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을사늑약, 120년 전 모든 걸 끝내버린 불평등 조약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을사년 그날 맺어진 강제 조약


을사늑약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2025년 새로운 해가 밝았습니다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2025년은 60년에 한번 돌아오는 푸른 뱀의 해입니다
푸른 뱀의 해를 을사년이라고 부르기도 하죠

 

https://youtu.be/kGvtlTzbM3M

 


산업혁명 이후 18세기, 19세기부터
서양을 중심으로 근대화에 대한 바람이 불기 시작했습니다

이 바람은 아시아에도 영향을 줬는데
여러 아시아 국가 중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통해
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근대화에 성공했습니다

일본은 바다 한가운데 있는 섬나라입니다
영토를 늘리는 것이 쉽지 않고
세계 흐름을 따라가지 못해 고립될 가능성도 적지 않은 나라이죠


그래서 아주 옛날부터 대륙 진출을 꿈꿨는데
그 대상이 바로 가장 가까이 있던 한반도입니다

이런 야망은 특히 메이지 유신 때 더욱 커지게 되었는데
조선을 점령한 뒤 중국까지 진출해
일본이라는 나라의 힘을 키워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1860년대부터 불붙기 시작한 일본의 이런 사상을
정한론이라고 합니다



당시 힘 있는 나라는 주변에 힘없는 나라를 침략해
영토를 넓히고 영향력을 행사하며 식민지로 만드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났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힘 있는 나라라고 해도
주변을 모두 신경 쓸 수 없고
다른 나라가 침략하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는 여기를 가져갈 테니 너희는 저기를 가져가라며
각종 조약이나 협정을 맺곤 했습니다

이것은 일본 역시 마찬가지였죠


조선에서 가장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던 곳은 청나라입니다
일본은 청나라를 몰아내기 위해
1894년 청나라와 전쟁을 했으며 그 전쟁에서 승리해
영향력을 줄이는 시모노세키 조약을 1895년에 맺게 됩니다

청나라가 물러간 이후엔 위기감을 느낀 고종은
경복궁을 탈출해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했습니다
이것을 아관파천이라고 하죠


그리고 러시아의 도움을 받아 경운궁으로 돌아온 뒤
국호를 조선에서 대한제국으로 바꾸었습니다

일본이 가만히 있지 않았습니다 러시아를 몰아내기 위해
1904년 러시아와 전쟁을 했으며 그 전쟁에서 승리해
자신들이 조선, 대한제국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포츠머스 조약을 1905년에 맺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과 가쓰라 태프트 밀약을
영국과 제2차 영일동맹을 맺으며

주변 강대국으로부터 대한제국을 지배할 수 있는
명분을 얻게 되었죠

이제 일본에게 남은 것은 대한제국의 승낙뿐이었습니다


1905년, 지금으로부터 120년 전
지금과 같은 푸른 뱀의 해, 을사년일 때
일본의 이토 히로부미는 고종을 만나기 위해 대한제국에 왔습니다

그의 목적은 대한제국과 조약을 맺기 위함이었는데
그 조약의 내용은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일본이 가져간다는 내용이었습니다
당연하게도 고종은 이것을 거절했습니다


하지만 이토 히로부미는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조약을 맺기 위해 계속 문을 두드렸고
고종은 이것을 계속 거절했습니다

그러던 중 1905년 11월 17일 이토 히로부미는 안되겠다 싶었는지
군대를 이끌고 경운궁으로 들어와 대신들을 불러
조약에 대한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이때 고종은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참석한 사람은 지금의 부총리인 참정대신 한규설
지금의 재무부장관인 탁지부대신 민영기
지금의 법무부장관인 법부대신 이하영

지금의 교육부장관인 학부대신 이완용
지금의 국방부장관인 군부대신 이근택
지금의 행정안전부장관인 내부대신 이지용
지금의 외교부장관인 외부대신 박제순
지금의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인 농상공부대신 권중현이었습니다

회의는 굉장히 공포스러운 분위기에서 진행되었습니다
한규설은 조약을 강하게 반대하다가
회의 도중 배치되어 있던 군인에게 끌려가 감금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민영기, 이하영 역시 조약을 반대했습니다

하지만 이완용, 이근택, 이지용, 박제순, 권중현은
강압을 이기지고 못하고 조약에 찬성한다는 의견을 냈습니다

그러자 이토 히로부미는 다수가 찬성했으니
조약이 이루어졌다고 말하며 


외부대신 박제순의 도장을 빼앗아 강제로 찍어버렸습니다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일본에게 빼앗기는 순간이었죠
이것으로 외국에 있던 대한제국의 외교 기관이 모두 폐지되었으며
대한제국에 있던 다른 나라의 공사관이 모두 철수했습니다



외교권을 빼앗긴다는 것은
단순히 다른 나라와 교류를 못하게 된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외국에 나가는 것도 외국인이 들어오는 것도 힘들어지며
부당한 일을 당해도 그것을 알릴 수 없으며
국제사회의 도움을 받을 수도 없게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한제국이라는 나라는 여전히 존재하지만
일본이라는 나라의 그림자에 갇혀 지내야 하는
꼭두각시가 되어버린 것이죠


대한제국의 주권을 일본에게 빼앗긴 시점은 1910년부터라고 말하곤 하지만
사실상 이때부터 주권을 빼앗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렇게 1905년 을사년에 일본이 강제로 맺은 이 조약을
을사조약이라고 하는데
억지로, 강제로 맺었기 때문에 조약이라고 하지 않고
을사늑약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리고 을사늑약에 찬성한 이완용, 이근택, 이지용, 박제순, 권중현을
을사년에 있었던 다섯 명의 역적이라고 해서
을사오적이라고 부릅니다

추가로 을사늑약을 반대했던 민영기, 이하영은
을사늑약 이후 친일파가 되어 아주 열심히 활동했다고 합니다


을사늑약은 맺어진 순간 효력이 발생하지도 않는
꼭 지켜야 하는 것도 아닌 불법적인 조약이었습니다

우리는 1905년에 맺은 이 조약을 을사늑약이라고 부르지만
사실 당시에 이 조약은 제목이 없었습니다

을사년에 맺어진 것이기 때문에
편의를 위해 을사늑약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뿐이죠


제목이 없다는 것은 내용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도 않았고
완성되지도 않은 굉장히 허술한 조약이라는 것을 뜻합니다
을사늑약은 조약이 아니라 일본의 일방적인 통보인 것이었죠

을사늑약에는 외부대신의 도장이 찍혀있는데
이것은 일본이 강제로 빼앗아 찍은 것인데다

최종 결정권자인 고종의 도장이 찍혀있지 않습니다

즉 을사늑약은 처음부터 무효인 조약이라는 것입니다


을사늑약이 맺어지고 60년이 지난 뒤 1965년 다시 을사년일 때
우리나라는 일본과 다시 한번 조약을 맺었습니다
이 조약을 한일기본조약이라고 하는데

실제로 일본은 이 조약을 통해
1905년에 맺은 을사늑약이 무효인 것을 인정했습니다



을사늑약이 맺어진 이후 굉장히 많은 관료들이 반발했습니다
을사오적을 죽여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으며
스스로 목숨을 끊어 반대 의견을 강하게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일반 백성들 역시 을사늑약에 반대하며 들고 일어나기도 했는데
이것을 을사의병이라고 합니다


고종은 을사늑약이 무효인 것을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1907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2차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보내기도 했지만 힘의 논리에 의해 실패했습니다

이것을 헤이그 특사라고 합니다

을사늑약 이후 일본은 대한제국에 정치와 군사 관련 업무를 보는
통감부를 설치하고 이토 히로부미를 통감으로 임명했습니다


을사늑약은 외교권만 가져가는 것인데
정치와 군사 관련 업무를 보는 통감부까지 설치한 이유는
대한제국에 남아있는 마지막 권력까지 뺏어오기 위함이었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1910년 통감부는 조선총독부로 바뀌어
일본이 모든 권력을 가져가게 되었습니다

이것으로 대한제국은 멸망하고
본격적인 일제강점기가 시작됐습니다



분위기가 먼가 으스스하고 우중충해
무언가 안 좋은 일이 일어날 것 같을 때
을씨년스럽다 라는 말을 하곤 합니다

여기서 을씨년은 을사늑약이 맺어진 1905년 을사년을 말하는 것으로
지금의 분위기가 그때의 분위기와 같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2025년 을사년은 부디 을씨년스럽지 않고
평화롭고 행복한 날만 가득했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