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괴물 잡는 사냥꾼 조선시대판 위쳐 착호갑사 이야기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아무것도 없던 땅 위에 크고 작은 건물이 들어오면서
야생동물의 수가 줄어들게 되어
과거에 비해 야생동물에게 받는 피해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하지만 발달도 많이 되지 않았고
좋은 무기도 없던 시절에는
야생동물이 사람을 해치는 것에 대한 생각을 항상 해야 했습니다

특히 호랑이에 대한 피해가 컸는데
지금 우리나라에는 야생 호랑이가
한 마리도 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조선시대에는 호랑이가 많이 살고 있었고
그런 덕분에 호랑이에 의한 피해도 많이 있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조선시대 사람들에게 있어
호랑이는 괴물과도 같은 존재였죠

그렇기 때문에 이들에게는
괴물을 잡아줄 사냥꾼
조선시대 위쳐가 필요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산이 많기 때문에
호랑이가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이었습니다

태조실록을 보면 1392년 12월 20일(윤달)
호랑이가 성에 들어왔다는 기록이 있기도 하고

태종실록을 보면 1402년 5월 3일
경상도에서 호랑이에게 죽은 사람이
수백 명이나 된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숙종실록을 보면 1697년 4월 30일
대기근 때문에 먹을게 없어진 호랑이가 마을로 내려오니
사람이 혼자서 다니지 못하는 일이 있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호랑이에 의한 피해를 호환이라고 하는데(虎患)
조선시대에는 호랑이에 의한 피해가 끊이지 않았기 때문에
그 당시 사람들에게는 호환, 마마(천연두), 전쟁이
가장 무서운 존재였습니다

때로는 호환마마보다 무서운이라는 표현을 쓰곤 하는데
여기서 호환이 바로 호랑이에 의한 피해를 말하는 것입니다

중국에서는 조선 사람들은 1년에 반은 호랑이를 잡으러 다니고
나머지 반은 호랑이가 조선 사람을 잡으러 다닌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조선시대에는 호랑이가 자주 나타났다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조선에는 호랑이로부터 백성들을 지켜줄
전문 호랑이 사냥꾼이 필요했습니다

조선시대에 존재했던 직업 군인을 갑사라고 불렀습니다(甲士)

그리고 갑사 중에서도 호랑이를 잡기 위해 만들어진 특수부대를
착호갑사라고 불렀죠(捉虎甲士)


1416년 10월 27일 주인기와 공계손이라는 사람이
자신들을 착호갑사라고 속이며 군마를 빌려
호랑이를 잡으러 갔다는 기록이
태종실록에 최초로 나오는 것으로 보아

착호갑사는 최소 1416년부터는 존재했을 것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때는 임시 조직이었으며
호환이 생겼을 때 해당 지역에 내려가 활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421년 조선의 왕이 세종일 때
20명을 뽑아 정식으로 운영했던 것이
착호갑사의 본격적인 시작이었습니다



갑사 중에서도 가장 용맹한 것으로 평가받는 착호갑사는
선발되는 조건도 까다로웠습니다

180보 거리에서 활을 쏴 명중시켜야 했으며
말을 타고 활이나 창을 사용할 수 있어야 했고
지구력과 근력을 평가받기도 했습니다

또한 일반 백성이라고 할지라도
호랑이를 직접 잡는 사람은 포상을 주거나
시험을 면제하고 착호갑사에 임명해 주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주인기와 공계손은 자신들을 착호갑사라고 속이고
호랑이를 잡기 위해 군마를 빌렸던 것이죠


호랑이 사냥을 간 착호갑사 중에서
가장 먼저 활이나 창으로 호랑이를 맞히는 사람은
포상을 주고 특진시켜주는 등
좋은 대우를 받을 수 있었지만

아무래도 목숨을 걸고 하는 일이다 보니
착호갑사에 지원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았다고 합니다

심부름을 간 사람이 소식이 없을 때
함흥차사라는 표현을 사용하곤 하는데

강원도에서 호랑이를 잡으러 간 포수가
돌아오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어서

이와 같은 표현으로 강원도 포수라는 말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호랑이 사냥은 기본적으로 활과 창을 사용했습니다
단 한발의 활과 창으로는 호랑이를 잡을 수 없었기 때문에
세 번 이상 공격해야 했는데
첫 번째로 호랑이를 쏜 사람을 선중전자라고 불렀으며
첫 번째로 호랑이를 찌른 사람을 선창자라고 불렀습니다

겨울에는 눈 때문에 움직임이 제한되니
설마를 타고 사냥을 하곤 했는데(雪馬)
설마는 눈 위에서 달리는 말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것을 썰매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또 함정이나 덫을 이용해 호랑이를 잡기도 했는데
이것을 함기 혹은 함뢰라고 불렀습니다(檻機) (檻牢)

함기는 호랑이가 잘 다니는 길에
나무나 돌을 올려서 설치한 뒤
우리 안에 개를 미끼로 넣어놓는 함정이었습니다

호랑이가 개를 먹으러 와서 함기를 건드리면
위에 있던 나무나 돌이 무너져 호랑이를 덮치게 되는데
마치 벼락이 치는 것과 같다 하여
벼락틀이라고 불리기도 했습니다


아무래도 활과 창을 들고 직접 사냥을 하는 것보다
함정을 사용하면 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었기 때문에
그리고 온전한 호피를 구할 수 있어서
함기를 적극적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또 구덩이를 파 창을 세워두고 빠지면 잡는
고전적인 방식인 정창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호랑이를 사냥했던 이유는
인명피해를 막기 위함 이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었습니다

농경사회였던 조선시대에는 비가 오는 것이 중요했기 때문에
오랜 기간 비가 오지 않을 경우에는 기우제를 지내곤 했습니다

기우제는 용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식으로 진행됐는데
용이 살고 있는 곳에 호랑이 머리를 넣으면
호랑이가 용과 싸우느라 활동을 하게 되고
용이 활동을 하게 되면 비가 온다고 믿었기 때문에

기우제를 위해서라도 호랑이를 사냥해야 했습니다

이것을 침호두라고 말하기도 합니다(沈虎頭)


또 호랑이 한 마리를 잡았을 때 얻는 아이템을 정리하면
상당히 많은 돈을 챙길 수 있었습니다

앞다리 정강이뼈는 약재로 사용되었으며
발톱은 악귀를 물리치는 용도로
이빨은 부스럼을 다스리는 용도로
수염은 치통, 쓸개는 설사, 오줌은 악성 종양
기름은 치질 다스리는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호랑이 고기를 먹으면 다른 호랑이들이 두려워한다 하여
호랑이를 잡기 전 고기를 먹은 뒤 사냥을 가기도 했습니다



호랑이 전리품 중 최고는 가죽이었는데

1500년대 호피 한 장은 쌀 60가마니 정도로
지금 가치로 따져보면 약 1000만 원 정도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 명나라나 일본에 수출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일본은 섬나라다 보니 호랑이가 살지 않아
호피가 큰 인기 품목이었다고 합니다


호피는 부의 상징으로 사용되기도 했는데
높으신 분들의 초상화를 보면
의자 가죽이 호피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결혼을 할 때 가마 위에 호피를 얹기도 했는데
부를 과시하는 것 이외에도
여우 같은 여자가 자신의 남편을 유혹하는 것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했다고 합니다


때로는 호피가 아닌 표범의 가죽인 표피를 사용하기도 했는데
놀랍게도 이 당시에는 호피보다 표피가 더 높게 평가되었습니다

표범은 재빠르고 나무를 타기 때문에 잡기 어렵기도 했고
중국에서 더 귀한 물건으로 취급했기 때문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착호갑사가 되지 않고
호랑이를 잡는 민간 사냥꾼이 늘어나게 됐고
임진왜란 이후 조총이 들어오면서
호랑이 사냥 난이도가 내려가게 되었습니다

일본의 가토 기요마사라는 장수는
임진왜란 때 조선에 들어와 호랑이 사냥을 즐기기도 했다고 합니다

당시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불임이라는 설이 있었는데
호랑이 고환이 불임 치료에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
호랑이를 사냥해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바쳤다고 합니다


이렇게 마구잡이로 호랑이를 사냥하다 보니 숫자가 점점 줄어들게 됐고
민간 사냥꾼이 착호갑사의 역할을 대신하다 보니
착호갑사는 딱히 할 일이 없게 되어
자연스럽게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으며

일제 강점기 때 일본이 조선의 호랑이를 멸종시키면서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호랑이 역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