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노래가 담긴 음반을 왜 앨범(사진첩)이라고 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음반을 왜 사진첩(앨범)이라고 할까

여러분들이 좋아하는 가수는 누구인가요
평소 즐겨듣는 노래는 어떤 것인가요

음악을 기록해놓은 매체를 음반이라고 합니다
LP나 카세트테이프 CD 같은 것들이 음반이라고 할 수 있죠

그래서 가수의 신곡이 발표되면
새로운 음반이 나왔다고 말하곤 하는데
이때 음반 대신 앨범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앨범은 사진첩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진과 음악은 큰 연관이 없어 보이는데
도대체 왜 음반을 앨범이라고 부르는 걸까요



지금은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수단이 많아져
어디서든 원하는 음악을 들을 수 있지만
과거에는 레코드판이 있어야 음악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레코드판은 바이닐 레코드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1887년 독일의 에밀 베를리너가 처음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때 만들어진 레코드판은 SP라고 불렸는데
당시 기술력 한계로 3분 정도만 음악을 기록할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긴 클래식은 기록할 수 없었고
발표되던 노래도 SP에 맞춰 3분대로 만들어졌습니다

SP에는 한 곡에서 두 곡 정도의 노래만 기록됐습니다


SP가 판매되던 초창기에는
SP를 담는 패키지에 별다른 디자인을 하지 않았지만
이름이나 로고를 넣거나
상품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꾸미는 식으로 발전되었습니다

이것은 일종의 판매 전략이었죠

SP에는 한두 곡밖에 들어가지 않았기 때문에
일부의 회사는 여러 곡을 판매하기 위해
여러 장의 SP를 묶어 판매하는 방식을 선택하기도 했습니다



그런 덕분에 노래뿐만 아니라
클래식 음악도 판매될 수 있었습니다

1909년 차이콥스키의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이
4장의 SP에 담겨 판매되었는데

이때 제작된 음반의 형태가
마치 사진첩 그러니까 앨범처럼 보인다고 해서
여러 개의 음악을 묶어 판매하는 음반을 앨범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습니다

사람들은 한 장의 SP보다 여러 장의 SP가 있는 앨범을 좋아했고
가수들은 컴백할 때 여러개의 신곡을 들고 왔습니다


물론 그전처럼 한 장의 SP만 판매하는 경우도 있었는데
앨범이라는 명칭이 생겼기 때문에
한 장짜리 SP를 부르는 명칭이 필요해져
이런 형태의 음반을 싱글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1948년 기술이 발전해 30분 정도를 기록할 수 있는 레코드판이 만들어졌습니다
이것을 LP라고 부르죠

 


LP 덕분에 음반을 판매할 때
여러 장의 SP를 묶어 판매할 이유가 없어졌습니다
그래서 더 이상 앨범 형태로 제작되지 않았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이것을 앨범이라고 불렀고

이것이 전해져 내려와 앨범은 음반을 뜻하는 단어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1949년 7분 30초 정도를 기록할 수 있는 레코드판이 만들어졌는데
이것을 EP라고 불렀습니다

싱글보다는 많지만 앨범이라고 하기엔 적은 음반을
EP라고 부르곤 하는데
보통 다섯 곡 정도의 노래가 담긴 음반을 부르는 말입니다

여기서 EP는 EP 레코드판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때로는 싱글 앨범이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싱글은 하나의 노래가 담겨있는 음반을
앨범은 여러 개의 노래가 담겨있는 음반을 뜻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확히 따지면 틀린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