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 있는 빙하가 전부 녹으면 어떤 나라가 잠기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빙하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지구 표면적의 30%는 육지이고
나머지 70%는 물입니다
그리고 70%의 물 중에서 바닷물이 97%를 차지하고
나머지 3%는 바닷물이 아닌 강이나 호수 같은 민물입니다
민물 중 70%는 빙하입니다
빙하의 86%는 남극에 있고 11%는 그린란드에 있습니다
빙하가 녹으면 바닷물로 흘러 들어가
바닷물의 높이가 올라가게 되는데
지구에 있는 모든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이 70m 정도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럼 바닷가 근처에 있는 육지 중에서
해발고도가 70m보다 낮은 곳은 바닷물에 의해 잠기게 되겠죠
지구 전체 육지 면적은 1억 4890만 km2 정도 됩니다
육지의 평균 해발고도는 850m로
단순 계산했을 때 빙하가 전부 녹으면
육지의 8% 정도가 잠기게 될 것입니다
생각보다 그렇게 심각한 건 아닌 것 같은데?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지구 인구의 대부분은 해발고도가 낮은 곳이나
해안가에 밀집해 있기 때문에
생각보다 낮은 퍼센트라고 해도
생각보다 훨씬 더 큰 피해가 발생하게 될 수 있습니다
캐나다 몬트리올은 완전히 잠겨버릴 것이며
밴쿠버나 오타와 역시 영향을 받게 됩니다
미국 플로리다는 흔적도 없이 사라지게 되고
뉴욕,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휴스턴 같은
주요 도시도 잠기게 될 것입니다
아마존 일대와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 페루 같은 나라도 영향을 받아
영토의 많은 부분이 잠기게 됩니다
네덜란드는 일찌감치 사라지게 될 것이고
독일, 벨기에, 프랑스, 이탈리아의 많은 부분과
영국 런던이 잠기게 될 것입니다
이집트, 세네갈, 아랍에미리트가 물에 잠기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도 피해가 갑니다
호주 인구의 거의 대부분은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같은 해안가에 몰려 있는데
이곳이 모두 잠기게 될 것입니다
아시아의 평균 해발고도는 960m로
지구 육지 평균보다 더 높아
잠기는 면적 자체는 적을 수 있지만
인구가 많이 몰려있는 중국 베이징과 상하이가 잠기고
태국 방콕, 인도 뭄바이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같은 나라도 잠기게 됩니다
흔히 빙하가 녹으면 일본은 침몰하게 될 것이라고 말하곤 합니다
하지만 일본의 평균 해발고도는 390m입니다
그래서 일본이 침몰할 일은 없지만
도쿄, 나고야, 오사카, 후쿠오카 같은 곳은 잠기게 될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평균 해발고도는 450m입니다
일본보다 높지만 아시아 평균보다 낮아 많은 부분이 잠기게 됩니다
제주도에서 인구가 많이 몰려 있는 제주시와 서귀포시가 잠기게 되고
부산, 울산, 포항, 대구, 목포, 광주, 익산, 군산
평택, 인천, 파주가 잠기게 될 것입니다
서울의 해발고도는 40m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빙하가 녹으면 서울도 사라지게 될 것입니다
특히 장마철이 되면 자주 침수가 되는 강남의 경우
해발고도가 12m밖에 안되기 때문에
더 위험한 곳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가 되면 해발고도가 높은 산 근처의 지역이
살기 좋은 곳이 될지도 모르겠네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때입니다
빙하가 전부 녹아 어떤 나라가
혹은 특정 도시가 잠기는 것을 막기 위해
세계 여러 나라가 모여 대책을 만들고 있습니다
특히 4월 28일에서 30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제10차 아워오션 콘퍼런스(OOC)가 열리는데
아워오션 콘퍼런스는 100여 개국 정부와
400여 개의 NGO, 기업, 국제기구 등 약 2,000여 명이 모여 진행하는
고위급 해양 국제회의입니다
14년 미국 워싱턴 DC에서 처음 시작해
이번에 10번째 회의가 우리나라 부산에서 열리게 되었는데
대표적인 해양분야 글로벌 협력의 장으로서 자리매김 하고 있다고 합니다
아워오션 콘퍼런스에서는 기후 위기로 인한
해수면 상승 문제뿐만 아니라
해양보호구역이나 지속가능한 어업, 해양오염
해양안보, 블루이코노미, 해양디지털과 관련된 국제협력 방안을 논의한다고 합니다
물론 빙하가 모두 녹았다는 것은
지구의 온도가 많이 올라
지금과는 다른 환경이 되어있을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살아있을지 없을지는 모르겠지만
해양수산부는 이런 비극적인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수소, 암모니아 등을 연료로 하는 친환경 선박 기술을 개발하고
해수면 상승에 따른 파랑, 침수 등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연안재해 위험평가를 실시하는 것처럼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은근한 잡다한 지식 > 과학 잡다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마를 제거하면 어떻게 될까 (0) | 2025.04.10 |
---|---|
우주에 우주복 없이 나가면 어떻게 될까 (0) | 2025.04.03 |
상자 안에 있는 새가 날면 상자의 무게는 달라질까 (0) | 2025.03.02 |
금이 비쌀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하는 영상 (0) | 2025.02.27 |
병원에서 빨간빛을 받으면 어떤 원리로 치료가 되는 걸까 (0) | 2025.01.09 |
술을 못 마시는 사람도 계속 마시다 보면 결국 늘게 될까 (0) | 202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