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깜짝 놀라면 진짜로 애가 떨어지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놀라면 진짜 애가 떨어질까

 

깜짝 놀랐을 때 놀라서 애 떨어질 뻔했다 라고 말하곤 합니다

뱃속에 있는 아기가 유산될 정도로 깜짝 놀랐다는 뜻인데
임산부는 물론 임신을 하지 않은 여자도
임신을 할 수 없는 남자도 사용하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실제로 임신한 상태에서 깜짝 놀라면
놀란 것 때문에 아기가 유산되기도 할까요
https://youtu.be/cULb8j-XXJ8


임신을 하면 뱃속에 있는 아기의 안전을 위해
평소보다 더 조심하게 됩니다

먹는 것을 조심하거나
행동하는 것을 조심하거나
보거나 듣는 것을 조심하기도 하죠

그중에는 놀라서 애 떨어질 뻔했다는 말 때문에
놀라지 않기 위해 공포영화를 보지 않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공포를 느끼거나 큰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이 되면
아드레날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됩니다

아드레날린은 근육의 혈관을 확장시켜
위기 상황에 더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고
생존에 꼭 필요하지 않은 쪽의 혈관은 축소시키는데


이때 자궁의 혈관 역시 축소됩니다

만약 임신 중이라면 태아에게 전달되는 혈액의 양이 줄어들어
태아에게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것이 심해지면 유산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깜짝 놀라면 순간적으로 받는 스트레스 때문에
공포영화를 보면 무서움과 긴장감 때문에
아드레날린이 분비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산의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놀라거나 공포영화 때문에 유산되는 경우는 없다고 합니다
오히려 공포영화를 좋아하는 사람은
영화를 보고 스트레스를 풀 수 있으니
공포영화가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놀라서 애 떨어질 뻔했다 라는 말이 있는 것일까요
사실 여기서 말하는 애는 아기가 아니라
몸속에 있는 장기인 간을 말하는 것입니다

깜짝 놀랐을 때 간 떨어질 뻔했다 라고 말하기도 하는데
간 떨어질 뻔했다와 애 떨어질 뻔했다는 같은 말인 것이죠

그렇다면 깜짝 놀랐을 때 진짜로 간이 떨어질 수 있는 것일까요?

 



우리가 사용하는 관용어에는 이상하게 간이 자주 들어갑니다

간이 부었다, 간이 크다 같은 표현이 있고
애가 탄다, 애를 쓰다에서 나오는 애 역시 간을 말하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사람이 태어나면서 혼백이 같이 만들어진다고 생각했습니다
여기서 혼은 정신을 의미하는 것이고 백은 육체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살아있는 동안 혼백은 몸속의 장기에 머물게 되는데
혼은 간에 머물고 백은 폐에 머문다고 합니다

그래서 간을 중요하게 생각했고
정신에 문제가 생기면 간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간에 문제가 생기면 정신에 문제가 생긴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사람이 죽으면 혼백이 나누어져
혼은 하늘로 올라가고 백은 땅으로 꺼지게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너무 놀랐을 때 혼비백산이라는 말을 사용하곤 하는데
이것은 혼이 날아가고 백이 흩어졌다는 뜻으로
정신과 육체가 분리될 정도로
즉 죽을 정도로 놀랐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넋이 나갔다, 얼이 빠졌다 라는 표현에서 넋과 얼은 혼을 말하는 것으로
과거에는 어떤 표현을 할 때 혼을 자주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놀라서 애 떨어질 뻔했다, 간 떨어질 뻔했다 라는 표현은
아이나 간이 아니라 혼이 떨어져 나갈 뻔했다 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죽을 정도로 놀랐다 라는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애 떨어질 뻔했다에서 애는 아이를 말하는 것이 아니지만
아이를 말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하게 되면서
놀라면 유산될 수 있으니
임산부는 놀라면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엄청 힘든 상황에서 ㅈ 빠지겠네 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오늘부터는 역사와 전통이 있는
혼 빠지겠네 라는 표현을 사용하면 어떨까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99년 동안 풀리지 않았던 미스터리 살아 움직이는 돌의 비밀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99년 동안 풀리지 않았던 살아 움직이는 돌 미스터리

메마른 땅과 몇 개의 돌이 덩그러니 놓여있는 아주 삭막한 곳
그래서 살아 있는 생명체를 움직이는 생명체를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놀랍게도 이곳에는 살아 움직이는 돌이 있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곳으로
1913년 56.7도를 기록하면서
지구에서 가장 더운 곳으로 기네스북에 올라
오전 10시 이후에는 산책이 금지되어 있는
바로 이곳은 데스 밸리입니다

 

 


이곳에는 돌이 미끄러져 움직였기 때문에 만들어진 흔적이 있습니다

심지어 이 흔적은 일정한 방향으로만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마치 돌이 살아서 움직이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되어 있습니다

돌은 곡선으로 움직이기도 하고
갑자기 방향을 꺾기도 하고
되돌아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한 가지 신기한 점은 돌이 어디에 있든
모두 비슷한 움직임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움직이다 보면 트랙이 만들어지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는데
이런 이유 때문에 움직이는 돌이 있는 데스 밸리의 일부 지역을
레이스트랙 플라야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리고 레이스트랙 플라야에 있는 움직이는 돌을
항해하는 돌 혹은 세일링 스톤이라고 부릅니다



처음 이 돌을 발견한 사람은
1915년 광산을 찾기 위해 데스 밸리를 조사하던 조셉 크룩이란 사람으로

땅에 있는 흔적을 보고
이곳에 있는 돌은 움직인다고 확신하게 되었습니다

산이나 언덕에 있는 돌이 바람이나 동물에 의해
굴러떨어지는 현상은 가끔 발생하긴 하지만

데스 밸리는 평평한 곳이기 때문에 굴러떨어질 수 없어
이런 현상이 더욱 신기할 수밖에 없습니다

 


일부의 전문가들은 바람 때문에 돌이 움직인 것이 아니냐
하는 의문을 가졌지만

36kg의 돌도 움직인 흔적이 있었기 때문에
단순히 바람 때문에 움직였다고 하기엔 무리가 있었습니다


사람이나 동물이 접근한 흔적도 없고
그렇다고 돌이 진짜로 살아서 움직인 것은 아닐 테고
하지만 실제로는 돌이 움직인
뭐라 설명할 수 없는 기이한 현상이었죠

그래서 외계인의 짓이다
레이스트랙에 있는 신비한 에너지 때문이다 등등
여러 가지 추측이 난무하는 미스터리한 지역이 되었습니다



1970년대에는 항해하는 돌의 비밀을 풀기 위해
30개의 돌을 선별해 라벨을 붙이고 땅에 말뚝을 박아
어떤 원리로 움직이는지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실험은 7년이나 진행되었는데
여름에는 움직이지 않고 겨울에만 움직인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실험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움직인 돌은 260m를 움직였고
한 번의 겨울에 가장 많이 움직인 돌은 201m를 움직였습니다

30개의 돌중 2개의 돌은 전혀 움직이지 않았다고 합니다


이들은 실험을 하는 동안 돌에 이름을 붙이기도 했는데
320kg으로 가장 무거운 돌인 카렌(Karen)은
실험 기간 동안 전혀 움직이지 않다가

1992년 유난히 습했던 겨울에 갑자기 사라져버렸다고 합니다
그리고 1994년 레이스트랙에서 800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7년 동안 실험을 했음에도
돌이 움직이는 원리는 찾을 수 없었습니다

결국 항해하는 돌은 영원히 미스터리로 남는 것처럼 보였죠



그러던 중 2000년대 들어서 항해하는 돌이 움직이는 이유는
얼음 때문이라는 새로운 가설이 등장했습니다

비가 와서 물웅덩이가 생겨도
높은 온도 때문에 빠르게 말라버리는 지역을 플라야라고 합니다


레이스트랙 플라야도 여기에 해당하는데
비가 와서 물웅덩이가 생기면
겨울밤에는 추운 날씨 때문에 웅덩이가 얼게 됩니다

그리고 아침이 되면 다시 더운 날씨 때문에 얼음이 녹게 되는데
이때 얼음이 녹는 과정에서 바람이 불면
아직 녹지 못한 얼음조각은 물웅덩이를 떠다니게 됩니다

레이스트랙에 있는 돌은 바로 이런 원리로 움직인다는 것이죠

 


비가 와서 웅덩이가 생기고 겨울밤 추운 날씨 때문에 얼게 되면
항해하는 돌도 같이 얼게 되는데

아침에 얼음이 녹을 때 바람이 불면
돌 주변에 있는 아직 녹지 못한 얼음조각과 함께
돌이 물웅덩이를 떠다닌다는 것입니다

마치 돌이 얼음 뗏목을 타고 항해하는 것처럼 말이죠

이런 원리라면 얼음이 돌과 물 사이에 미세한 틈을 만들어주기 때문에
무거운 돌도 움직이는 것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마침내 한 연구팀이 돌에 GPS를 달고 끊임없는 촬영을 한 덕분에
실제로 돌이 얼음과 함께 움직이는 모습을 담아내는데 성공합니다

가설이 증명되는 역사적인 순간이었습니다

이 돌은 2013년 1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224m를 이동했다고 합니다


1915년 처음 발견되고 99년이 흐른 뒤에야
항해하는 돌 미스터리가 풀리게 된 것이죠

외계인도 신비한 에너지도 아닌 독특한 환경 때문에
돌이 살아서 움직이는 것처럼 보였던 것입니다

레이스트랙 플라야의 독특한 환경
그리고 이 환경 때문에 움직일 수 있는 돌 덕분에
이곳은 꽤나 유명한 장소가 되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고환을 맞으면 죽을 것처럼 아픈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고환을 맞으면 왜 세상이 끝날 것 처럼 아플까

 

남자가 가지고 있는 생식기관인 고환은
종족 번식에 필요한 정자를 만들어내기도 하고

근육과 뼈를 발달시키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만들어내는
아주 중요한 기관 중 하나입니다

몸에 있는 다른 곳과 다르게 고환은
살짝만 충격을 받아도 엄청 엄청 말도 안 되게 아픈 부위이기도 합니다

https://youtu.be/4DKdhcmBmmk


그래서 누군가 고환을 맞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면
적, 아군을 가리지 않고 모두가 하나 되어
맞은 사람을 걱정하는 마법 같은 일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고환은 급소로 분류되어 있기도 하기 때문에
격투기 규칙에는 고환을 때리는 것이 금지되어 있기도 하죠



우리의 뇌는 살아가는데 있어 아주 중요하기 때문에
두개골이라는 뼈가 보호하고 있습니다

심장이나 폐 같은 장기 역시 아주 중요하기 때문에
갈비뼈라는 뼈가 보호하고 있습니다

고환 역시 아주 중요하지만
이상하게 고환은 근육이나 뼈가 보호하고 있지 않습니다
대신 많은 신경세포가 존재할 뿐이죠


신경세포가 자극을 느끼고 이런 정보를 뇌로 전달하면
우리가 통증을 느끼게 되는데
신경세포가 많이 있으면 자극에 대한 정보를 많이 전달하게 되니
살짝만 맞아도 다른 곳에 비해 더 큰 고통이 오게 됩니다

그래서 고환을 맞으면 인생이 끝날 것처럼 아픈 것이죠


우리가 태아 상태일 때 고환은 배 속에서 만들어집니다
그러다 점점 몸 밖으로 나오게 되죠

이때 신경조직도 같이 나오게 되는데
고환의 신경조직은 배, 척추, 엉덩이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고환을 맞으면 배나 허리, 엉덩이가 아프기도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고환은 몸 밖에 있는 것일까요

우리의 몸은 주위 환경에 관계없이
언제나 36.5도를 유지하려고 노력합니다

이것은 음식물을 소화하고 에너지를 얻는데 관여하는 효소가
활발하게 활동하기 위한 적정 온도가 36.5도이기 때문입니다

고환에서 만들어지는 정자는 온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생존에 필요한 적정 온도는 체온보다 약간 낮은
32도~35도 사이라고 합니다

근육이나 뼈가 고환을 보호하고 있으면 고환의 온도가 올라가
정자가 생존하지 못하기 때문에
몸 안이 아니라 몸 밖에 위치하고 있는 것입니다


고환은 중요한 곳입니다
맞았을 때 빠르게 반응하지 못하면 성장을 하거나
종족 번식을 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환에 신경 세포가 많이 있는 이유는
자극에 대해 빠르게 반응하고 방어하기 위함인 것입니다


고환을 맞으면 몸이 움츠러들게 되는데
이것은 이후에 있을 다음 자극으로부터 고환을 보호하기 위한
본능적인 동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고환을 맞았을 때 보통은 시간이 지나면 통증이 가라앉습니다
하지만 통증이 20분 이상 지속된다면
고환에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으니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