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최초의 한글 띄어쓰기 그 시작은 외국인이었다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한글 띄어쓰기 처음 시작은 외국인?

한글에 존재하는 모든 맞춤법을 지키는 것은 참 어렵지만

그래도 기본적인 맞춤법은 알고 있어야 합니다

 

많이 틀리는 맞춤법중 하나가 되, 돼의 구분인데

되, 돼는 하, 해를 넣어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안되겠다의 경우 안하겠다로 바꿔보면 말이 되지만

안해겠다로 바꿔보면 말이 안되기 때문에 안되겠다가 맞고

 

안돼요의 경우 안하요로 바꿔보면 말이 안되지만

안해요로 바꿔보면 말이 되기 때문에 안돼요가 맞습니다

 

왠, 웬 역시 많이 틀리는 맞춤법중 하나인데

왜인지를 줄여서 왠으로 사용하고

어쩐일을 웬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왠지는 왜인지이니까 왠지가 맞고

웬일은 어쩐일이니까 웬일이 맞습니다

 

 

띄어쓰기 역시 어려운 맞춤법이긴 하지만

어떻게 띄우느냐에 따라서 다른 의미가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규칙을 잘 지켜 사용해야 합니다

 

이불안감뭐냐 라는 문장의 경우

이 불안감 뭐냐 라고 띄어쓰면 불안감에 대한 이야기를

이불 안감 뭐냐 라고 띄어쓰면 이불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됩니다

 

어그거실화 역시

어 그거 실화 라고 띄어쓰면 그건 진짜 실화라는 이야기를

어그 거실화 라고 띄어쓰면 거실화에 대한 이야기를 하게 되죠

 

한글은 세종대왕이 1443년에 완성해

1446년에 반포한 뒤로 지금까지 잘 쓰이고 있는 우리의 문자입니다

 

한글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위에서 아래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글을 쓰는 세로쓰기를 사용했습니다

 

그 당시 만들어졌던

훈민정음이나 용비어천가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지금의 책처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가로로 읽는 것이 아니라

위에서 아래로 글을 읽어야 합니다

 

그런데 이런 글을 보면 띄어쓰기의 흔적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습니다

 

한글이 처음 만들어졌을 때는 띄어쓰기를 사용하지 않았던 것이죠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 중국어 역시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으니

어찌보면 이런 현상이 당연한 일이었는지도 모릅니다

 

중국은 지금과 다르게 과거에는 강대국이었으니

그들의 영향을 분명 받았을 것입니다

 

그래서 일본어도 띄어쓰기를 하지 않죠

 

한글에 띄어쓰기가 처음 도입된 것은

1877년 존 로스라는 목사에 의해서입니다

 

존 로스는 선교사 일을 위해 조선에 왔지만

한글에 큰 매력을 느끼고 그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노력했다고 합니다

 

존 로스는 영국인이었기 때문에 영어를 사용했고

그 당시 영어에는 띄어쓰기가 있었기 때문에

번역을 하는 과정에서 띄어쓰기가 사용된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

 

이때 존 로스가 만든 책인 조선어 첫걸음이라는 책을 보면

띄어쓰기를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영어는 가로쓰기를 사용했으니

아마도 그는 의도적으로 띄어쓰기를 했다기보다

자연스럽게 자신의 언어를 사용하다보니 띄어쓰기를 하게 된 것이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는 최초의 한글 성경인

예수셩교누가복음젼셔를 만들어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때부터 띄어쓰기가 공식적으로 사용된 것은 아니었습니다

 

이후 미국인 선교사 호머 헐버트가

역시 한글에 큰 매력을 느끼고 띄어쓰기를 도입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호머 헐버트는 독립운동가로 활동하기도 했는데

고종에게 신임을 얻어 외교 관련 업무를 도왔다고 합니다

 

호머 헐버트는 의도적으로 띄어쓰기를 도입했고

더 편한 한글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했습니다

 

1896년 출간된 독립신문에 띄어쓰기를 도입해

누구나 글을 쉽게 읽을 수 있게 만들었고

 

1891년 최초의 한글 교과서인 사민필지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게다가 고종에게 건의해 국문 연구소를 설립하는데 영향을 주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 결과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 발표되면서

띄어쓰기가 정식으로 도입될 수 있었습니다

 

띄어쓰기는 분명 어려운 문법입니다

 

여기에서 띄어써야하는지 붙여써야 하는지 그 기준이 언제나 명확하지 않고

때에 따라서 다르고 예외적인 단어가 있기 때문이죠

 

못됐다라는 문장은 심보가 나쁘다 라는 뜻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못 됐다라고 띄어쓸 경우 무언가 되지 못했다 라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국립국어원 7대 원장인 이상규 원장조차

글을 쓸 때 띄어쓰기가 자신없다고 말했을 정도이니

띄어쓰기가 어렵다고 말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입니다

 

하지만 띄어쓰기가 도입된 이후로

한글을 더 편하게 읽을 수 있게 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한글을 처음 만들어낸 것은 세종대왕이지만

그 이후로 여러 사람에 의해 한글은 계속 발전 돼 왔습니다

 

우리는 계속 우리의 언어를 사용할 것입니다

 

댕댕이, 커엽다처럼 야민정음에 의해 한글이 파괴된다는 말이 있긴 하지만

이것 역시 하나의 문화, 한글을 발전시키는 하나의 단계로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

 

한글을 잊지 않고 계속 사용하다보면

우리도 모르는 사이 한글은 계속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