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이클리닝을 하면 정말 옷이 깨끗해질까 + 집에서도 될까
드라이클리닝을 하면 정말 옷이 깨끗해질까 + 집에서도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드라이클리닝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옷이 더러워지면 보통은 세탁기를 이용해 빨지만
아끼는 옷이거나 니트, 양복, 가죽 자켓, 코트 같은 옷은
세탁기가 아니라 세탁소에 맡겨
드라이클리닝을 해야 합니다
이런 종류의 옷은 세탁기로 빨 경우
옷감이 손상되거나 쭈그러들 수 있기 때문이죠
어떤 물질의 전자가 비대칭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그것을 극성이라고 합니다
물이나 소금 같은 물질이 대표적인 극성 물질입니다
반대로 전자가 대칭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
그것을 무극성이라고 합니다
기름이나 이산화탄소 같은 물질이 대표적인 무극성 물질입니다
극성끼리, 무극성끼리 만날 경우
쉽게 녹거나 섞이지만
극성과 무극성이 만나면 녹거나 섞이지 않습니다
물은 극성, 기름은 무극성이기 때문에
물과 기름은 섞이지 않는 것입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세탁기는
물과 세탁세제를 이용해 빨래를 하는데
드라이클리닝은 물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름이 드라이 클리닝인 것이죠
드라이클리닝은 휘발성과 인화성이 강한 유기용제라는 기름과
드라이클리닝 전용 세제를 이용해 빨래를 합니다
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옷감 손상이 적고
빨래의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떨어지면서 가해지는 힘이 작아 변형이 적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드라이클리닝을 할 때 사용하는 기름은
무극성입니다
그래서 몸에서 나오는 피지, 화장품 자국
볼펜, 초콜릿, 버터 자국 같은 무극성 얼룩을 잘 지우기도 합니다
이런 얼룩을 지용성 얼룩이라고 말하기도 하죠
하지만 드라이클리닝은 물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극성 얼룩은 잘 지우지 못합니다
커피나 간장, 과일 음료, 술, 핏자국 같은 것들이
극성 얼룩, 수용성 얼룩인데
옷에 이런 자국이 생겼다면
드라이클리닝을 맡겨도 그대로 남아있을 확률이 있습니다
간혹 드라이클리닝을 했는데 땀 냄새가 그대로 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땀 역시 극성 얼룩이라 드라이클리닝으로는 잘 지울 수 없기 때문입니다
드라이클리닝을 할 때 사용하는 유기용제는
석유계 용제와 염소계 용제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통은 건조를 하는 과정에서 용제가 날아가지만
옷을 가지고 왔더니 기름 냄새가 나거나
머리가 아픈 경험이 있다면
그것은 오래된 유기용제를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드라이클리닝은 옷감도 지키고 옷을 깨끗하게 만드는
완벽한 세탁 방법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런 단점이 존재하기도 합니다
집에서 드라이클리닝을 직접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물론 세탁소에서 하는 것만큼의 효과를 가져오진 못하지만
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극성 얼룩도 지울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옷감에 따라 손상되는 경우도 있으니
표시를 잘 확인해야 합니다
이때 중성세제가 아닌 드라이클리닝 전용 세제와 찬물을 섞어
옷을 담가두는 식으로 빨래를 하면 됩니다
이런 방법을 홈 드라이 혹은 웨트 클리닝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