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비둘기 화형식이 있었던 88올림픽의 숨겨진 이야기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세계 최초 비둘기 화형식을 개막식에 진행함

 

올림픽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내일인 2024년 7월 26일은
제33회 파리 올림픽이 시작되는 날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올림픽이 열렸던 적이 있었는데요
제24회 서울 올림픽으로
1988년에 열렸기 때문에 88올림픽이라고 부르곤 합니다

 

https://youtu.be/_2dd1ihb8qs

 


우리나라는 1945년에 끝난 일제강점기와
1950년부터 시작된 6.25 전쟁으로
나라 자체가 황폐해진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전쟁의 상처를 빠르게 회복했고
특히 1980년대부터 급격한 발전을 이루며
올림픽을 유치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우리나라에게 있어 88올림픽은
식민지와 전쟁을 겪은 한국이라는 나라가
이렇게나 발전했다는 것을 전세계에 보여줄 수 있는 수단이기도 했습니다



올림픽이라고 하면 지금은 국가에서 열리는 커다란 행사
라는 이미지가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에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올림픽은 국가의 행사가 아니라 한 도시의 행사였습니다

그래서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국가가 나서는 경우가 거의 없었죠

 


하지만 우리나라는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국가가 나섰고
그 결과 국가의 위상이 높아지는 좋은 결과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88올림픽 이후부턴 올림픽 유치가 도시간 경쟁이 아니라
국가간 경쟁으로 바뀌게 되었는데


심지어 2014년 동계 올림픽을 유치하기 위해
대통령이 직접 연설을 하는 일이 있기도 했습니다

올림픽은 개발도상국들에게는 새로운 기회로
선진국들에게는 자신의 뛰어남을
한번 더 알릴 수 있는 기회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88올림픽의 공식 주제곡은 손에 손잡고라는 노래입니다
한번쯤 들어보셨을텐데 이 노래는 서로 손잡고 올림픽을 즐기자
라는 의미도 있겠지만

그 당시 세계의 전체 흐름이었던 공산주의와 자본주의
사회주의와 민주주의간의 대립
소련과 미국의 대립 즉 냉전시대를 끝내고
평화와 화합의 시대를 열자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도 합니다


88올림픽 전전에 열린 1980년 제22회 모스크바 올림픽은
우리나라를 포함해 미국, 일본, 캐나다, 서독 같은 나라들이
보이콧을 하며 참가하지 않았고

88올림픽 전에 열린 1984년 제23회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은
소련, 동독 같은 나라들이 보이콧을 하며 참가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88올림픽에는 이 나라들이 모두 참가하며
실제 화합의 장이 되기도 했으며
냉전시대를 끝내는데 영향을 준 것으로 평가 받기도 합니다



비둘기는 지금은 그 의미가 많이 약해졌지만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평화의 상징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올림픽 개막식 때 비둘기를 많이 날리곤 하는데
우리나라 역시 개막식 때 비둘기를 날렸습니다

 


올림픽 개막식의 가장 큰 행사라고 한다면
역시 성화 점화입니다

성화 점화를 시작으로 올림픽이 공식적으로 시작됨을 알리는데
88올림픽 때는 하필 개막식 때 날린 비둘기가 성화대에 앉으면서
점화를 해야할 때가 됐는데 이 비둘기가 도망가지 않아
곤란한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습니다

 


이때 어쩔수 없이 비둘기가 앉아있는채로 점화를 했는데
이 모습이 전세계에 송출됐습니다

평화를 위한 올림픽에서 평화의 상징 비둘기가
화형당해버린 것이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충격을 받기도 했고
이 이후로 올림픽 때 비둘기를 활용하는 행사를 없애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사실 이 당시 실제로 화형당한 비둘기는
많아야 한마리정도라고 합니다

카메라 각도가 그래서 그렇지
다른 각도에서 찍은 성화대를 보면 한번에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실제 불이 붙는 곳은 가운데 부분이고
비둘기는 끝부분에 있었기 때문에
대부분 타지 않고 날아갔다고 합니다

이렇게 많은 의미가 있었던 서울 올림픽
내일부터 있을 파리 올림픽은 또 어떨지 기대가 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파리지옥이 사람을 먹으면 어떻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파리지옥에 잡히면 사람도 먹히게 될까

 

https://youtu.be/-vesuSL-Hrw

 

파리지옥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식물을 주로 먹고 사는 동물을 초식동물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동물을 먹고 사는 동물은 육식동물이라고 하죠

식물 중에서도 육식을 하는 식물이 있습니다
이들은 주로 벌레를 먹기 때문에 식충식물이라고 부릅니다

식충식물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지만
가장 잘 알려진 것은 파리지옥일 것입니다


파리지옥의 잎은 굉장히 공포스럽게 생겼는데
이곳으로 벌레가 들어온다고 해서 이 잎을
포충엽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파리지옥의 잎에는 파리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각모라고 불리는 미세한 털이 있습니다


파리가 잎에 들어와 감각모를 한 번 건드리면
파리지옥은 잎에 무언가 들어왔다는 걸 인지하고
30초 안에 한 번 더 건드리면 그것이 파리라는 걸 확신하고
잎을 닫아버리는데

이때 잎을 닫는 시간은 0.001초밖에 안된다고 합니다



파리가 한 번 건드렸을 땐 잎을 닫지 않는 이유는
파리지옥은 눈이 없기 때문에
지금 잎에 있는 것이 진짜 파리인지
아니면 물이나 나뭇잎 같은 것인지 알 수 없어
이것을 확인하기 위함입니다


파리지옥의 잎이 닫히면 잎 끝에 있는 가시가 맞물리면서
잡은 파리가 도망가지 못하게 되고
분비되는 소화효소에 의해 천천히 분해돼
파리지옥의 영양분이 되어버립니다

이때 걸리는 시간은 7일~10일 정도 된다고 합니다

파리 입장에서 보면 움직이지도 못하는 상태에서
알 수 없는 용액에 의해 서서히 녹아버리기 때문에
이름처럼 진짜 지옥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파리지옥은 파리만 먹는 것이 아니라
애벌레나 거미, 벌, 지렁이 같은 벌레도 먹고
심지어 개구리를 먹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파리지옥에 사람이 잡히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식충식물 전문가인 베리 라이스는
무좀의 일부라고 할 수 있는 백선증에 걸려 떨어진 
자신의 발 피부 일부를 파리지옥에게 먹여보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는 아무리 파리지옥이라 하더라도
인간의 피부는 분해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일주일 뒤 식사를 마친 파리지옥은 입을 벌렸고
그 안에는 파리지옥에 의해 녹아 끈적하게 변해버린
피부 일부가 있었다고 합니다

즉 파리지옥은 비록 병에 걸린 피부였지만
인간의 피부 역시 분해하고 소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파리지옥에 사람이 잡히면
굉장히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물론 잡히면 말이죠



파리지옥 잎의 크기는 보통 2.5~5cm 정도 되고
가장 큰 파리지옥이라고 해봐야 6cm 정도 밖에 안된다고 합니다

성인 손가락 하나를 겨우 물수 있는 크기이죠

게다가 잎을 닫고 있는 힘 자체도 그렇게 강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부의 벌레들은
파리지옥에게 잡혀도 발버둥 치다
잎을 열고 도망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파리지옥은 인간의 힘을 당해낼 수 없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외국의 한 유튜버는
파리지옥 잎을 손가락에 고정한 채로 하루 동안 있어봤는데
손가락이 부어오르고 물집이 잡히기도 했습니다


이들의 실험처럼 파리지옥은 사람에게 해를 줄 수 있습니다
만약 사람을 삼킬 수 있는 크기의 파리지옥이 있다면
우리는 파리지옥에 잡아먹힐 수도 있겠지만

지구에 존재하는 파리지옥은
사람을 잡을 수 있는 크기나 힘이 안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어떠한 영향도 줄 수 없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오히려 사람이 파리지옥에게 영향을 주는 경우가 훨씬 많지 않을까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비가 오려고 할 때 나는 흙냄새 같은 냄새의 정체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비올 때 나는 냄새는 대체 뭘까

 

https://youtu.be/T8E-hG9uOSo

 

비냄새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하늘에 먹구름이 잔뜩 껴
낮인데도 어둑어둑해져
금방이라도 비가 올 것 같은 날씨가 되면

이상하게 흙냄새 같은 냄새가 나기 시작합니다


이 냄새는 평소에는 전혀 나지 않다가
비가 오기 전 밖을 걷다 보면 나기 때문에
우리는 이것을 비냄새라고 부르기도 하죠

비냄새는 1891년부터 공식적으로 언급되기 시작했는데
일부 전문가들은 땅의 냄새라고 불렀습니다

당시에는 식물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을 뿐
정확한 이유는 찾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1964년 호주의 광물학자이자 생화학자인 리처드 토마스가 
이 냄새를 돌을 뜻하는 그리스어인 페트로스(petros)와
신의 몸속에 흐르는 영액을 뜻하는 이코르(ichor)라는 단어를 합쳐
페트리코(petrichor)라고 정의했습니다



땅에는 방선균이라고 불리는 박테리아가 많이 살고 있습니다
방선균은 죽은 유기체를 분해해
식물이 흡수할 수 있는 영양분을 만드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분해하는 과정에서 지오스민(Geosmin)이라는 물질이 만들어집니다

바로 이 물질의 냄새가 우리가 말하는 비냄새
비올 때 나는 흙냄새입니다


방선균은 비가 안 올 때도 죽은 유기체를 분해해
지오스민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비가 안 올 때는 냄새가 나지 않다가
비가 오려고 할 때만 냄새가 나는 이유는
에어로졸 때문입니다


에어로졸은 쉽게 말해서 공기 중에 떠다니는
아주 작은 고체나 액체 혹은 이들이 섞여있는 입자를 말하는 것입니다

안개나 황사, 미세먼지
분무기에서 뿌려진 액체 같은 것들이 에어로졸입니다

빗방울이 떨어져 땅에 부딪히는 순간
일부는 작은 액체 알갱이가 되어 여기저기로 흩어지게 됩니다
이것 역시 에어로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평소 지오스민은 땅에 있지만
비가 오려고 하면 먼저 떨어진 한두방울의 비에 섞여 에어로졸이 되어
대기 중으로 떠오르게 됩니다

사실 이때 떠오르는 지오스민도 그렇게 많은 양은 아니지만
인간은 비가 오는 것이 생존을 하는데 굉장히 중요했기 때문에
지오스민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진화하기도 했고


비가 오면 습도가 높아져 어떤 물질이 퍼져나가는 속도
확산 속도가 느려져
냄새가 한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런 상태가 되면 우리는 비냄새, 흙냄새
지오스민의 냄새를 맡을 수 있는 것입니다

즉 비가 오기 전 나는 흙냄새는
실제 흙냄새, 땅의 냄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이 냄새를 맡으면 어떤 기분이 드시나요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오스민 냄새에 짧게만 노출돼도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의 수치가 늘어나고
우울증과 관련된 물질인 C반응 단백질 수치가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그러니 비가 오려고 할 때
밖에 나가 이 냄새를 한번 맡아보는 건 어떨까요

하지만 조심해야 합니다

비가 오면 냄새가 한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니
방귀를 뀌면 그 냄새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