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꿀맛이 나는 세상에서 가장 달콤한 똥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똥

 

허니듀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식물의 줄기는 뿌리와 잎, 꽃을 연결하면서
식물을 지지하기도 하고
여러 가지 영양분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줄기 내부에는 체관이라는 통로가 있는데
체관에 있는 진액을 통해 영양분이 전달됩니다

 

https://youtu.be/ki27bDcNMaE

 


식물이 광합성을 하면 포도당이 만들어지고
포도당은 진액을 타고 식물 여기저기로 퍼지게 됩니다

즉 진액에는 당분이 있기 때문에 단맛이 납니다

작은 것은 1mm 커봐야 8mm밖에 안되는 이 곤충의 이름은
진딧물입니다


진딧물의 머리에는 대롱 형태의 입이 달려 있는데
진딧물은 입을 식물 줄기에 꼽아 체관을 찾은 뒤
그 안에 있는 진액을 빨아먹으며 생활합니다

모기가 피부를 뚫고 혈관을 찾아 피를 빨아먹는 것처럼 말이죠



진딧물은 진액을 먹어 필요한 영양분을 흡수하고
나머지는 똥으로 배출합니다

그런데 진딧물의 소화능력은 그리 좋은 편이 아니라서
빨아먹은 진액의 일부가 소화되지 못하고
다시 나오게 됩니다


앞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진액에는 당분이 있습니다
진딧물이 싼 똥은 소화되지 못한 진액
다시 말해 당분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진딧물의 똥에서는 단맛이 납니다

식물의 잎이나 줄기를 보면
물방울처럼 보이는 끈적한 액체가 붙어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바로 진딧물이 싼 똥입니다


그래서 진딧물의 이런 똥을 꿀 같은 이슬이라고 해서
허니듀(honeydew)라고 부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감로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진딧물의 번식은 굉장히 독특한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겨울이 되면 암컷 진딧물이 수많은 알을 낳게 되는데
이 알은 봄이 되면 깨어나게 됩니다
알에서 나온 진딧물은 모두 암컷으로

깨어날 때부터 새끼를 품고있는 상태입니다
그래서 수컷의 도움 없이도 쉽게 번식을 할 수 있죠

진딧물의 번식은 이런식으로 굉장히 빠르게 이루어집니다


이렇게 많은 진딧물이 진액을 빨아먹고 똥을 싸면
진딧물의 똥, 다시 말해 허니듀가
식물의 호흡기관인 기공을 막아버리게 됩니다
그래서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하게 되죠

뿐만 아니라 진딧물은 각종 질병을 일으키기도 해서
해충으로 분류되어 있기도 합니다



허니듀는 비록 진딧물의 똥이지만
달콤하기 때문에 다른 곤충에게 있어 탐나는 음식입니다

특히 개미가 이것을 아주 좋아하는데
허니듀를 얻기 위해 진딧물의 천적인 무당벌레와
싸움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꿀벌 역시 허니듀를 굉장히 좋아합니다
꽃에서 꿀을 얻을 수 없는 경우
허니듀를 채취하기도 하는데
이렇게 모여 만들어진 꿀을 허니듀 허니
감로꿀이라고 부릅니다

감로꿀은 우리나라에선 아직 덜 알려져 있는데
외국에선 일반 꿀보다 좋은 성분이 더 많이 들어가있다고 해서
비싸게 팔리는 똥
이 아니라 꿀이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상자 안에 있는 새가 날면 상자의 무게는 달라질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무게가 그대로일까 가벼워질까


상자 안의 새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여기에 커다란 상자가 하나 있습니다
상자의 무게를 100g이라고 해보죠

그리고 여기에 참새가 한 마리 있습니다
참새의 무게를 30g이라고 해보죠

이 참새를 커다란 상자 안에 넣으면
상자의 무게는 130g이 됩니다

그렇다면 이때 상자는 닫혀있고
참새가 상자 안에서 같은 높이를 유지하면서 날면
다시 말해 상자에 닿지 않고 한곳에 계속 떠있으면
상자의 무게는 그대로일까요 달라질까요

https://youtu.be/h2iGxQg6t6Y

 


어떤 물체가 다른 물체에 힘을 가하면
힘을 받은 물체 역시 같은 크기의 힘을
반대 방향으로 가한다는 것이 작용 반작용 법칙입니다

새는 작용 반작용 법칙으로 하늘을 날 수 있습니다


하늘을 날기 위해선 날갯짓을 해야 하는데
날갯짓을 하면 날개가 공기를 아래로 밀어냅니다

이것을 작용이라고 하죠

이때 공기 역시 같은 힘으로 새를 위로 밀어내는데
이것을 반작용이라고 합니다

즉 새는 날갯짓을 통해 자신의 무게만큼의 힘을 가해
하늘을 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자 안에 새가 있으면 상자의 총 무게는
원래 상자의 무게에 새의 무게를 더한 값이 됩니다

이때 새가 상자 안에서 날면
새는 공중에 뜨는 것이기 때문에
상자의 총 무게가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새가 하늘을 나는 원리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죠

새가 날갯짓을 하면 자신의 무게만큼의 힘을
지면으로 가하게 됩니다

상자 안에서 새가 날면 날갯짓을 통해 만들어지는 힘이
상자 바닥에 전달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새는 상자에 닿지 않고 떠있지만
보이지 않는 무언가가 상자를 누르고 있다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상자가 닫혀있고
새가 같은 높이를 유지하면서 날고 있으면
상자의 총 무게는 변하지 않습니다



물리학에서 어떤 물리적 영역이나 객체를 계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계가 닫혀 있으면
다시 말해 지금처럼 밀폐된 상자가 있다고 하면
이것을 닫힌계라고 합니다


어떤 물질이 닫힌계에 있다면 상태 변화에 관계 없이
질량은 항상 유지됩니다
이것을 질량 보존의 법칙이라고 하죠

예를 들어 밀폐된 상자에 물이 담겨 있는 것과
물을 끓여 수증기가 되었을 때의 무게는 같습니다

닫힌계에선 어떤 물질이 안이나 밖으로 들어갈 수 없기 때문이죠


상자 안에 있는 새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상자가 닫힌계이기 때문에
새가 가만히 있어도 공중에 떠도
무게가 변하지 않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금이 비쌀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하는 영상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금은 왜 비쌀까 왜 자꾸 오르는 건데!?


금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2020년 23만 원, 2021년 27만 원
2022년 30만 원, 2023년 33만 원, 2024년 37만 원
그리고 2025년 지금은 59만 원이 되어버린
이것은 바로 금입니다

 

https://youtu.be/F-LrCwnfZ1s

 


금값이 올랐다고 할 때마다
아.. 너무 오르지 않았나 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라고 할 때 살걸!

지금도 금값은 끝을 모르고 올라가고 있습니다


어떤 재료를 꾹 눌렀을 때 얇게 퍼지는 성질을 전성이라고 합니다
금은 금속 중에서 가장 큰 전성을 가지고 있어
아주 얇게 펼 수 있는데
1g의 금을 3km까지 늘릴 수 있다고 합니다

금은 화학반응을 거의 하지 않기 때문에
오래 사용해도 부식되거나 녹슬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나 어떤 물건을 감싸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하며
오래 사용해야 하는 물건을 만들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피부에 닿아도 전혀 문제가 없기 때문에
장신구로 사용하기도 하며

전도성이 높아 전기가 잘 흘러
전자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금은 활용도가 굉장히 높습니다
특히 요즘에는 전자제품의 중요도가 점점 더 올라가고 있어
금이 가지는 가치가 올라갈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금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핵분열이나 핵융합이 발생하면 많은 에너지가 만들어지지만
이런 에너지로는 어림도 없습니다


우주에 있는 질량이 큰 별은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하며 폭발이 일어나는데
이것을 슈퍼노바라고 합니다

그리고 슈퍼노바 이후 중성자별이 만들어지는데
중성자별끼리 충돌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에너지가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이것을 킬로노바라고 하죠


금은 바로 이 슈퍼노바와 킬로노바를 통해 만들어집니다
다시 말해 금은 지구에서는 만들어질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왜 지구에 금이 있는 것일까요



슈퍼노바와 킬로노바는 우주 곳곳에서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즉 금은 다른 물질과 함께 우주 곳곳에 뿌려져 있다는 것이죠

이런 물질이 모이고 모이면 행성이 만들어집니다
지구도 마찬가지입니다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여러 물질과 함께 금이 합쳐졌기 때문에
지구에 금이 있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금은 우주에서 온 물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의 금은 지구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가라앉아
지구 깊은 곳에 있어 채굴할 수 없습니다

지구의 핵에는 지금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의
금이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는데

만약 이 금을 채굴할 수 있다면
금이 가지는 가치는 곤두박질칠 것이라고 합니다


지구가 탄생하고 지금까지
금을 가진 소행성이 충돌하는 일이 많이 있었습니다

특히 약 40억 년 전 수많은 소행성이 충돌했는데
이것을 후기 대폭격이라고 합니다

지금 인류가 채굴하고 있는 금은
바로 이런 소행성 충돌에 의해 지구로 들어온 금입니다



지금까지 인류가 채굴한 금은 20만 톤 정도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채굴할 수 있는 남아있는 금은 5만 톤 정도입니다

1년에 3500톤 정도를 채굴한다고 하니
단순하게 계산해 보면 14년 뒤에는
금을 더 이상 채굴하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이처럼 금은 활용도가 굉장히 높지만
우주에서 온 물질이라 유한한 자원이기 때문에
비쌀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물론 지금의 과학기술로 금을 만드는 것이 불가능한 건 아닙니다
다만 금을 만드는데 드는 비용이
채굴하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이 들기 때문에
만들지 않는 것입니다


인류의 기술이 발전해 금을 만드는 비용이 저렴해지거나
지구 핵까지 내려갈 수 있는 기술이 생겨 금을 채굴할 수 있거나
우주에 나가 금을 채굴해 올 수 있다면

금이 가지는 가치는 급격하게 떨어지겠지만
그렇지 않은 이상 금은 계속 높게 평가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