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시청률은 어떻게 조사하는 것일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시청률 통계는 어떻게 이루어질까

여러분들이 가장 좋아하는 티비 프로그램은 어떤 것인가요?

저는 요즘책방 책 읽어드립니다를 즐겨 보고 있습니다

 

보고싶었던 책들을 간략하게 소개해주기도 하고

전문가들이 나와서 각자의 생각을 말해주니

새롭게 해석이 되기도 해서 재밌더라구요

 

유명한 책들 위주로 소개를 하고 있는데

유명하지 않지만 재밌게 읽었던 책도 소개해줬으면 좋겠다 하는 바람이 있네요

 

https://youtu.be/OQZLlFmZoFU

그런데 최근에는 티비를 보는 사람보다

인터넷을 통해 영상을 보는 사람이 더 많이 늘어났습니다

 

유튜브같은 동영상 플랫폼이 발전한 것도 있고

개인 일이 바쁘다보니 한시간 두시간을 시간 내서 티비 앞에 앉아있을 여유도 없고

중요하거나 웃긴 장면은 인터넷에 짤이나 클립으로 올라오기 때문이기도 하죠

 

본방사수라는 것이 요즘에는 많이 약해진 것 같습니다

그러면서 시청률이 주는 의미도 많이 떨어지고 있죠

 

하지만 방송국에게 시청률은 여전히 중요한 수치입니다

시청률이 잘 나와야 광고도 많이 들어오게 되고

방송에 더 힘을 쏟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청률이 잘 나오지 못하면 그만큼 수익이 나오지 않으니

계획보다 일찍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참 이상한게

나에게는 어떤 프로그램을 봤는지 물어본적이 한번도 없는데

시청률은 매번 잘 집계되고 있습니다

 

시청률은 도대체 누구한테 물어보는 것이며

어떤식으로 통계를 내는 것일까요?

 

우리나라에서 시청률 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때는

1960년대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때는 직접 물어보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아마 이 시대를 살았던 분들이라면

시청률에 대해 질문을 받았던 사람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설문조사를 통해 물어보거나

전화를 해서 물어보는 경우도 있었으며

 

집에 직접 방문해서 물어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기억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했고

 

거짓말을 하는 것도 잡아낼 수 없었습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1990년대부터는 피플미터라는 기계를 도입했습니다

 

피플미터는 1982년 영국 시청률 조사기관인 AGB에 의해 개발된 것으로

티비와 연결되면

티비를 켜고 끈 시간

어떤 채널을 보고 있는지

채널이 돌아갔는지를 자동으로 알려주게 됩니다

 

그래서 인력을 사용할 때보다 비용이 줄어들게 되었고

기계가 통계를 내는 것이니 기억력에 의지할 필요도 없어졌습니다

 

그런데 이 피플미터는 모든 집 티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닙니다

 

시청률을 조사하는 기관에서 패널을 선정하는데

집에 티비가 몇대가 있는지

소득은 얼마나 되는지

가족 구성원의 성별과 연령되는 어떻게 되는지를 따져 선정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시청률을 조사하는 기관은 두곳입니다

닐슨 코리아와 TNMS죠

 

시청률을 보기 위해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을 하거나 기사를 보면

닐슨 코리아 제공

TNMS 제공 이런식으로 쓰여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피플미터를 사용하는 것은 두 회사 모두 똑같지만

TNMS는 방송 화면을 저장해 현재 시청자가 보고있는 화면이 이 방송이 맞는지 직접 비교하는

PMS(Picture Matching System)을 사용하다가

 

오디오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AMS(Audio Matching System)을 사용하는 것으로 발전했습니다

 

즉 시청률은 패널로 선정된 사람이 티비를 켜면 시작되고

티비를 끝면 끝나게 됩니다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의 사람에게만 해당되는 것이죠

 

내가 패널이 아니라면 티비를 아무리 많이 봐도

시청률에는 영향을 줄 수 없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올리기 위해

본방사수를 하고 졸린데도 불구하고 계속 티비를 켜놓고 있어도

패널이 아니라면 어떠한 변화도 줄 수 없는 것이죠

 

우리나라 전체 가구 수는 2000만정도 된다고 합니다

 

그에 비해 패널로 선정된 가구는 5000가구 이하로

그리 많은 숫자가 아니다 보니

과연 이것을 진짜 시청률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게다가 내가 패널로 선정되었어도

티비가 아닌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방송을 본다면

시청률에 어떤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도

 

이 조사 방법의 단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거 방송매체가 라디오에서 티비로 바뀐 것처럼

이제는 티비에서 인터넷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티비가 있어도 잘 켜지 않거나

티비가 없는 집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청취율이 중요하던 시대에서 시청률이 중요한 시대로

그리고 조회수가 중요한 시대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방송국에서는 여전히 시청률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로 방송을 봐도

시청률 집계가 가능하도록 발전하고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