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중세 수도자들은 왜 정수리만 빡빡 밀고 다녔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수도자들은 왜 이런 머리를 했을까

 


톤슈라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종교를 믿고 교리에 따라 생활하는 사람을
수도자라고 합니다

수도자들은 어떤 종교를 믿느냐에 따라
모습이 조금씩 다르기도 한데

특히 불교는 머리카락을 빡빡 밀어야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죠

 

 


그리고 중세의 가톨릭 수도자들은 지금 보이는 것처럼
머리 가운데, 정수리 부분을 빡빡 밀고

앞머리, 옆머리, 뒷머리를 조금 남겨 고리처럼 만드는
특이한 머리스타일을 해야 했습니다

이런 헤어스타일을 만든 사람은 바로
1073년부터 가톨릭의 교황이었던 그레고리오 7세입니다



당시 가톨릭 수도자들은 결혼에 대한 제한이 전혀 없었지만
그레고리오 7세는 자식이나 친척들 때문에
수도자들이 올바른 길로 가지 못한다고 판단해

현재 성직자이거나 성직자를 꿈꾸는 사람은
결혼을 금지하고 평생 독신으로 살아야 한다는 것을
교령으로 만들어 발표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미 결혼 한 사람들을 강제로 이혼 시키도 했습니다


말만 들었을 땐 너무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당시 고위 성직자들이 지역 영주나 왕에게 재물을 상납하면서
많은 혜택을 받다가 물러날 때가 되면
자식들에게 그 자리를 물려주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것을 방지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즉 그레고리오 7세는 부패를 없애고
가톨릭이 왕권으로부터 독립해 스스로 힘을 키우기 위해
결혼을 금지한 것입니다

그러면서 머리스타일에 대한 제한을 두기도 했죠



기독교 역사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사람 중 한 명은 바로 사도 바울입니다

바울은 원래 기독교를 믿지 않고
기독교를 믿는 사람을 죽이고 다녔는데

어느 날 예수님의 계시를 받고 기독교인이 되어
예수님의 말씀을 전하고 다닌 사람입니다

 


기독교의 교리를 적은 책을 성경이라고 합니다
성경은 기초가 되는 구약성경과
추가적인 계시가 담겨있는 신약성경으로 나눌 수 있는데

사도 바울은 신약성경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바울서신을 쓰기도 했습니다

그레고리오 7세는 신앙심을 더욱 높이기 위해
사도 바울의 모습을 따라 하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바울의 모습은 사도행전에 나와있는데
사도행전 18:18을 보면
겐그레아에서 머리를 깎았다고 나와있습니다

즉 그레고리오 7세가 따라 하라고 말한 바울의 모습은
머리를 빡빡 깎은 대머리가 된 모습이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구약성경 레위기 19:27을 보면
머리를 빡빡 깎지 말라고 나와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들은 고민고민하다 결국 이런 머리를 탄생시켰습니다
머리를 빡빡 깎으라는 교황의 말을 따르면서
빡빡 깎지 말라는 성경의 말을 따르기도 하는

빡빡 깎은 것도 깎은 것도 아닌 머리가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독특한 이 머리스타일을 톤슈라라고 부릅니다


톤슈라는 부패를 없애고 신앙심을 높이며
가톨릭의 힘을 키우기 위해 만들어진 머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직자의 모습을 보면 머리에 둥근 접시 같은 모자를 쓰기도 합니다
이 모자를 주케토라고 부르는데


톤슈라를 할 경우 머리카락이 없는 부분이 춥기 때문에
추위를 막기 위해 쓰는 모자입니다

톤슈라는 현대에 와서도 계속 유지되다
1972년 교황 바오로 6세가 금지하고 난 뒤부터 사라지게 되었지만
일부의 성직자들은 신앙심을 이유로
교황에게 허락을 받고 여전히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햄스터는 볼에 얼마나 많은 음식을 채울 수 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볼에 얼마나 많은 음식이 들어갈까

 

햄스터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둥글둥글한 몸에 작은 귀, 짧은 꼬리를 가지고 있는 햄스터
귀여운 외모 덕분에 반려동물로 많이 키우는 동물 중 하나입니다

햄스터는 많은 음식을 입에 넣어
볼빵빵한 모습으로 돌아다니기도 하는데
작은 입에 이렇게 많은 음식이 들어가 있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입니다

 

https://youtu.be/M6LXnrG0D54

 


햄스터는 딱 보기에도 그렇지만
굉장히 약합니다
그래서 수많은 동물을 천적으로 가지고 있죠

햄스터가 살아남기 위해선 이들의 눈을 피해야 합니다
아무래도 낮에 활동하는 것보다 밤에 활동하는 것이
사냥당할 확률이 더 적기 때문에
햄스터는 주로 밤에 활동합니다


그런데 참 안타깝게도 햄스터는 먹이를 2시간에 한 번씩 먹어야 합니다
만약 2시간마다 먹이를 구하러 나간다면
아무리 밤이라고 해도 사냥당할 확률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들은 먹이를 구할 수 있을 때 최대한 많이 구해놓는데
많은 먹이를 구하기 위해 입안에 넣는 선택을 하게 된 것입니다




햄스터가 먹이를 저장하는 곳은
정확히 말하면 입안이 아니라 입안에 있는 주머니입니다

이것을 볼주머니라고 하죠

햄스터의 볼주머니는 근육과 탄성이 있는 섬유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볼주머니에 먹이를 넣으면 근육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해
먹이를 안쪽으로 밀어 넣습니다


그리고 먹이가 계속 들어올 수 있게 주머니가 얇아져
공간이 점점 커지게 됩니다

햄스터는 자기 몸무게의 20%를
볼주머니에 저장할 수 있다고 합니다

종류에 따라 무게가 다르지만
많이 키우는 시리아 햄스터의 경우 150g까지 나간다고 하니
30g의 먹이를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이죠


이것을 단순하게 비교해 보면
60kg의 사람이 입안에 12kg의 음식을 저장하게 되는 것입니다

버거킹 와퍼의 경우 약 300g 정도 되니
40개의 와퍼를 입안에 넣는 셈이 됩니다



햄스터의 볼주머니에는 침이 분비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먹이를 원래 상태 그대로 보관할 수 있죠

햄스터는 땅속에 굴을 파고 삽니다
이렇게 한가득 먹이를 저장한 뒤에
자신의 굴로 돌아와 한쪽에 잔뜩 쌓아두고
필요할 때마다 먹는다고 합니다


햄스터의 볼주머니는 먹이를 저장하는 용도로만 사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종에 따라 다르지만 강을 건너야 하는 극단적인 상황일 때
볼주머니에 공기를 가득 채워 튜브처럼 만들어 강을 건너기도 합니다

단 햄스터는 원래 물을 싫어하는 동물이기 때문에
이것이 신기하다고 해서 키우는 햄스터를 물에 빠트리는 일은
절대 해서는 안됩니다

또 위험한 상황이 되면 새끼를 볼주머니에 넣어
새끼를 안전하게 보호하기도 합니다


집에서 햄스터를 키우는 경우
볼주머니에 먹이를 넣는 모습을 자주 보지 못할 수도 있는데
며칠이나 계속 볼빵빵한 상태로 있다면
볼에 있는 먹이를 꺼내지 못하고 있는 것일 수 있기 때문에
살펴보거나 병원에 가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세계 최초로 만들어진 역사상 가장 건강한 담배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세계 최초로 만들어진 건강한 담배

 

건강한 담배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담배에는 중독을 일으키는 니코틴을 포함해
각종 암을 발생시키는 유해 물질이 굉장히 많이 들어있어
건강에 좋지 않은 제품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만약 건강한 담배가 있다면 어떨까요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물론
피우지 않는 사람도 솔깃하는 말일 것입니다

https://youtu.be/9iwPNh8sB08

 


1952년 미국의 담배 회사 로릴라드 타바코 컴퍼니는
바로 이런 점을 이용했습니다

담배는 크게 담뱃잎이 들어 있는 궐련 부분과
필터가 들어있는 필터 부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필터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 만들어진 섬유가 주원료인데
담배에 있는 유해 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모든 유해 물질을 걸러주지는 못하죠

다시 말해 필터가 담배에 있는 모든 유해 물질을 걸러줄 수 있다면
건강한 담배를 만들 수 있습니다



지금 보이는 이 광물은 크로시돌라이트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미세한 섬유 다발로 구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유해 물질의 입자를 잡아둘 수 있고
기체나 액체가 통과하면서 불순물이 걸려져
깨끗한 기체나 액체를 만들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죠

게다가 1000도까지 견딜 수 있다는 말이 있고
물을 잘 흡수하지 않아 활용도가 굉장히 높은 물질입니다


그래서 크로시돌라이트를 기적의 물질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로릴라드는 바로 이 크로시돌라이트를 이용해
담배 필터를 만들었습니다

크로시돌라이트가 담배의 유해 물질을 걸러주기 때문에
건강한 담배가 될 것이라 생각했던 것이죠


로릴라드는 이 필터를 마이크로나이트라고 불렀으며
당시 사장이었던 허버트 켄트의 이름을 따
담배 이름을 켄트라고 지었습니다

로릴라드는 켄트를 역사상 가장 건강한 담배라고 말하며
광고하기도 했죠



건강한 담배 켄트는 굉장한 인기를 끌었습니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물론
담배를 끊은 사람도 다시 돌아와 켄트를 피웠습니다

그렇다면 켄트는 정말 건강한 담배였을까요?
이들이 사용한 크로시돌라이트라는 물질은
석면 중 하나인 청석면이라고 불리는 물질입니다


석면은 과거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사용되었는데
특히 학교 천장에서 많이 볼 수 있었습니다

석면이 호흡기에 노출될 경우 배출되지 않고 문제를 일으키는데
폐가 딱딱하게 굳어버리는 폐섬유증을 유발하기도 하며
폐암이나 악성 중피종에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1군 발암물질로 분류되어 있으며
지금은 사용이 금지된 물질입니다


게다가 10~40년의 잠복기를 가지고 있어
증상이 곧바로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위험성이 알려진 뒤로는 기적의 물질이 아니라
소리 없는 살인자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석면은 백석면, 갈석면, 청석면이 있는데
이 중에서 청석면, 크로시돌라이트가 가장 위험합니다



로릴라드는 가장 위험한 물질로 필터를 만들어
담배에 넣은 뒤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유해 물질을 걸러준다고 해서
건강한 담배라고 해서 피웠는데
사실은 발암물질을 입에 대고
직접적으로 흡입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즉 켄트는 역사상 가장 건강한 담배가 아니라
역사상 가장 위험한 담배였던 것이죠


켄트에 대한 이런 문제가 조금씩 나타나자
로릴라드는 1956년 중반부터 필터를 다른 소재로 바꿨지만

이미 많은 사람들이 크로시돌라이트 담배를 피운 뒤였습니다

시간이 지나 켄트를 피웠던 흡연자들이
악성 중피종에 시달리게 되었고
건강한 담배라고 속여 판매한 로릴라드에게
지금도 소송을 걸고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