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비행기 바퀴는 엄청 작은데 어떻게 무거운 비행기를 견디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작은 바퀴가 어떻게 비행기 무게를 견딜까

 

비행기 바퀴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우리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자동차 바퀴는
65cm 정도 되는데

비행기 바퀴는 120~130cm 정도 된다고 합니다

즉 비행기 바퀴는 우리가 보기에 굉장히 작아 보였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작은 크기는 아니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비행기 크기에 비하면 비행기 바퀴는
굉장히 작다고 할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QU84r48d6gY

 

 


장거리 여객기 중 하나인 보잉 747의 경우
길이가 70m가 넘고

승객과 짐, 연료까지 모두 채웠을 때 무게가
400t 정도 되기 때문에

이 작은 바퀴가 이 정도의 무게를 견딘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입니다



바퀴의 공기압을 나타내는 단위를 psi라고 합니다
숫자가 높을수록 공기가 많이 들어가 기압이 높다는 뜻입니다

자동차 바퀴의 경우 30psi 정도 됩니다
그런데 비행기 바퀴는 200psi 이상입니다

비행기가 착륙하는 순간 비행기 바퀴에
엄청난 힘이 전달됩니다


이때 바퀴의 모양이 변형되는 것 같은 문제가 발생하면
큰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바퀴의 기압이 높다는 것은
바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밀어내는 힘이 강하다는 것입니다

밀어내는 힘이 강하다는 것은
외부에서 강한 힘이 전달된다고 해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비행기는 착륙할 때 바퀴의 모양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기압을 높게 가져가는 것입니다



비행기가 비행을 할 때 외부 온도는 영하 50도 정도 됩니다
그리고 착륙할 때 바퀴에 전달되는 온도는 250도 정도 됩니다

바퀴 내부에 있는 물질은 이런 온도 변화를 견뎌야 하죠
그래서 비행기 바퀴는 다른 바퀴와 다르게
안정적이라 온도에 따른 변화가 적은 물질인
질소를 채워 넣습니다

그리고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특수 합성고무를 사용합니다



비행기 무게는 바퀴로만 견디는 것이 아닙니다
바퀴에 완충장치가 연결되어 있는데

바퀴와 완충장치를 합쳐 랜딩기어라고 합니다

비행기 앞쪽에 있는 랜딩기어를 노즈기어라고 하며
비행기 중간에 있는 랜딩기어를 메인기어라고 합니다


완충장치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올레오 쇼크 스트럿입니다

완충장치 내부에 유압유와 질소가 채워져 있는데
착륙하는 순간 유압유가 먼저 충격을 흡수해 주고
이후에 질소가 한 번 더 충격을 흡수해 줍니다

비행기 바퀴는 이런 특징을 가지고 있어
작지만 비행기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것입니다


비행기에는 바퀴가 여러 개 달려 있어
착륙할 때 발생하는 힘이 분산되기도 하는데
바퀴의 개수는 비행기의 크기에 따라 달라집니다
보잉 747은 18개, 보잉 777은 14개의 바퀴가 있습니다

비행기 바퀴는 착륙 횟수를 보고 교체합니다
바퀴를 만들 때 250회 정도 견딜 수 있게 하지만
안전을 위해 이것보다 더 적은 횟수일 때 교체한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햄스터는 볼에 얼마나 많은 음식을 채울 수 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볼에 얼마나 많은 음식이 들어갈까

 

햄스터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둥글둥글한 몸에 작은 귀,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는 햄스터
귀여운 외모 덕분에 반려동물로 많이 키우는 동물 중 하나입니다

햄스터는 많은 음식을 입에 넣어
볼빵빵한 모습으로 돌아다니기도 하는데
작은 입에 이렇게 많은 음식이 들어가 있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입니다

 

https://youtu.be/M6LXnrG0D54

 


햄스터는 딱 보기에도 그렇지만
굉장히 약합니다
그래서 수많은 동물을 천적으로 가지고 있죠

햄스터가 살아남기 위해선 이들의 눈을 피해야 합니다
아무래도 낮에 활동하는 것보다 밤에 활동하는 것이
사냥당할 확률이 더 적기 때문에
햄스터는 주로 밤에 활동합니다


그런데 참 안타깝게도 햄스터는 먹이를 2시간에 한 번씩 먹어야 합니다
만약 2시간마다 먹이를 구하러 나간다면
아무리 밤이라고 해도 사냥당할 확률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들은 먹이를 구할 수 있을 때 최대한 많이 구해놓는데
많은 먹이를 구하기 위해 입안에 넣는 선택을 하게 된 것입니다




햄스터가 먹이를 저장하는 곳은
정확히 말하면 입안이 아니라 입안에 있는 주머니입니다

이것을 볼주머니라고 하죠

햄스터의 볼주머니는 근육과 탄성이 있는 섬유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볼주머니에 먹이를 넣으면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해
먹이를 안쪽으로 밀어 넣습니다


그리고 먹이가 계속 들어올 수 있게 주머니가 얇아져
공간이 점점 커지게 됩니다

햄스터는 자기 몸무게의 20%를
볼주머니에 저장할 수 있다고 합니다

종류에 따라 무게가 다르지만
많이 키우는 시리아 햄스터의 경우 150g까지 나간다고 하니
30g의 먹이를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이죠


이것을 단순하게 비교해 보면
60kg의 사람이 입안에 12kg의 음식을 저장하게 되는 것입니다

버거킹 와퍼의 경우 약 300g 정도 되니
40개의 와퍼를 입안에 넣는 셈이 됩니다



햄스터의 볼주머니에는 침이 분비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먹이를 원래 상태 그대로 보관할 수 있죠

햄스터는 땅속에 굴을 파고 삽니다
이렇게 한가득 먹이를 저장한 뒤에
자신의 굴로 돌아와 한쪽에 잔뜩 쌓아두고
필요할 때마다 먹는다고 합니다


햄스터의 볼주머니는 먹이를 저장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종에 따라 다르지만 강을 건너야 하는 극단적인 상황일 때
볼주머니에 공기를 가득 채워 튜브처럼 만들어 강을 건너기도 합니다

단 햄스터는 원래 물을 싫어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이것이 신기하다고 해서 키우는 햄스터를 물에 빠트리는 일은
절대 해서는 안됩니다

또 위험한 상황이 되면 새끼를 볼주머니에 넣어
새끼를 안전하게 보호하기도 합니다


집에서 햄스터를 키우는 경우
볼주머니에 먹이를 넣는 모습을 자주 보지 못할 수도 있는데
며칠이나 계속 볼빵빵한 상태로 있다면
볼에 있는 먹이를 꺼내지 못하고 있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살펴보거나 병원에 가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세계 최초로 만들어진 역사상 가장 건강한 담배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세계 최초로 만들어진 건강한 담배

 

건강한 담배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담배에는 중독을 일으키는 니코틴을 포함해
각종 암을 발생시키는 유해 물질이 굉장히 많이 들어있어
건강에 좋지 않은 제품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만약 건강한 담배가 있다면 어떨까요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물론
피우지 않는 사람도 솔깃하는 말일 것입니다

https://youtu.be/9iwPNh8sB08

 


1952년 미국의 담배 회사 로릴라드 타바코 컴퍼니는
바로 이런 점을 이용했습니다

담배는 크게 담뱃잎이 들어 있는 궐련 부분과
필터가 들어있는 필터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필터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만들어진 섬유가 주원료인데
담배에 있는 유해 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모든 유해 물질을 걸러주지는 못하죠

다시 말해 필터가 담배에 있는 모든 유해 물질을 걸러줄 수 있다면
건강한 담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지금 보이는 이 광물은 크로시돌라이트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세한 섬유 다발로 구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유해 물질의 입자를 잡아둘 수 있고
기체나 액체가 통과하면서 불순물이 걸려져
깨끗한 기체나 액체를 만들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죠

게다가 1000도까지 견딜 수 있다는 말이 있고
물을 잘 흡수하지 않아 활용도가 굉장히 높은 물질입니다


그래서 크로시돌라이트를 기적의 물질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로릴라드는 바로 이 크로시돌라이트를 이용해
담배 필터를 만들었습니다

크로시돌라이트가 담배의 유해 물질을 걸러주기 때문에
건강한 담배가 될 것이라 생각했던 것이죠


로릴라드는 이 필터를 마이크로나이트라고 불렀으며
당시 사장이었던 허버트 켄트의 이름을 따
담배 이름을 켄트라고 지었습니다

로릴라드는 켄트를 역사상 가장 건강한 담배라고 말하며
광고하기도 했죠



건강한 담배 켄트는 굉장한 인기를 끌었습니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물론
담배를 끊은 사람도 다시 돌아와 켄트를 피웠습니다

그렇다면 켄트는 정말 건강한 담배였을까요?
이들이 사용한 크로시돌라이트라는 물질은
석면 중 하나인 청석면이라고 불리는 물질입니다


석면은 과거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사용되었는데
특히 학교 천장에서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석면이 호흡기에 노출될 경우 배출되지 않고 문제를 일으키는데
폐가 딱딱하게 굳어버리는 폐섬유증을 유발하기도 하며
폐암이나 악성 중피종에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1군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으며
지금은 사용이 금지된 물질입니다


게다가 10~40년의 잠복기를 가지고 있어
증상이 곧바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위험성이 알려진 뒤로는 기적의 물질이 아니라
소리 없는 살인자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석면은 백석면, 갈석면, 청석면이 있는데
이 중에서 청석면, 크로시돌라이트가 가장 위험합니다



로릴라드는 가장 위험한 물질로 필터를 만들어
담배에 넣은 뒤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유해 물질을 걸러준다고 해서
건강한 담배라고 해서 피웠는데
사실은 발암물질을 입에 대고
직접적으로 흡입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즉 켄트는 역사상 가장 건강한 담배가 아니라
역사상 가장 위험한 담배였던 것이죠


켄트에 대한 이런 문제가 조금씩 나타나자
로릴라드는 1956년 중반부터 필터를 다른 소재로 바꿨지만

이미 많은 사람들이 크로시돌라이트 담배를 피운 뒤였습니다

시간이 지나 켄트를 피웠던 흡연자들이
악성 중피종에 시달리게 되었고
건강한 담배라고 속여 판매한 로릴라드에게
지금도 소송을 걸고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