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날치는 물고기인데 왜 굳이 하늘을 나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날치는 왜 굳이 하늘을 날까


날치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새는 하늘을 날지만 물속에선 살 수 없습니다
물고기는 물속에서 살 수 있지만 하늘을 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이 둘을 동시에 할 수 있는 물고기가 하나 있습니다
이 물고기를 하늘을 나는 물고기라고 해서 날치라고 부르죠

 

 


물고기는 지느러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느러미는 물속에서 이동할 때 도움을 주는 것으로
균형을 잡거나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합니다

날치의 지느러미는 이런 역할과 함께
새의 날개처럼 하늘을 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물론 날치의 경우 새처럼 자유롭게 비행을 하는 것이 아니라
높게 뛰어오른 뒤 천천히 내려오는 활공을 하는 것이지만 말이죠



날치가 살고 있는 바다에는 만새기라는 물고기가 살고 있습니다

날치의 크기는 30cm정도 되는 것에 비해
만새기의 크기는 200cm정도 된다고 합니다

날치에 비해 압도적인 크기인데
만새기는 날치의 천적중 하나로
보자마자 피해야하는 물고기입니다

 


그런데 만새기의 속도는 날치보다 훨씬 빨라
평범하게 헤엄쳐서 도망가는 것으로는 만새기를 따돌릴 수 없습니다

그래서 날치는 물 밖으로 나오는 선택을 한 것입니다

물은 공기보다 밀도가 훨씬 큽니다
그래서 저항도 크죠


물속에서 앞으로 가는 것보다
공기에서 앞으로 가는 것이 훨씬 더 쉽다는 것입니다

다시말해 날치가 물속에서 헤엄치는 것보다
밖으로 나와 이동한다면 더 빠르게 움직여
만새기를 따돌릴 수 있다는 것이죠



이렇게 물 밖으로 나와 이동하다보니
날치의 지느러미는 물 밖에서 더 오래 있을 수 있도록
날개처럼 바뀌게 되었고
지금과 같은 하늘을 나는 물고기로 진화하게 된 것입니다

날치가 물속에 있을 땐 지느러미를 접고 있다가
물 밖으로 나와야 하는 상황이 되면
꼬리를 빠르게 움직여 물을 박차고 나와
지느러미를 쭉 펴고 활공합니다



이때 날치는 10m정도 날 수 있으며
가장 오래 난 날치의 기록은 45초라고 합니다

그런데 정말 안타깝게도 날치는 하늘을 나는 순간에도
모든 위험에서 벗어난 것은 아닙니다

 


바다에는 군함조라는 새가 살고 있는데
군함조는 만새기가 날치를 사냥하는 장면을 보고 있다가
날치가 만새기를 피해 물 밖으로 나오는 순간
날치를 낚아채가버립니다

바다에 살고 있는 새는 바닷속으로 들어가 물고기를 사냥하곤 하지만
군함조는 바닷속으로 들어가는 기술이 없고
날개가 방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이런식으로 사냥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날치가 하늘을 나는 이유는
군함조에게 먹히더라도 물 밖으로 나오는 것이
생존 확률이 훨씬 더 높기 때문입니다

날치와 새는 전혀 다른 종이지만 비슷한 생김새를 가지고 있습니다
생존을 위해 하늘을 날아야 한다는 이유 때문에
이런식으로 진화한 것인데

이렇게 생김새가 비슷해지는 것을 수렴 진화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주식이 상장폐지 되면 내 돈은 어떻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상장폐지 되면 내 돈은?


상장폐지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어떤 회사가 예를 들어 은근한 회사가 있다고 하면
증권시장에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자본을 거래할 수 있게
등록하는 행위를 상장이라고 합니다

상장이 완료되면 우리는 주식 거래를 통해
은근한 회사의 자본을 사고 팔 수 있습니다

반대로 상장된 회사가 증권시장에서 퇴출당하는 행위를
상장폐지라고 합니다

흔히 상장폐지가 되면 그 회사의 주식이
똥값이 됐다고 말하거나
휴지 조각이 됐다고 말하곤 하죠

그렇다면 만약 내가 은근한 회사의 주식을 가지고 있는데
어느 날 갑자기 상장폐지가 되면
내가 투자한 돈은 어떻게 될까요

https://youtu.be/lggWOdipffY

 


증권시장에 상장된 회사들 중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회사를 모아놓은 시장을 코스피라고 합니다
유가증권시장이라고 부르기도 하죠

삼성전자나 현대차, LG전자, SK하이닉스 같은 회사가 대표적입니다


그리고 코스피에 해당되지 않는 회사를 모아놓은 시장을
코스닥 시장이라고 합니다

에코프로나 JYP Ent, CJ ENM 같은 회사가 대표적입니다

상장된 회사의 주식이 상장폐지가 될 경우
유가증권시장(코스피)과 코스닥 시장에서 더 이상 거래를 하지 못하게 됩니다


상장폐지가 되는 조건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보통은 회사가 부정적인 상태일 때 상장폐지가 되곤 합니다

그래서 상장폐지가 결정되면 주가가 폭락하기 시작해
주식을 팔고 싶어도 팔 수 없는 상태가 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내가 아무리 많은 주식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현금화를 할 수 없어 내 돈을 모두 날려버릴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거래를 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상장폐지가 결정되면 마지막으로 주식 거래를 할 수 있는 기간이
7일 동안 주어집니다
이것을 정리매매라고 하죠

정리매매 기간에는 평범한 상장 주식과 같은 방식으로
거래가 가능합니다


우리나라 주식의 경우 가격제한폭이 정해져 있습니다
상한가의 경우 당일 +30%까지
하한가의 경우에도 당일 -30%까지입니다

예를 들어 은근한 회사가 어느 날 갑자기
엄청난 규모의 투자를 약속받아 가치가 몇 배나 뛰었다고 하더라도
은근한 회사의 주식이 1주에 1만 원이라고 하면
오를 수 있는 하루 최대치는 30%
1만 3000원까지라는 것입니다


하지만 상장폐지가 결정돼 정리매매에 들어간 주식의 경우
가격제한폭이 없습니다

은근한 회사의 주식이 1만 원에서
5000원
1000원
100원이 되어버릴 수도 있다는 것이죠

실제로 2017년 2월 상장폐지가 결정된 한진해운의 주가는
정리매매 마지막 날 68% 이상 하락하기도 했습니다

즉 내가 가진 주식이 상장폐지 되면
0원에 가까운 상태가 되긴 하지만
거래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입니다
이것을 장내시장이라고 부르기도 하죠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이라고 하면 말하는 것이
바로 이 장내시장입니다

장내시장이 끝나도 주식 거래는 가능합니다
장내시장을 제외한 다른 시간에 거래하는 것을
장외시장이라고 합니다


상장폐지된 주식이 정리매매까지 끝나고 나면
장외시장을 통해 주식 거래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상장폐지가 된 주식을 누가 살까? 하는 생각을 할 수도 있지만
상한가, 하한가에 대한 제한이 없기 때문에
그 타이밍을 노리는 사람들도 있고


기존 주주들이 자신의 평단을 낮춘 뒤
조금이라도 올랐을 때 팔려고 사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 상장폐지가 됐지만 그 회사의 가치가 여전히 높다고 판단해
주식을 헐값에 구매하려는 사람도 있습니다

주식을 팔지 않고 가지고 있을 경우
소멸되어버리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이후에 그 회사가 재상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인 것입니다


실제로 2003년 상장폐지가 된 소주회사 진로는
2008년 재상장 되기도 했습니다

물론 이런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상장폐지가 된 주식을 사는 것은
엄청난 도박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믹스커피를 마시고 담배를 피우면 왜 유독 입냄새가 심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담배와 믹스커피는 왜 입똥내가 심할까

 

입냄새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음식은 각자마다 냄새가 있기 때문에
음식을 먹으면 입냄새가 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커피를 마시면
그중에서도 믹스커피를 마시면 유독 입냄새가 심합니다

거기에 담배까지 피우면 그 냄새가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믹스커피를 마시고 담배를 피우면
다른 음식에 비해 입냄새가 더 심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https://youtu.be/KyV30r3SqOI

 


우리가 음식을 먹으면 입안에 있는 세균이
이 음식물을 분해합니다

이러는 과정에서 휘발성 황화합물이 만들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입냄새의 원인이 됩니다


침에는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락토페린이라는 효소와
세균을 파괴하는 리소자임이라는 효소가 있습니다

이들은 입안에 있는 세균의 활동을 방해해
충치가 생기는 것을 막아주고
입냄새가 나지 않게 해주기도 합니다

즉 침의 분비가 많아야 음식을 먹은 뒤에 입냄새가 덜 난다는 것입니다



커피에는 카페인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카페인은 침의 분비를 줄어들게 만들기 때문에
커피를 포함해 카페인이 많이 있는 음료를 마시면
입냄새가 심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아메리카노 한 잔, 약 350ml에는 카페인이 150mg 정도 들어있으며
믹스커피 한봉에는 카페인이 40mg 정도 들어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메리카노를 마셨을 때보다 믹스커피를 마셨을 때
입냄새가 더 심합니다

믹스커피는 커피, 프림, 설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설탕은 입안에 있는 세균의 에너지가 되어
세균이 더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프림에는 카제인 나트륨이라는 물질이 많이 들어있는데
카제인 나트륨은 단백질과 나트륨을 합쳐 만든 것입니다

단백질은 세균의 먹이가 되어 입냄새를 심하게 만드는 물질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믹스커피를 마시면
입냄새가 심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담배를 피우면 침의 분비가 줄어들어
입안이 마르는 구강건조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커피를 마셔 안 그래도 침의 분비가 줄어든 상태인데
담배까지 피운다면 침의 분비가 더더욱 줄어들어
입안의 세균이 미쳐 날뛸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죠

게다가 담배에 있는 타르와 니코틴은
이에 달라붙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들이 달라붙다 보면 치석이 만들어지고
치석은 세균이 살 수 있는 좋은 집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믹스커피를 마시고 담배를 피우면
입에서 똥내가 나는 것입니다


믹스커피와 담배에 의한 입똥내를 줄이고 싶다면
당연히 둘 다 안 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믹스커피를 마시는 것보단 프림과 설탕이 없는 커피를 마시는 것이 좋고

마신 이후에 양치를 한다면 아주 좋겠지만
그럴 수 없다면 따뜻한 물로 입을 헹구는 것이
그나마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