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진짜 급함! 저를 대신해서 군대 가주실 분 찾아요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급구 저를 대신해서 군대 갈 사람 구함 사례 합니다!!

 

혹시 저를 대신해서 군대에 다녀오실 분 계시나요?
돈을 드리겠습니다

라고 하면 안 되겠죠

군대는 누군가 대신 가줄 수 없을뿐더러
이런 공고를 올리면 저는 처벌을 받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조선에서는 이런 공고가 심심치 않게 올라왔습니다

https://youtu.be/Xg-aiTwwEZQ

 


조선은 크게 양반, 중인, 상민, 천민
네 가지 신분으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이중 양반, 중인, 상민을 양인이라 불렀는데
16살~60살의 양인은 의무적으로 군대에 가야 했습니다

그런데 1500년대 이후부터는
양반들은 군대에 가지 않도록 제도가 바뀌어
군인의 대부분이 농민들로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이러다 보니 농사를 지을 사람이 부족해져
집안의 식량뿐만 아니라 나라의 식량이 부족해지자 
군대에 가는 대신 베와 무명을 바치도록 하기도 했는데
이것을 포목 혹은 군포라고 불렀으며
보통 면포 2필을 내야 했습니다

이렇게 군대에 가거나 포목을 바치는 행위를 군역이라고 불렀습니다



군대에 간다는 것은 이 시기에도 의무였고 강제적이었기 때문에
해당되는 사람은 불만이 있을 수밖에 없었고

이것 때문에 군대에 가지 않으려는 여러 가지 방법이 이야기되기도 했습니다

조선에서는 스님이 되면 군역을 면제시켜줬는데
이것 때문에 스님이 되는 사람이 많아지자
이후에는 인증받은 스님만 면제시켜주는 식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리고 돈을 주고 군대를 대신 가줄 사람을 구하기도 했는데
이런 행위를 대립이라고 했으며
이렇게 대신 군대에 간 사람을 대립군이라고 불렀습니다

대립군은 시대에 따라 나라에서 금지하기도 하고
허용하기도 했습니다

1447년 세종은 대립을 막기 위한 방법을 고민했고
1663년 현종은 재해를 복구하는데
부족한 인력을 보충하기 위해 대립군을 쓰기도 했습니다

대립군을 고용하는 비용은 면포 1필, 쌀 반가마니 가치 정도였는데


대립군이 유행하자 벼슬아치가 일하는 곳인 관아
지금의 시청 같은 곳에서 중간 상인과 결탁해
수수료를 받아먹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1400년대에는 면포 8필로
1500년대에는 60필까지 올라가기도 했습니다



이러다 보니 돈이 없는 사람은 군대에 갈 수밖에 없었고
군대에 가면 농사를 짓지 못하니 형편이 어려워지게 되었습니다

이것을 막기 위해 중종은 고용 비용을 면포 3필로 제한했지만
잘 지켜지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대립군은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1700년 이세정이라는 사람은 자신의 종을 대립군으로 보냈는데
종이 과거시험장을 관리하는 일을 하도록 힘쓴 뒤
자신이 그 과거시험장에 들어가 부정행위를 저질렀다고 합니다

일부의 대립군은 일은 제대로 하지 않고 임금만 받아 가기도 했으며
군인이 부족해 대립군을 써야 하는 상황이 되자
더 많은 임금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대립군에 대한 문제가 계속 발생하자
포목의 양을 1필로 줄이기도 하고
군대 환경을 개선하기도 하기도 했는데

이것을 균역법(1750년)이라고 합니다


균역법은 시행됐을 당시에는 큰 효과를 보지 못했지만
군역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어 대립군이 점점 사라지게 되었고
일부의 사람들을 제외하면
본인의 군대 문제는 본인이 해결하는 식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이제는 사라져버린 문제가 많은 대립군이지만
가진 것 없는 사람에게는 돈을 벌 수 있는 기회이자
공을 세워 성공할 수 있는 기회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