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소변기를 이용할 땐 앞으로 이 각도로 오줌을 싸주세요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오줌이 덜 튀는 최적의 각도는 몇 도일까

 

 

밖에 있는데 오줌이 마려운 경우
남자는 화장실에 있는 소변기를 이용합니다

소변기를 이용할 경우 오줌을 서서 싸게 되는데
소변기 구조상 오줌의 일부가 밖으로 튈 수밖에 없습니다


집에서 싸는 경우 곧바로 청소하거나
앉아서 싸면 되기 때문에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되지만

소변기를 이용하면 신발이나 바지에 일부가 튀기도 하고
주변 바닥이 젖어있어 찝찝한 기분이 들기도 합니다

 


어딘가에서 물줄기가 나오면 어느 정도 흐르다
개별적인 물방울이 되는데
이것은 표면 장력이 약해지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런 현상을 플라토-레일리 불안정성이라고 부르기도 하죠

물줄기가 물방울이 되면 자유롭게 움직이게 되고
이때 벽에 부딪히게 되면 이리저리 튀게 됩니다


오줌 역시 처음엔 물줄기로 나오다 이후에 물방울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멀리서 오줌을 쌀 경우
많은 양의 오줌이 소변기 밖으로 튀게 됩니다

미국 브리검영 대학의 랜디 허드 교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오줌의 줄기가 15cm 정도 됐을 때 물방울로 변했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줌이 튀는 것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선
소변기에 최대한 가까이 가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또 랜디 허드 교수는 오줌이 튀는 것은
양이나 속도보다 각도가 더 큰 영향을 준다고 말했습니다

수직에서 45도 각도로 쌌을 때 오줌이 더 많이 튀었기 때문에
그 이하 각도로 싸는 것이 더 좋다고 합니다

캐나다 워털루 대학 자오 판 교수 연구팀은 어떤 각도로 싸야
오줌이 덜 튀는가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이들은 수컷 강아지가 오줌을 싸는 모습에서 영감을 얻었는데
강아지 역시 오줌을 싸는 동안 일부가 튀어 자신에게 묻을 것이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적의 각도로 쌀 것이라 생각했던 것이죠

연구팀은 다양한 각도를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실험해 봤는데
가장 덜 튀는 각도는 30도였다고 합니다

물론 우리가 오줌을 쌀 때 이 각도를 정확하게 맞출 순 없겠지만
생각보다 조금 더 아래로 싼다는 느낌으로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연구팀은 자신들의 연구 결과를 이용해
오줌이 가장 튀지 않는 소변기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소변기 모양은 앵무조개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입구가 좁기 때문에
모든 키에 맞출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키에 맞출 수 있는 기다란 소변기를 만들었는데
처음 만든 것과 비교해 보면 튀기는 양이 두 배나 더 많긴 했지만
기존의 소변기와 비교해 보면 50배나 덜 튀기 때문에
훨씬 더 청결한 화장실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남자 화장실에는 파리나 과녁이 그려진 소변기가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별다른 설명이 없어도 우리는 모두 이곳을 맞추곤 하죠

파리나 과녁은 재밌으라고 그려 넣은 것이 아니라
30도를 유지시키기 위한 일종의 과학적 장치라고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유전자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한국인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유전자

https://youtu.be/8jEjOdsBam8

요즘 같은 날씨에는 가만히 있어도 땀이 날수밖에 없습니다

땀이 나면 찝찝함도 문제가 되지만
불쾌한 냄새도 문제가 됩니다


땀은 땀샘에서 분비되는데
입술, 성기, 손발톱을 제외한 모든 곳에 있는 에크린샘과
주로 겨드랑이에 있는 아포크린샘 두 종류가 있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다르게
땀 자체는 냄새가 없습니다

하지만 땀을 흘리면 냄새가 납니다

특히 겨드랑이에서 나는 냄새는 얼마나 심한지
암내라는 명칭이 만들어져 따로 불리고 있기도 하죠

 


겨드랑이에서 나는 땀은 아포크린샘에서 분비되는 것인데
아포크린샘은 피지샘과 통로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곳을 통해 나온 땀은
지방, 단백질, 콜레스테롤 같은 것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겨드랑이에는 포도상구균의 일종인
스타파일로코쿠스 호미니스 라는 세균이 살고 있습니다

이 세균은 아포크린샘에서 나오는 땀 속에 있는 이물질을 흡수한 뒤
티오알코올이라는 물질을 만들어내는데
이 물질이 악취의 원인이 됩니다

즉 암내는 땀에서 나는 냄새가 아니라
비유하자면 세균이 땀을 먹고 싼 똥에서 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암내는 아포크린샘에서 땀이 얼마나 나느냐
겨드랑이에 세균이 얼마나 있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암내는 특히 서양인들이 지독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들은 아포크린샘에서 땀의 분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땀의 분비가 활발하냐 활발하지 않느냐는
어떤 유전자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아포크린샘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가
ABCC11이라는 유전자인데

이 유전자는 G형과 A형으로 나누어집니다
G형은 땀의 분비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A형은 땀의 분비가 적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G형을 가지고 있으면 암내가 심하고
A형을 가지고 있으면 암내가 심하지 않습니다



2013년 일본에서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아프리카, 아메리카, 유럽인들은 대부분이 G형을 가지고 있고

동아시아인들은 대부분이 A형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특히 한국인은 모든 사람이
A형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런 이유 때문에 서양 사람들은 암내가 심하고
우리는 암내가 심하지 않은 것입니다

물론 이 연구는 대구 사람 100명을 가지고 한 것이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고 할 수는 없지만


2010년 독일에서 했던 연구 결과에서도
동아시아인들은 A형의 비율이 높다고 한 것으로 봐
 
확실히 우리나라 사람은 다른 나라 사람에 비해
암내 유전자가 적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암내가 심하게 나면 질병으로 분류하기도 하는데
이것을 액취증 혹은 취한증이라고 합니다

액취증은 G형 유전자가 많은 서양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병으로
이들은 냄새를 관리하기 위해 데오드란트 같은 제품을 자주 사용합니다

데오드란트는 아포크린샘을 막아 땀이 나는 것을 방지하고
겨드랑이에 있는 세균을 죽여
암내가 나지 않게 해주는 제품입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데오드란트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필수 보급품처럼 대부분의 사람들이 사용하는 제품이라고 합니다

 


아포크린샘은 귀에도 있습니다
귀에 있는 귀지는 젖은 귀지와 마른 귀지로 나누어지는데
ABCC11 G형을 가지고 있다면 땀 때문에 젖은 귀지가 만들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양인들은 대부분이 젖은 귀지를 가지고 있는데
만약 내가 젖은 귀지를 가지고 있다면
암내가 날 확률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포크린샘이 활발할 경우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내가 젖은 귀지를 가지고 있고
암내가 심하게 난다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뜻이니
이것을 주의해야 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야광은 어떻게 어둠 속에서도 빛을 낼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어떻게 어둠 속에서도 빛을 낼까

 

어두운 곳에서도 빛을 내는 현상 혹은 물건을 야광이라고 합니다

요즘도 야광을 가지고 노는지 잘 모르겠지만
제가 어렸을 땐 방에 불을 끄고 이불 속으로 들어가
어둠속에서도 밝게 빛나는 야광 장난감을 가지고 놀기도 했습니다

스티커로 된 형태도 있어서 방 천장에 붙여 놓고
야광 스티커를 보며 잠에 들기도 했죠


물질을 이루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를 원자라고 합니다
원자는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자는 원자핵 주변을 돌고 있는데
외부의 자극 없이 안정적인 상태를 바닥상태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원자에 자극이 가해지면 전자가 에너지를 가진채
궤도를 벗어나게 되는데 이것을 들뜬상태라고 하죠

 


들뜬상태의 원자는 다시 안정적인 상태인
바닥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들뜬상태에서 바닥상태로 돌아가면
가지고 있던 에너지를 방출하게 되죠

야광은 바로 이런 원리로 빛을 내는 것입니다



야광물질에 빛을 쪼이면 들뜬상태가 되는데
들뜬상태가 되면 전자는 빛을 흡수해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빛이 사라지면 바닥상태로 돌아가는데
이때 전자는 흡수했던 빛을 다시 방출하게 됩니다

그런데 야광물질은 바닥상태로 돌아가는 과정이
아주 천천히 일어납니다

전자가 원래 위치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빛을 계속 방출하기 때문에
우리는 어둠속에서도 빛을 내는 장난감이나 스티커를 볼 수 있는 것입니다

 


결국 야광을 보기 위해선 들뜬상태로 만들어줘야 하기 때문에
빛을 충전해주는 과정을 거치는 것입니다

야광물질과 다르게 바닥상태로 돌아가는 과정이 빠른 물질도 있습니다
이것을 형광물질이라고 하죠


형광물질은 어둠속에서 빛을 내진 못하지만
빛이 있는 환경에서 더 밝게 빛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무언가를 강조할 때 사용되는 형광펜이나
어둠속에서 작업하는 사람들이 입는 안전조끼는
바로 이런 원리를 이용해 만들어집니다



축제나 콘서트장에서는 별다른 장치가 없어도 빛을 내는
야광팔찌를 사용하곤 합니다

야광팔찌에는 다이페닐 옥살레이트라는 형광물질과
과산화수소가 들어있는데
다이페닐 옥살레이트는 야광팔찌 속 얇은 유리관에 담겨 있습니다


야광팔찌를 구부리면 빛이 나는데
팔찌를 구부리면 유리관이 깨져
다이페닐 옥살레이트와 과산화수소가 만나
화학반응이 일어나 빛을 방출하기 때문입니다

팔찌를 구부릴 때 뚜둑하는 소리가 나는데
이것은 얇은 유리관이 깨지는 소리입니다

야광팔찌는 장난감이나 스티커와 다르게 일회용인데
이것은 팔찌에 있는 다이페닐 옥살레이트가 화학반응이 일어나
소모되었기 때문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