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영국이 만든 역사상 가장 천재적인 전쟁 무기 판잰드럼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역사상 가장 천재적인 전쟁 무기


판잰드럼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은
주변의 나라를 굉장히 빠른 속도로 점령했습니다

네덜란드, 벨기에, 프랑스 같은 나라도
나치 독일에게 무릎을 꿇었죠

하지만 영국만큼은 나치 독일에게 지지 않고
끝까지 저항했습니다

 

https://youtu.be/ALEck67qcW0

 

 

독일은 영국 점령을 포기하고 군대를 물린 뒤
영국을 포함한 미국이나 프랑스 같은
연합국이 역으로 쳐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해안선 쪽에 커다란 벽을 만들었습니다

이것을 대서양 방벽이라고 합니다

연합국이 점령당한 곳을 되찾고 독일을 공격하기 위해선
가장 먼저 대서양 방벽을 뚫어내야 했죠



하지만 대서양 방벽을 뚫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대서양 방벽은 철근과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높이 3m에 두께는 2m가 되는 굉장히 두꺼운 벽임과 동시에

들어오는 상대를 공격할 수 있는 벙커를 곳곳에 만들어뒀기 때문이죠

 


대서양 방벽을 뚫기 위해 무작정 달려들면
굉장히 많은 피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방벽을 뚫을 수 있을까 고민하던 중
영국이 바퀴에 폭탄을 넣고 굴리면
방벽을 뚫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정말 천재적인 생각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바퀴에 로켓을 달아 추진력을 받게 하면
사람이 직접 굴리지 않아도 바퀴가 방벽까지 갈 수 있을 것이라는
정말 정말 천재적인 생각도 하게 되죠

이들은 생각을 실행에 옮겼습니다
폭탄이 들어있는 높이 3m의 커다란 바퀴를 만들고
그곳에 로켓을 달아 사람이 굴리지 않아도
시속 100km의 속도로 방벽까지 굴러가는
말도 안 되는 무기를 탄생시켰습니다

영국은 이 무기를 그레이트 판잰드럼(Great Panjandrum)이라고 불렀습니다



판잰드럼은 노르망디에서 사용할 계획이었습니다

그래서 영국은 노르망디 해변과 비슷한 지형을 가진
애플도어라는 곳에서 판잰드럼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런데 애플도어는 인기 있는 휴가지라 사람들이 있었고
비밀리에 진행됐던 프로젝트를 많은 사람들이 알게 되었습니다

 



1943년 판잰드럼 실험이 시작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바퀴가 잘 굴러가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그런데 이후에 한쪽 바퀴의 로켓이 문제를 일으켜
원하는 방향으로 가지 못했습니다

영국은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판잰드럼 실험을 계속 진행했죠

 



하지만 속도가 잘 나지 않거나
로켓이 바퀴에서 분리돼 이리저리 날뛰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영국은 바퀴를 더 정교하게 만들고 로켓을 더 많이 달면서
판잰드럼 실험을 성공적으로 끝내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1944년 1월 판잰드럼을 보기 위해 해군 관계자와 과학자
사진 작가들까지 모이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때도 역시 판잰드럼 실험을 진행했는데
잘 굴러가던 판잰드럼이 갑자기 방향을 틀어
아군 쪽으로 돌아오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사람들은 판잰드럼을 피해 달아나기 시작했고
일부는 철조망에 뛰어들기도 했다고 합니다

이 사건이 있은 후 판잰드럼 프로젝트는 완전히 폐기되었습니다
아무리 위력적이라고 하더라도
제대로 굴러가지 않는 바퀴를
작전에 사용할 수는 없었기 때문이죠

판잰드럼은 원래 1944년 6월에 있었던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사용하려고 했지만
결국 사용하지 못했습니다

 



2009년 노르망디 상륙작전 65주년을 기념해
판잰드럼을 새롭게 만들어 굴려봤는데
원하는 방향으로 굴러가긴 했지만 속도가 느려
실제로 사용하기엔 무리가 있어 보였습니다

판잰드럼은 아이디어는 천재적이었지만
어쩌면 처음부터 사용할 수 없는 무기였던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중국과 인도는 왜 이렇게 인구가 많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중국과 인도는 왜이렇게 인구가 많을까

 

인구수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지구에 인간이 등장했을 때부터 지금까지
인구수는 꾸준하게 계속 늘어났습니다

지구의 인구는 기원전 1000년 1억 명을 넘긴 것으로 추측되고
1700년대 10억 명을 넘겼으며
1900년대에는 10억 명이 더 추가되어 20억 명이 되었습니다

지금은 지구 인구가 80억 명 정도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https://youtu.be/ECqPpS9mtTI

 


지구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인도로
14억 5천만 명 정도 되고
그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나라는 중국으로
14억 2천만 명 정도 됩니다

이 둘을 합치면 약 28억으로
지구 인구의 35%를 차지합니다

중국과 인도의 면적을 합치면
지구 전체 육지 면적의 8% 밖에 안되지만
인구는 35%를 차지한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입니다



어떤 곳에 사람이 많이 모여 살기 위해서는
먼저 그곳이 많은 사람이 살기에 충분히 커야 하며
그곳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식량이 많이 만들어져야 합니다

특히 과거의 인류는 농사를 지으며 살았기 때문에
많은 식량을 만들 수 있는 곳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먹고살 수 있는 곳으로 모여들었습니다


비옥한 땅이 있는 곳, 깨끗한 물이 흐르는 강이 있는 곳이
바로 사람들이 살기에 좋은 장소였습니다

중국에는 양쯔강, 황하, 흑룡강, 주강처럼
세계적으로 유명한 강이 많이 있습니다

인도에도 갠지스강, 인더스강, 야무나강처럼
세계적으로 유명한 강이 많이 있습니다

즉 중국과 인도에는 농사를 지을 수 있는
좋은 환경의 땅이 많이 있다는 것입니다


또 닭이나 소, 돼지 같은 동물을 가축화하는 것도
아시아에서 출발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사람들이 먹을 수 있는 식량이 충분했다는 것이죠

이런 이유 때문에 아주 옛날부터
중국과 인도에는 사람들이 많이 살고 있었습니다



유럽은 밀을 주식으로 합니다
반면 아시아는 쌀을 주식으로 하죠

어떤 지역에서 사용 가능한 자원으로
얼마만큼의 인구를 부양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것을
인구 부양력이라고 합니다

쌀은 밀보다 생산량이 높고 더 많은 칼로리를 만들어 냅니다
그래서 쌀은 밀보다 인구 부양력이 높습니다


다시 말해 아시아는 쌀을 주식으로 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먹고살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쌀은 노동력이 투입되는 만큼
수확량도 커진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쌀농사를 짓기 위해 자식을 많이 낳게 되고
이것은 노동력이 되어 더 많은 쌀을 만들어내니
또 자식을 낳는 선순환이 이루어져
인구가 더 많아지게 되었습니다



중국의 국토 면적은 세계에서 네 번째
이중 13%를 농경지로 쓸 수 있고

인도의 국토 면적은 세계에서 일곱 번째
이중 50% 이상을 농경지로 쓸 수 있어

식량도 많이 나오는 곳입니다

실제로 중국과 인도는 세계 쌀 생산량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인간이 등장한 이후로 수많은 전쟁이 있었고
각종 전염병으로 인구수가 줄어드는 일이 있었지만

중국과 인도는 처음부터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었고
식량도 많이 만들어지는 곳이기 때문에
다시 인구가 쉽게 늘어나게 되었고

지금처럼 전체 인구의 35%를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출산율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이것은 중국과 인도도 마찬가지이죠

하지만 이들은 워낙 사람이 많이 있어
계속 높은 인구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중세 수도자들은 왜 정수리만 빡빡 밀고 다녔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수도자들은 왜 이런 머리를 했을까

 


톤슈라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종교를 믿고 교리에 따라 생활하는 사람을
수도자라고 합니다

수도자들은 어떤 종교를 믿느냐에 따라
모습이 조금씩 다르기도 한데

특히 불교는 머리카락을 빡빡 밀어야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죠

 

https://youtu.be/Xr5OeFeX9Xk

 


그리고 중세의 가톨릭 수도자들은 지금 보이는 것처럼
머리 가운데, 정수리 부분을 빡빡 밀고

앞머리, 옆머리, 뒷머리를 조금 남겨 고리처럼 만드는
특이한 머리스타일을 해야 했습니다

이런 헤어스타일을 만든 사람은 바로
1073년부터 가톨릭의 교황이었던 그레고리오 7세입니다



당시 가톨릭 수도자들은 결혼에 대한 제한이 전혀 없었지만
그레고리오 7세는 자식이나 친척들 때문에
수도자들이 올바른 길로 가지 못한다고 판단해

현재 성직자이거나 성직자를 꿈꾸는 사람은
결혼을 금지하고 평생 독신으로 살아야 한다는 것을
교령으로 만들어 발표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미 결혼 한 사람들을 강제로 이혼 시키도 했습니다


말만 들었을 땐 너무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당시 고위 성직자들이 지역 영주나 왕에게 재물을 상납하면서
많은 혜택을 받다가 물러날 때가 되면
자식들에게 그 자리를 물려주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것을 방지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즉 그레고리오 7세는 부패를 없애고
가톨릭이 왕권으로부터 독립해 스스로 힘을 키우기 위해
결혼을 금지한 것입니다

그러면서 머리스타일에 대한 제한을 두기도 했죠



기독교 역사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사람 중 한 명은 바로 사도 바울입니다

바울은 원래 기독교를 믿지 않고
기독교를 믿는 사람을 죽이고 다녔는데

어느 날 예수님의 계시를 받고 기독교인이 되어
예수님의 말씀을 전하고 다닌 사람입니다

 


기독교의 교리를 적은 책을 성경이라고 합니다
성경은 기초가 되는 구약성경과
추가적인 계시가 담겨있는 신약성경으로 나눌 수 있는데

사도 바울은 신약성경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바울서신을 쓰기도 했습니다

그레고리오 7세는 신앙심을 더욱 높이기 위해
사도 바울의 모습을 따라 하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바울의 모습은 사도행전에 나와있는데
사도행전 18:18을 보면
겐그레아에서 머리를 깎았다고 나와있습니다

즉 그레고리오 7세가 따라 하라고 말한 바울의 모습은
머리를 빡빡 깎은 대머리가 된 모습이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구약성경 레위기 19:27을 보면
머리를 빡빡 깎지 말라고 나와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들은 고민고민하다 결국 이런 머리를 탄생시켰습니다
머리를 빡빡 깎으라는 교황의 말을 따르면서
빡빡 깎지 말라는 성경의 말을 따르기도 하는

빡빡 깎은 것도 깎은 것도 아닌 머리가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독특한 이 머리스타일을 톤슈라라고 부릅니다


톤슈라는 부패를 없애고 신앙심을 높이며
가톨릭의 힘을 키우기 위해 만들어진 머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직자의 모습을 보면 머리에 둥근 접시 같은 모자를 쓰기도 합니다
이 모자를 주케토라고 부르는데


톤슈라를 할 경우 머리카락이 없는 부분이 춥기 때문에
추위를 막기 위해 쓰는 모자입니다

톤슈라는 현대에 와서도 계속 유지되다
1972년 교황 바오로 6세가 금지하고 난 뒤부터 사라지게 되었지만
일부의 성직자들은 신앙심을 이유로
교황에게 허락을 받고 여전히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