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가 듣는 노래는 왜 대부분이 3분에서 5분 사이일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노래는 왜 3분에서 5분 사이일까

공부를 하거나 일을 하면서
지루한 시간을 보내기 위해
내 감정을 달래주기 위해
우리는 노래를 듣습니다

노래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기 때문에
개인의 취향에 따라, 상황에 따라 다른 노래를 듣습니다

그런데 노래의 종류는 이렇게 많지만
대부분의 노래가 마치 약속이라도 한 것처럼
3분에서 5분 사이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도대체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일까요



음악이 언제부터 만들어지게 되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처음 음악이 만들어졌을 때는
주술의 의미로 사용되지 않았을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듣는 노래인 대중음악의 역사 역시 정확한 건 아니지만
2차 세계대전 이후 1950년대부터 시작된 것이 아닐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음악 스트리밍을 서비스하는 업체가 많기 때문에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만 있으면
원하는 노래를 언제든 어디서든 들을 수 있지만

과거에는 음악을 듣기 위해선 레코드판을 이용해야 했습니다

레코드판은 1887년 독일의 에밀 베를리너가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죠

축음기에 레코드판을 올려놓고 바늘을 얹으면
레코드판에 미세하게 파여있는 홈을 따라 바늘이 움직이며 진동을 하는데
이 진동을 확대하면 음악이 나오게 됩니다

 


베를리너가 만든 레코드판은 1분에 78번 회전을 하기 때문에
78회전반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SP)

그런데 이때는 아직 기술이 부족했기 때문에
3분 정도만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당시 음반 업계의 주류 상품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때 만들어지는 노래는
레코드판에 맞춰 3분 정도로 제작되었습니다



1949년에는 78회전반보다 더 단단하고 작은
1분에 45번 회전하는 다른 레코드판이 등장하기도 했습니다(EP)

1952년 이 레코드판은 7분 30초 동안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도록 발전시켰지만
노래의 길이가 길어진 것이 아니라
한 면에 두 곡을 싣는 형태로 판매되었습니다

어쨌든 노래는 3분 정도의 길이를 가지고 있었지만
사람들은 레코드판 하나에 적은 노래밖에 담을 수 없다는 것이 불만이었습니다


그래서 1948년에 제작된 3분에 100번 회전하는 또 다른 레코드판이(LP)
점점 인기를 끌게 되었습니다

이 레코드판은 약 30분 정도를 재생할 수 있었기 때문에
10개 정도의 노래를 넣을 수 있었습니다

게다가 음질도 많이 개선되어
한두 곡 위주로 제작되던 음반 시장이
보다 더 많은 노래를 넣어 제작되는 쪽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인터넷, 티비, 라디오, 매장 등
노래가 흘러나올 수 있는 곳이 아주 다양해졌습니다

하지만 과거에는 라디오가 아니면
본인의 노래를 홍보할 수 있는 곳이 많지 않았죠

과거 78회전반이 유행하던 시절
3분대의 노래가 제작된 것이 쭉 이어져 내려오기도 했고
라디오에서 소개하기에 너무 긴 노래는 부적절하기도 했기 때문에

 


긴 노래를 담을 수 있는 레코드판이 제작되어도
노래는 여전히 3분대로 만들어졌습니다

이후 CD, MP3, 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노래를 재생하는 시간에 대한 제약이 없어졌지만
이런 것들이 이어져 내려오면서
계속 3분대로 만들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3분을 훌쩍 넘어가는 노래도 많이 존재하긴 합니다
하지만, 특히 요즘은 너무 긴 노래를 만들어버리면
쏟아져 나오는 음악 시장에서 어필을 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대부분의 노래가 3분대로 제작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