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곪은 데는 왜 마취가 안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곪은 데는 왜 마취가 안 될까

피부에 상처가 나 세균에 감염되면
면역세포 중 하나인 백혈구가 세균과 싸우게 됩니다

이것을 염증이라고 하는데
싸우는 동안 죽은 백혈구나 세균은 상처 부위로 배출됩니다

이것을 고름이라고 하며 고름이 생긴 부위를 곪은 데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이처럼 곪은 데는 마취가 안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도대체 왜 곪은 데는 마취가 안되는 걸까요

https://youtu.be/kzC7r93YEy0


마취는 전신마취와 부분마취가 있습니다
곪은 데를 치료할 때는 부분마취를 하는데
일정 부분만 마취를 한다고 해서 국소마취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우리 몸속에 있는 세포에는 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얇은 막이 있습니다
이것을 세포막이라고 하는데 세포막에는 이온 채널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온 채널은 각종 이온을 세포의 안과 밖으로 통과시키는 일종의 통로입니다

 


피부에 뭔가 강한 자극이 발생하면 신경세포가 먼저 이 자극을 느낍니다
전하를 띤 이온은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지만
신경세포가 자극을 느끼면 이온 채널중 하나인 나트륨 채널이 열려
나트륨 이온이 신경세포로 들어갑니다


그럼 신경세포가 활성화돼 자극에 대한 정보를
전기신호로 만들어 뇌로 전달하고
뇌가 이 신호를 받으면 통증이 느껴집니다

국소마취를 할 경우 약물이 세포막을 뚫고 들어가 나트륨 채널에 영향을 줘
자극이 발생해도 나트륨 채널이 열리지 않도록 합니다

 


나트륨 채널이 열리지 않으면 나트륨 이온이 들어오지 못해
전기신호를 만들어낼 수 없습니다

전기신호가 만들어지지 않으면 뇌로 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니
마취를 하면 자극이 발생해도 통증이 느껴지지 않는 것입니다



어떤 물질의 산성도를 나타내는 단위를 pH라고 합니다
pH7인 경우 중성, 7보다 높을 경우 염기성, 낮을 경우 산성입니다

정상적인 피부 조직은 pH7.4 정도 되고
염증이 발생한 조직, 즉 곪은 데는 pH6.0 정도 된다고 합니다

국소마취 약물은 염기성입니다

 


앞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전하를 띤 이온은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는데
정상적인 피부 조직에서는 이온화가 덜 이루어져
약물이 세포막을 뚫고 나트륨 채널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곪은 데는 산성이기 때문에 약물과 산성이 만나면 이온화가 많이 이루어져
약물이 세포막을 뚫고 들어가지 못합니다

약물이 들어가지 못하면 나트륨 채널이 열리게 되니
자극을 받으면 마취를 했음에도 통증이 느껴지게 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박명수의 말처럼 곪은 데는 마취가 안되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마취를 하면 고통이 느껴지지 않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마취를 하면 왜 안 아플까

 

무언가에 살짝 베이기만 해도
움직이다가 어딘가에 살짝 부딪히기만 해도
엄청난 고통이 밀려오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치지 않게 조심해야 하죠

하지만 사랑니를 빼거나
몸에 이상이 생겨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곤 합니다

치료를 위해선 칼을 대야 하는데
그냥 하면 고통을 참지 못해 쇼크로 죽어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마취를 하고 수술을 진행하게 됩니다

마취를 하면 거짓말처럼 통증이 느껴지지 않는데
도대체 어떤 원리로 통증을 없애주는 것일까요




마취가 없었을 때는 수술을 하다가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독한 술을 이용해 고통을 감소시키기도 했고
헬륨을 마시면 고통이 사라진다고 해서
이를 뽑을 때 헬륨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헬륨을 너무 많이 마시게 되면
산소부족증 때문에 위험할 수 있는데
이것 때문에 헬륨을 자주 사용한 치과 의사가
젊은 나이에 사망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때로는 아편 같은 마약을 이용해
정신을 오락가락하게 만든 뒤 수술을 하기도 했었습니다

에테르라는 물질의 증기를 흡입하면 환각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과거에는 이것을 마약처럼 이용해 에테르 증기를 즐기곤 했습니다
이것을 에테르 유희라고 불렀습니다


1846년 미국의 한 의사가 이런 에테르를 이용해
고통 없이 환자를 수술하는데 성공해냅니다
이것이 바로 인류 최초의 마취제이죠

하지만 에테르는 냄새가 독했고
일부 환자들은 마취가 되지 않는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1847년 영국의 한 의사는 에테르의 단점을 보완할 물질을 찾아내는데
그것이 바로 클로로포름입니다

클로로포름은 에테르보다 더 적은 양으로 마취할 수 있었고
부작용도 적었으며 무엇보다 더 안전했습니다

클로로포름에 의한 마취 소식은 영국 빅토리아 여왕에게까지 들어갔고
1853년 왕자를 출산할 때 클로로포름을 사용하면서
대중적인 마취제로 퍼지게 되었습니다

물론 현대에 와서는 에테르나 클로로포름보다
더 안전한 마취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방안을 걷다가 레고를 밟는다고 상상해봅시다

발이 레고에 닿는 순간에는
레고에 대한 촉감이 전달될 것입니다

레고를 조금 더 밟게 되면 피부에 있는 통각 수용체는
지금 가해지는 자극의 정도가
피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해 신호를 뇌로 전달하고
뇌가 신호를 받으면 통증이 느껴지게 됩니다

그리고 그 순간 레고에서 발을 떼게 되죠

즉 레고를 밟으면 발에서 통증이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신호를 전달받은 뇌가 통증을 느끼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뇌에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발에 어떤 자극이 발생하더라도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이때 신호는 발에서 뇌로 순간이동하는 것처럼
한 번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뇌로 연결된 통로를 타고 이동합니다

마취를 하게 되면 마취제 성분이 신호가 전달되는 통로를 막아
신호가 뇌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됩니다

통각 수용체는 피부에 자극이 생겨 뇌로 신호를 보내지만
신호가 뇌에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칼이 들어와도 통증을 느낄 수 없는 것입니다

이것은 전신 마취든 부분 마취든 같은 원리로 작용하게 됩니다



물론 마취를 했을 때 발생하는 부작용이 전혀 없다고 말할 순 없지만
과거에 비해 안전해진 것은 사실입니다

부디 부작용 없는 마취 방법이 만들어져
고통 없고 안전한 수술을 받을 수 있는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