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아무리 복잡한 미로라도 쉽게 푸는 방법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이제부터 모든 미로가 쉬워집니다

https://youtu.be/wnCvU32-TxY

입구에서 출구로 가는 길이 복잡하게 되어있는 퍼즐을
미로라고 합니다

수많은 갈림길과 마주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할수록 탈출하는 게 힘들어집니다

그런데 사실 미로는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그 원리만 알면 복잡한 미로라고 해도
생각보다 쉽게 탈출할 수 있습니다


어떤 물체의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을 위상수학이라고 합니다

위상수학에서는 구멍을 뚫거나 새롭게 연결하지 않고
물체를 구부리고, 늘이고, 줄여서 변형시킨 것은
변형시키기 이전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봅니다

예를 들어 원, 세모, 네모 모양의 찰흙이 있다고 해봅시다
이들은 각각 다른 물체이지만
원 모양의 찰흙을 만져 세모로, 네모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위상수학에서는 이들이 모두 같은 성질인 것으로 봅니다

이것과 관련해선 과거 은잡지 영상인 빨대의 구멍은 몇 개인가에서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 하나의 선이 있습니다
이 선으로 미로는 만들 수 없지만 막다른 길은 만들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로를 만들기 위해선 두 개의 선이 필요하죠


여기 두 개의 선이 있습니다
두 개의 선으로 통로를 만들어 봅시다
입구에서 출구로 가려면 앞으로 쭉 가면 됩니다

이 선을 약간 변형시켜 이런 통로가 있다고 하면
앞으로 쭉 가다 위로 올라가면 됩니다

 


조금 더 변형시켜 이런 통로가 있다고 하면
앞으로 쭉 가다 갈림길에서 아래로 가지 말고
위로 올라가면 됩니다

아래가 막혀있다는 정보는 어디서 왔을까요
눈으로 보이는 것도 있지만
앞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하나의 선으로는
막다른 길밖에 만들 수 없기 때문입니다


결국 미로는 두 개의 선을 복잡하게 변형시켜 만든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두 개의 선으로 이루어진 간단한 통로와
복잡한 미로는 위상수학상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두 개의 선 사이로만 간다면
아무리 복잡한 미로라고 해도 단 한 번의 막힘없이 풀어낼 수 있습니다



물론 그러기 위해선 선을 구분하는 사전 작업이 필요합니다
컴퓨터를 이용해 미로를 푼다면 굉장히 쉽게 구분할 수 있는데

포토샵이나 그림판에 미로를 가져온 뒤 페인트 툴을 이용해
선을 구분할 수 있게 색을 채워줍니다

그럼 두 개의 선으로 나누어져 있다는 게 확실히 보입니다


이렇게 되었다면 이제 두 개의 선 사이로만 가면 됩니다
이러면 절대 막히지 않고 출구까지 쉽게 갈 수 있습니다

아무리 복잡한 미로라고 해도
이 방식대로 하면 굉장히 쉽게 미로를 풀 수 있습니다

 


가끔 이렇게 색이 채워지지 않는 선이 있는 미로도 있는데
두 개의 선 사이에 장애물이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갈림길이 나왔을 때 어느 쪽으로 가도 다시 돌아오기 때문에
색이 다른 두 개의 선 사이로만 가는 규칙을 지킨다면
역시 쉽게 풀 수 있습니다

만약 입구와 출구가 여러 개인 경우엔
그 수에 맞게 색을 채우기만 한다면
같은 방법으로 풀 수 있습니다


색을 채울 수 없는 상황이라면
정석적인 풀이 방법인 우수법이나 좌수법을 사용하면 됩니다

한쪽 벽에 손을 대로 계속 따라가는 것으로
우수법은 오른쪽에 있는 벽에 손을 대고 계속 따라는 것이고
좌수법은 왼쪽에 있는 벽에 손을 대고 계속 따라가는 것입니다

결국 미로는 두 개의 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런 방법이 통하는 것입니다

우수법과 좌수법은 실제 미로에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과 입구부터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내가 갔던 길에 표시를 하면서 미로를 푸는 방법도 있는데

갈림길이 나왔을 때 지금 가는 방향에 표시를 해두고
이후에 다시 그 갈림길로 돌아온다면
최대한 표시가 없는 쪽으로 갑니다

만약 표시가 있는 쪽을 한 번 더 지났다면
길이 없다는 뜻이니 그쪽으로 들어가지 않게
새로운 표시를 남겨 경우의 수를 줄여나가면
출구로 가는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트레모 알고리즘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미로는 그저 복잡한 길을 찾는 퍼즐일 것이라 생각했지만
그 풀이 과정에는 수학적 비밀이 숨겨져 있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인류 역사상 가장 끔찍한 처형 도구 캐서린 바퀴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역사상 가장 끔찍한 처형 도구

 

https://youtu.be/cVdL0AFoQMg

287년 알렉산드리아의 상류층 집안에서 태어난 캐서린(카타리나)은
어렸을 때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의 환상을 보고
기독교인이 되기로 결심하게 됩니다

당시 로마 제국에서는 많은 기독교인들이
종교의 가르침을 이유로 병역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런 세력이 점점 커지자 로마 제국의 황제였던 막센티우스는
교회를 파괴하고 성경을 태우기도 하고
기독교인들을 고문하거나 강제노동시키는 식으로
기독교를 박해하기 시작했습니다

 


기독교인이 된 캐서린은 막센티우스의 이런 행동을 보고
그의 잔인함을 이야기하며 강하게 비판했는데

여기에 감명을 받은 일부의 사람들은
기독교로 개종하기도 했습니다

이것을 막기 위해 막센티우스는 지식인들을 불러
캐서린과 이른바 종교 랩 배틀을 했는데
결과는 지식인들의 완패
심지어 이들 중 일부는 기독교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캐서린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자
막센티우스는 그녀를 가두고 고문하기도 했지만
캐서린의 신앙심은 점점 커질 뿐이었습니다

막센티우스는 캐서린을 굶어 죽이려고 헀지만
하늘에서 내려온 비둘기가 그녀에게 음식을 주기도 했으며
천사가 내려와 상처를 치료해 주기도 하고
예수가 직접 내려와 계속 싸우라고 말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결국 막센티우스는 캐서린을 처형시키는데
이때 못이 박힌 바퀴에 몸을 찔러 죽이는 형벌을 명령했습니다

하지만 이것으로 캐서린을 죽일 수 없었습니다
캐서린이 바퀴에 손을 대자 바퀴가 산산조각 났기 때문이죠

이후 캐서린은 참수형을 받아 사망하게 되는데
목이 잘린 순간 붉은 피가 아니라 하얀 우유 같은 것이 쏟아져 나왔다고 합니다

여기서 이름을 따 바퀴 모양의 처형 도구를
캐서린 바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물론 이것은 이야기로만 전해질뿐
캐서린이라는 사람이 실제로 살아있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없다고 합니다

게다가 캐서린은 305년에 사망한 것으로 되어있는데
막센티우스는 306년부터 로마 제국의 황제였습니다


심지어 막센티우스는 기독교를 박해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당시 로마 제국에는 막센티우스 말고 또 다른 황제인
콘스탄티누스 1세가 있었습니다

콘스탄티누스는 기독교를 정식 종교로 인정한 것으로 유명한데
아마도 이것 때문에 기독교에서 콘스탄티누스를 더 부각시키고
막센티우스를 폭군으로 만들기 위해
캐서린이라는 인물을 만들어낸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캐서린 바퀴는 실제로 사용되던 처형 도구입니다
특히 중세 시대에 많이 사용되었는데

실제 마차에 사용되던 바퀴와 같은 모양이었으며
바퀴에 죄수를 묶어놓고 심하게 때려
팔다리를 부러트리는 식이었습니다


그리고 바퀴를 굴려 고통을 줬는데
바퀴 아래에 못이 박힌 나무판자를 두기도 했으며
물이나 불을 둬 고문을 하기도 했습니다

상대적으로 약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머리부터 고통을 줘 즉사시켰지만

흉악 범죄를 저지른 사람은 다리부터 고통을 줘
서서히 죽게 만드는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캐서린 바퀴를 이용한 처형은 공개적으로 이루어지기도 했는데
사람들에게 굴욕적인 모습을 보여줘 모욕감을 느끼게 함과 동시에
굉장히 잔인했기 때문에 일반 대중들에게 공포심을 주기도 했습니다

때리고 고문을 했는데도 죄수가 죽지 않으면
그대로 바퀴에 묶어 방치했다고 합니다

시간이 지나 결국 죽게 되는 경우도 있었고
야생동물에게 뜯겨 고통스럽게 죽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형벌을 받다 바퀴에서 떨어지거나 바퀴가 부서지면
신이 개입한 것으로 해석해 처형식을 멈추는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캐서린 바퀴는 프랑스, 미국, 스웨덴, 러시아, 독일 등
굉장히 여러 나라에서 사용된 처형 도구인데

1800년대에 들어서 인권 문제로 사용이 금지되다
1841년 프로이센에서 사용된 것을 끝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캐서린 바퀴는 캐서린이라는 사람이
실제로 존재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있기 때문에
처형 바퀴, 고문 바퀴, 브레이킹 휠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자식의 성별을 선택해서 낳을 수 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전자파를 많이 쬐면 진짜 딸을 낳을까

여자의 난자는 X 염색체를 가지고 있고
남자의 정자는 X 염색체 또는 Y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여자는 XX 염색체 남자는 XY 염색체기 때문에

X 염색체를 가진 정자(이하 X 정자)와 난자가 만나면 여자가 태어나고
Y 염색체를 가진 정자(이하 Y 정자)와 난자가 만나면 남자가 태어납니다

사람에 따라 선호하는 자식의 성별이 있지만
우리는 이것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남자가 전자파를 많이 쬐면
정자의 수가 줄어들고 운동량이 떨어져
딸을 낳게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게다가 아들을 낳는 방법, 딸을 낳는 방법이 있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정말 이런 방법을 쓰면 자식의 성별을 선택할 수 있을까요?



2011년에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핸드폰을 사용한 남자는 그렇지 않은 남자에 비해
정자의 수가 적고 운동량이 떨어졌다고 합니다

핸드폰에서 나오는 전자파가 정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이죠

X 정자는 Y 정자보다 생존기간이 더 길다고 합니다

정자의 수가 감소하고 운동량이 떨어지면
아무래도 생존기간이 더 긴 정자가 난자와 만나는데 유리할 테니

 


전자파를 많이 쬐면 딸을 낳을 수 있다는 것이
가능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만약 이 연구를 신뢰할 수 있다면 말이죠

정자의 수는 음식이나 술, 입고 있는 옷
운동, 스트레스 같은 것들에도 영향을 받는데
위 실험은 이런 것들까지 완벽하게 통제한 뒤
진행한 실험이 아니기 때문에
신뢰도가 매우 낮은 실험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정말 전자파가 정자의 수와 운동량에 영향을 주는지
아직은 알 수 없는 상태라고 합니다


또 떠도는 이야기에 따르면

딸을 가지고 싶다면
X 정자는 생존기간이 길기 때문에 배란일 전에 관계를 해라
열에 강하기 때문에 따뜻한 상태로 관계를 해라
산성에 강하기 때문에 산성 음식을 먹고 관계를 해라

 


아들을 가지고 싶다면
Y 정자는 더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배란일에 관계를 해라
추위에 강하기 때문에 추운 상태로 관계를 해라
알칼리성에 강하기 때문에 알칼리성 음식을 먹고 관계를 해라

등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전자파 포함 어느 하나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이 없습니다


과거에는 X 정자와 Y 정자 간에 여러 가지 차이가 있다고 생각했지만
2020년에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모양, 크기, 운동성, 산성도, 스트레스 반응 등등
정자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고
유일한 차이점이라고 하면 DNA를 얼마나 가지고 있느냐 였다고 합니다



현재 전 세계 출생성비는 100:106으로 남자가 조금 더 많은 상태입니다

만약 성별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했다면
이런 비율이 진작 깨지지 않았을까요

게다가 전자파에 더 많이 노출될 수밖에 없는 현대에 와서는
남자보다 여자가 더 많이 태어나야 합니다

 


1990년 우리나라의 출생성비는 100:116.5
2022년 우리나라의 출생성비는 100:104.7로
남자는 줄어들고 여자는 늘어나고 있는 상황...

어?

사실 이것은 과거 우리나라의 남자 출생성비가 너무 높았던 것이지
외부의 개입이 없으면 100:105 정도가 자연스러운 출생성비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전자파가 정자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