위쪽 그리고 가장 바깥쪽 부위에 주사를 놓는다고 합니다


코로나 백신이나 독감 백신, 진통제를 투여할 때
근육주사를 맞게 되는데 백신의 경우
엉덩이가 아니라 팔에 있는 근육인 삼각근에 맞게 됩니다

백신은 여러 사람이 맞기 때문에 빠르게 진행되어야 하는데
엉덩이에 맞는 경우 바지를 내리는 번거로움이 있어
시간이 걸려 팔에 맞는 것이라고 합니다

또 12개월 미만의 아기는 엉덩이 근육이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엉덩이에는 주사를 놓지 않습니다



혈관에 맞는 주사는 정맥에 맞는 정맥주사와
동맥에 맞는 동맥주사가 있습니다

혈관에 직접 약물을 넣기 때문에
효과가 굉장히 빠르게 나타나지만
강한 성분으로 인해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맥주사나 동맥주사는 수혈을 하거나 수액을 맞거나
응급상황일 때 맞게 됩니다

주사를 맞을 때 어쩔때는 꾹 누르고 있으라고 하고
어쩔때는 문지르라고 말합니다


꾹 누르고 있어야 하는 주사는 혈관에 맞는 주사입니다
출혈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지혈을 위해 꾹 누르고 있는 것이죠

문지르고 있어야 하는 주사는 근육에 맞는 주사입니다
약물이 한곳에 몰려 있지 않고 골고루 퍼지게 하기 위함인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