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중세 수도자들은 왜 정수리만 빡빡 밀고 다녔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수도자들은 왜 이런 머리를 했을까

 


톤슈라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종교를 믿고 교리에 따라 생활하는 사람을
수도자라고 합니다

수도자들은 어떤 종교를 믿느냐에 따라
모습이 조금씩 다르기도 한데

특히 불교는 머리카락을 빡빡 밀어야 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죠

 

 


그리고 중세의 가톨릭 수도자들은 지금 보이는 것처럼
머리 가운데, 정수리 부분을 빡빡 밀고

앞머리, 옆머리, 뒷머리를 조금 남겨 고리처럼 만드는
특이한 머리스타일을 해야 했습니다

이런 헤어스타일을 만든 사람은 바로
1073년부터 가톨릭의 교황이었던 그레고리오 7세입니다



당시 가톨릭 수도자들은 결혼에 대한 제한이 전혀 없었지만
그레고리오 7세는 자식이나 친척들 때문에
수도자들이 올바른 길로 가지 못한다고 판단해

현재 성직자이거나 성직자를 꿈꾸는 사람은
결혼을 금지하고 평생 독신으로 살아야 한다는 것을
교령으로 만들어 발표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미 결혼 한 사람들을 강제로 이혼 시키도 했습니다


말만 들었을 땐 너무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당시 고위 성직자들이 지역 영주나 왕에게 재물을 상납하면서
많은 혜택을 받다가 물러날 때가 되면
자식들에게 그 자리를 물려주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것을 방지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즉 그레고리오 7세는 부패를 없애고
가톨릭이 왕권으로부터 독립해 스스로 힘을 키우기 위해
결혼을 금지한 것입니다

그러면서 머리스타일에 대한 제한을 두기도 했죠



기독교 역사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사람 중 한 명은 바로 사도 바울입니다

바울은 원래 기독교를 믿지 않고
기독교를 믿는 사람을 죽이고 다녔는데

어느 날 예수님의 계시를 받고 기독교인이 되어
예수님의 말씀을 전하고 다닌 사람입니다

 


기독교의 교리를 적은 책을 성경이라고 합니다
성경은 기초가 되는 구약성경과
추가적인 계시가 담겨있는 신약성경으로 나눌 수 있는데

사도 바울은 신약성경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바울서신을 쓰기도 했습니다

그레고리오 7세는 신앙심을 더욱 높이기 위해
사도 바울의 모습을 따라 하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바울의 모습은 사도행전에 나와있는데
사도행전 18:18을 보면
겐그레아에서 머리를 깎았다고 나와있습니다

즉 그레고리오 7세가 따라 하라고 말한 바울의 모습은
머리를 빡빡 깎은 대머리가 된 모습이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구약성경 레위기 19:27을 보면
머리를 빡빡 깎지 말라고 나와있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들은 고민고민하다 결국 이런 머리를 탄생시켰습니다
머리를 빡빡 깎으라는 교황의 말을 따르면서
빡빡 깎지 말라는 성경의 말을 따르기도 하는

빡빡 깎은 것도 깎은 것도 아닌 머리가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독특한 이 머리스타일을 톤슈라라고 부릅니다


톤슈라는 부패를 없애고 신앙심을 높이며
가톨릭의 힘을 키우기 위해 만들어진 머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성직자의 모습을 보면 머리에 둥근 접시 같은 모자를 쓰기도 합니다
이 모자를 주케토라고 부르는데


톤슈라를 할 경우 머리카락이 없는 부분이 춥기 때문에
추위를 막기 위해 쓰는 모자입니다

톤슈라는 현대에 와서도 계속 유지되다
1972년 교황 바오로 6세가 금지하고 난 뒤부터 사라지게 되었지만
일부의 성직자들은 신앙심을 이유로
교황에게 허락을 받고 여전히 유지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인류 역사상 가장 황당한 전쟁 무기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역사상 가장 황당한 전쟁 무기

 

인류 역사상 가장 황당한 전쟁 무기

아주 먼 옛날부터 인간은
크고 작은 싸움을 계속 해왔습니다

지금도 지구 저편에선 전쟁을 하고 있죠

 

https://youtu.be/VhXo6mWFoUQ

 


전쟁에서는 어떤 무기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승패가 좌우되기도 합니다

지금은 정교하고 강력한 무기가 있기 때문에 딱히 필요가 없지만
과거에는 동물을 무기로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아시아나 아프리카 국가에서
코끼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죠

코끼리는 인간보다 훨씬 거대하기 때문에
등장하는 것만으로도 상대를 압도할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코끼리를 한 번도 보지 못한 사람에게 있어 코끼리는
괴물이나 다름없는 존재였기 때문에
싸움을 시작하기도 전에 겁을 먹기도 했습니다



코끼리는 전투력도 뛰어납니다
몸무게가 4t 정도라 별다른 공격은 하지 않고
그냥 지나가는 것만으로도 상대에게 엄청난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코끼리의 가죽은 굉장히 질깁니다
당시에 사용하던 무기로는 코끼리에게 타격을 입히는 것이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고대 인도에서는
코끼리가 없는 군대는 사자가 없는 숲과 같다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기원전 543년 마가다의 왕인 빔비사라는
코끼리 군대를 굉장히 좋아했다고 합니다

기원전 331년에 있었던 가우가멜라 전투에서
기원전 280년에 있었던 피로스 전쟁에서
코끼리가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고대 카르타고의 한니발 바르카 역시
코끼리 군대를 자주 사용했습니다



고대 로마에서는 코끼리 군대를 골칫거리로 생각했습니다
어떻게든 코끼리 군대를 무력화시키기 위해 노력했죠

코끼리는 소음에 약합니다
고대 로마는 바로 이점을 이용했습니다


이들이 코끼리 군대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한 것은
어떤 무기가 아니라 동물
그중에서도 돼지였습니다

돼지가 울면 굉장히 듣기 싫은 소리가 납니다
그래서 듣기 싫은 꽥꽥대는 소리를
돼지 멱따는 소리라고 말하기도 하죠


상대가 코끼리 군대를 출격시키면
고대 로마에서는 돼지 군대를 출격시켰습니다

돼지가 소리를 지르면 코끼리는 그 소리에 놀라
허둥대며 도망갔는데
이러는 과정에서 코끼리에 탄 병사가 떨어지거나
아군을 짓밟아 죽이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돼지 군대가 코끼리 군대를 무력화시키는데
효과적이었던 것입니다


고대 로마인들은 이왕 돼지를 사용하는 거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고자 했습니다

그래서 한 가지 방법을 생각해냈는데
돼지의 몸에 기름을 바르고 불을 붙이는 것이었습니다


이러면 코끼리도 무력화시키면서
상대 진영을 태워버리기도 하는
하나의 폭탄이 될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이름하여 불타는 돼지의 등장인 것입니다


하지만 이 무기는 아쉽게도 큰 활약을 하지 못했습니다

혼란스러운 전쟁터에서 자신의 몸에 불이 붙은 돼지가
정신을 똑바로 차리고 있을리 없기 때문이죠

불타는 돼지는 코끼리에게 다가가지 못하고 죽거나
다시 아군 방향으로 돌아와
아군 진영을 태워버리기도 했습니다

돼지의 울음소리는 분명 코끼리 군대에 효과가 있었지만
이런 이유 때문에 코끼리 군대만큼 주력으로 사용하지는 못했습니다



이처럼 전쟁 무기로 사용된 동물들을
전쟁 코끼리, 전쟁 돼지라고 부르는데

아무래도 동물은 완벽히 통제할 수 없기도 하고
키우거나 유지하는데 돈이 많이 들기 때문에

이후에 장갑차나 탱크가 나타나면서
사용되지 않는 쪽으로 바뀌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유럽은 왜 화장실도 별로 없고 사용할 때 돈을 내야 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유럽은 왜 화장실이 유료일까


유료화장실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여러분들은 하루에 화장실을 몇 번이나 가나요

물을 얼마나 마셨는지 음식을 얼마나 먹었는지에 따라 다르지만
성인의 경우 하루 평균 화장실에 가는 횟수는
5번 정도 된다고 합니다(소변 기준)

 

https://youtu.be/-vlSbFSw4Vs

 


우리나라는 화장실이 잘 되어있기 때문에
화장실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적지만
외국에 나가면 특히 유럽에 나가면
화장실 문제가 발생하게 될 수 있습니다

유럽에는 화장실도 별로 없는 데다
돈을 내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죠

 



그리스 크레타 섬에 있는 이 화장실은
기원전 3000년 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돌 위에 앉아 볼일을 보면 아래에 물이 지나가면서
배설물을 씻어내는 원리였죠

상하수도 시스템이 잘 갖추어져 있어
목욕 문화가 발달했던 고대 로마에서도
물로 씻어내는 화장실이 있었습니다


로마에는 약 400개의 공중화장실이 있었는데
일부의 부자들은 개인용 화장실을
집안에 만들어 놓기도 했습니다

즉 아주 옛날부터 유럽에는 지금과 다르게
지금과 비슷한 원리를 가진 수세식 화장실이
아주 많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69년 로마의 황제였던 베스파시아누스는 바로 이런 점을 이용했습니다

당시에는 공중화장실에 모인 오줌을 수거해
세탁 세제로 사용하는 업체가 있었는데
베스파시아누스는 오줌 수거에 세금을 부과해
잦은 전쟁으로 인해 부족해진 나라의 돈을 채우기도 했습니다

이것이 유료 화장실의 시초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후 고대 로마가 멸망하면서
유럽의 화장실 문화도 같이 멸망하게 되었습니다

중세 유럽은 종교 그중에서도
기독교가 지배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기독교에서 성적 쾌락을 추구하는 것을 정욕이라고 부릅니다
기독교에서는 정욕을 죄로 구분짓기도 했는데
알몸은 정욕을 일으킨다고 해서 목욕을 금지하기도 했으며
공중화장실 이용 역시 금지했습니다

그래서 급한 사람들은 길거리에 볼일을 보거나
집에서 처리한 배설물을 집 밖으로 던져버리기도 했습니다


이런 문화가 중세 동안 이어져 오면서
그 많던 공중화장실이 하나 둘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물론 지금은 청결이나 위생 관념이 바뀌었지만
역사적 이유 때문에 여전히 유럽에서 화장실을 찾는 것이
어렵게 되어버린 것입니다

좋은 시스템을 갖추고 있던 유럽의 화장실이
중세를 거치면서 후퇴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유럽의 물은 대부분이 석회수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석회수가 흐르다 보면 석회 성분이 쌓이게 되고
석회 성분이 배관을 막기 때문에
유럽의 화장실은 더 자주 관리를 해야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런 부분을 하나의 복지로 생각하기 때문에
나라가 직접 관여하지만

유럽의 경우 사용하는 사람이 책임져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화장실을 사용할 때 돈을 내는 것입니다


화장실 비용은 보통 0.5유로 정도 하는데
휴지가 필요한 경우 1유로
약 1500원까지 내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평소 화장실을 자주 가거나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유럽 여행을 하기 전 화장실에 대한 걱정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