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닿는 순간 돌이 되는 지구상에 실존하는 메두사 호수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지구상에 실존하는 메두사 호수

 

https://youtu.be/lXI14IaeFes

긴 다리와 붉은색의 깃털을 가지고 있는 홍학은
무리를 지어 사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탄자니아 국경 근처에 있는 나트론 호수에는
굉장히 많은 홍학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영국의 사진작가 닉 브랜트는 이런 홍학의 사진을 찍기 위해
2010년 나트론 호수를 찾았습니다


그는 호수에 도착하고 굉장히 놀랐습니다
나트론 호수는 다른 호수와 달리
물이 빨간색이었기 때문이죠

그뿐만이 아니었습니다

닉 브랜트는 호수 위에 있는 홍학의 사진을 찍었는데
살아있는 것처럼 보였던 홍학은
한순간에 몸에 있는 모든 것이 빠져나간 것 같은 모습을 하고
죽어있었기 때문입니다



지금 보이는 이 사진이 닉 브랜트가 찍은 홍학의 사진입니다
얼핏 보면 백조처럼 보이긴 하지만
부리와 다리를 보면 홍학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사진은 2013년 사람들에게 공개되었는데
홍학이 마치 메두사를 보고 돌이 되어버린 것 같다고 해서
사람들은 나트론 호수를 메두사 호수라고 불렀습니다

한 가지 더 놀라운 점은 이 호수에 있는 다른 동물 역시
홍학처럼 굳은 채로 죽어있다는 것입니다


전문가들이 나트론 호수의 비밀을 풀기 위해 호수를 조사해 본 결과
나트론 호수에는 탄산수소나트륨이 굉장히 많이 있었다고 합니다

탄산수소나트륨은 염기성 물질이기 때문에
탄산수소나트륨이 굉장히 많이 있는 나트론 호수는
강한 염기성을 띠고 있습니다


산성 물질이라고 하면 우리는 일단 위험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물론 실제로 위험하기도 하지만
게임이나 영화에서 뭐든 녹여버리는 물질로 나오기 때문이죠

그에 비해 염기성 물질은 그다지 위험하다는 느낌은 없습니다
하지만 염기성 물질 역시 위험한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단백질은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성분인데
강한 염기성은 단백질을 녹여버리기 때문에
생명체에게는 산성보다 더 위험한 물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트론 호수는 강한 염기성 호수이기 때문에
생명체가 호수에 닿으면 단백질이 녹고 피부가 부식돼
사망하게 될 수 있습니다


게다가 탄산수소나트륨은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데
생명체는 대부분이 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산수소나트륨이 많이 있는 나트론 호수에 닿으면
수분이 쭉 빨려 마치 돌이 된 것처럼 굳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홍학을 비롯한 많은 동물들이 이런 모습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탄산수소나트륨은 이런 성질 때문에
과거 고대 이집트에서 미라를 만들때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사람 역시 이곳에 들어가면 굉장히 위험할 수 있는데
실제로 1950년 미국의 조류학자 레슬리 브라운이
나트론 호수 근처 진흙에 빠지는 일이 있는데
다리가 부식돼 피부이식을 해야 했다고 합니다



이곳에는 생명체는 거의 없고 고농도의 염분을 좋아하는
할로아케아라는 고세균이 살고 있는데

할로아케아는 빨간색이기 때문에
나트론 호수가 빨간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이런 환경에서 홍학이 살고 있는 이유는
홍학의 다리는 탄산수소나트륨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입니다


물론 다리를 삐끗하는 순간 이 홍학처럼 사망하게 될 수 있지만
실수만 하지 않는다면 다른 포식자들은 접근조차 할 수 없기 때문에
이곳에 살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닉 브랜트의 사진에 등장하는 동물들은
실제로 이렇게 죽은 것은 아닙니다
닉 브랜트가 호수에 떠 있는 사체를 보고
나뭇가지나 바위에 직접 올려놓고 찍은 연출된 사진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나트론 호수에 의해 사망한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입니다


나트론 호수의 온도는 보통 40도 정도 되고
최대 60도까지 올라간다고 합니다

생명체에게는 극악의 환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나트론 호수를 죽음의 호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똥구멍이 찢어지게 가난하다고? 왜 하필 똥구멍이 찢어지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왜 하필 똥구멍이 찢어지게 가난하다고 할까

 

https://youtu.be/Ur_v0bgJpAY

돈도 없고 먹을 것도 없고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을 때
똥구멍이 찢어지게 가난하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합니다

신체의 여러 부위 가운데
하필 똥구멍이 찢어진다고 하는 이유는
실제로 과거에는 가난한 사람들은 똥구멍이 찢어졌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주식은 쌀입니다
지금은 쌀말고도 먹을 것이 많이 있기 때문에
의존도가 많이 떨어졌지만
과거에는 먹을 것이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의존도가 많이 컸습니다

쌀은 9월~10월 사이에 수확을 합니다
이것을 추수라고 하죠


지금은 쌀 품종이 개량돼 생산량이 늘어나기도 했고
기술의 발전으로 오래 보관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사시사철 쌀을 먹을 수 있지만

과거에는 생산량이 지금처럼 많지 않았고
오래 보관할 수 없는 데다 일부를 세금으로 냈기 때문에

4월부터는 쌀이 다 떨어져
다음 추수까지 공백 기간이 발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쌀 추수가 끝나고 보리를 심어
공백기를 버티려고 했지만
보리는 5월~6월이 되어야 추수가 가능했기 때문에
4월, 5월이 되면 모아놓은 식량이 다 떨어져
많은 사람들이 굶주리곤 했습니다

이 시기를 보릿고개라고 하죠


특히 가난한 사람들은 보릿고개에 먹을 것이 없어
굶어 죽기도 했는데 이들중 일부는 살기 위해
살기 위해 나무껍질이나 풀뿌리를 먹기도 했습니다

이것을 초근목피라고 부르며
칡뿌리나 소나무 껍질을 주로 먹었다고 합니다

소나무 껍질은 물에 삶아 부드럽게 만들어 먹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런 것들은 우리가 소화할 수 없는 음식이라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니 영양분을 보충하지도 못했고
탈이 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잘 먹지 못하니 변비에 걸려
잘 싸지 못하기도 했는데

특히 나무껍질이나 풀뿌리에 많이 있는 섬유질은 수분을 흡수해
대장에 있는 똥을 딱딱하게 만드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보릿고개일 때 변비에 걸리면 평소보다 더 심각했으며
똥이 아니라 돌덩어리를 싸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실제로 가난한 사람들은 돌덩어리 아니 똥을 싸다
똥구멍이 찢어지는 경우가 있었다고 합니다

똥구멍이 찢어지게 가난하다라는 말은
여기서 유래한 것이며 비유가 아니라 실제 상황이었던 것입니다


추가로 우리가 인사를 할 때 안녕하세요라는 말을 사용합니다

안녕은 아무 일 없으셨죠? 좀 괜찮으셨나요?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
보릿고개일 때 혹시나 주변 지인이 밤사이 굶어 죽지는 않았는지
안부를 확인하는 식으로 먼저 사용되던 말이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IQ테스트에 숨겨진 추악한 진실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IQ 테스트에 숨겨진 추악한 진실

 

프랑스의 심리학자 알프레드 비네는
1904년 프랑스 교육부로부터
정규 교육을 따라가지 못하는 학생을
구분하는 방법을 찾아달라는 요청을 받았습니다

그는 테오도르 시몬과 함께 이런 학생들을 구분하기 위해
지능을 테스트할 여러 가지 질문을 만들었습니다

질문은 나이가 올라갈수록 점점 더 어려워지는 식이었습니다

https://youtu.be/lfd78L3FRq4


예를 들어 6살 학생에게는 이런 그림을 보여주며
어떤 얼굴이 더 예쁜 얼굴인가 고르도록 했고
7살 학생에게는 이런 그림을 보여주며
그림에 이상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물어봤습니다

또 선을 똑같이 따라갈 수 있는지
두 그림의 공통점은 무엇인지
그림을 기억할 수 있는지 같은 것들도 있었습니다


이런 질문을 토대로 학생들의 정신연령을 수치화했는데
나이에 맞는 질문을 통과하지 못하면 정신연령이 낮은 것으로
통과하면 정신연령이 높은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이것을 비네-시몬 테스트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1916년 미국의 심리학자 루이스 터먼은
비네-시몬 테스트를 개정해

창의력, 기억력, 수학 능력, 언어 능력 같은 것들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테스트를 만들었는데
이것이 바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IQ 테스트이며

이 테스트로 나온 정신연령에 자신의 나이를 나누고 100을 곱하면
테스트를 한 사람의 지능 지수 즉 IQ가 나오게 됩니다


알프레드 비네가 과거 테스트를 만들었던 이유는
정규 교육을 따라가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추가 교육을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지능은 태어날 때부터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주위 환경이나 생활 방식에 따라
바뀔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터먼의 생각은 달랐습니다
지능은 태어날 때부터 고정되어 있고
심지어 이것은 유전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유전자 중
우수한 유전자와 그렇지 않은 유전자를 구분해

우수한 유전자를 가진 사람만
자손을 번식시켜야 한다는 이론이 우생학입니다

루이스 터먼 역시 우생학을 지지했는데
자신의 IQ 테스트를 이용해 낮은 지능이나 지적장애를 찾아내
이것이 더 이상 유전될 수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IQ 테스트를 진행해 높은 점수를 받은 사람에게만
장교 훈련을 받을 수 있게 해줬으며

1920년대에는 IQ 테스트 결과가 낮은 사람들을
강제로 불임시키는 법을 만들기도 했습니다

이것을 단종법이라고 하죠

나치 독일 역시 IQ 테스트 결과가 낮은 사람들을
무참히 살해하기도 했습니다


또 백인이 다른 인종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IQ 테스트를 이용하기도 했으며
결과를 조작해 백인은 우월하기 때문에
다른 인종과의 결혼을 금지하기도 했습니다 

당시에는 IQ 테스트가 과학적인 것으로
진리인 것으로 여겨졌고
사람간 차별을 두는식으로 악용되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인권에 대한 인식이 바뀌면서
사람들은 IQ 테스트는 정말 과학적인가
에 대한 의문을 품기 시작했습니다

전문가들이 이것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지능은 환경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게다가 더 우월한 유전자라는 건 없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기도 하고

IQ가 모든 능력을 대변해 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밝혀지면서
우생학은 완전히 폐기된 이론이 되었으며
IQ 테스트는 절대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평가받게 되면서
현재는 참고하는 용도로만 사용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