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치 까치 설날은 왜 하필 어저께일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12월 31일 한 해의 마지막 날이 지나고
1월 1일이 되면 새로운 해가 시작됩니다
우리나라는 한 해의 첫날을 기리기 위해
그날을 명절로 정해 가족과 만나 덕담을 나누는 풍습이 있습니다
이 명절을 설날이라고 하죠
설날은 양력 1월 1일인 양력설과
음력 1월 1일인 음력설이 있는데
보통 설날이라고 하면 음력설을 이야기합니다
설날은 떡국, 세뱃돈, 윷놀이
그리고 설날 노래 같은 것들이 떠오르는 날인데
설날 노래 가사를 잘 보면
까치 설날은 어저께 그리고 우리 설날은 오늘이라고 나옵니다
도대체 왜 설날 전날을 까치의 설날이라고 말하는 것일까요
youtu.be/0c7g_wgTd9c
설날이라는 동요는 고드름, 기찻길옆, 고기잡이, 어린이날 노래를 작곡한
윤극영 동요작곡가가 1924년에 만든 노래입니다
왜 하필 까치의 설날이 어저께인지
정확한 기록이 남아있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추측만 존재할 뿐입니다
먼저 까치라는 새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새인데
깍깍거리는 작은 새라는 의미로 까치라고 이름을 지었다고 합니다
까치는 깍과 아치가 합쳐진 말인데
여기서 아치가 작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죠
아치라는 말은 현대에 와서 사용하지 않는 말이 되었지만
과거에는 아찬 혹은 앛-으로 사용되면서
작은 것, 시작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태양이 떠오르고 하루가 시작되는 때를 아침이라고 하는데
앛에 ㅁ이 합쳐져 아침으로 불린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이것과 마찬가지로 과거에는 설날 전날
즉 1월 1일 전날 12월 30일(음력)을
작은 설날 혹은 설날이 시작되는 날이라고 해서
아찬설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었던 조선시대 역학서를 보면
수세를 아찬설밤 쇠오다 라고 해석했는데
여기서 수세는 섣달그믐날 밤 잠을 자지 않고
밤을 새우는 풍속을 말합니다
섣달그믐날 밤은 음력 12월 30일을 뜻하니
아찬설이라는 것은 설날 전날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시대가 흘러 동요가 만들어질 때쯤에는
아찬, 아치라는 말은 사용하고 있지 않았지만
음을 맞추기 위해 아치설을 까치설로 바꿔서 동요를 만든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습니다
또 까치는 지능이 높고 후각이 발달되어 있어
주위의 냄새뿐만 아니라 사람의 냄새도 기억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낯선 사람을 보면 경계의 표시로 마구 울어댑니다
설날 전날에는 타지에 있던 자식들이 모여들기 때문에
까치는 설날 전날에 평소보다 더 많이 울게 됩니다
우리 조상들은 까치의 이런 행동을 보고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설날 동요에
까치가 등장하는 것이 아니냐 하는 추측도 있습니다
영상이 업로드된 오늘은 음력 12월 30일
까치의 설날이고 내일은 우리의 설날입니다
다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연초에 계획했던 것들 다시 한번 다짐하며
목표를 이룰 수 있는 한 해가 되길 바라겠습니다
'은근한 잡다한 지식 > 생활 잡다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서 양식에 예시 이름은 왜 전부 홍길동일까 (0) | 2021.02.21 |
---|---|
핸드폰 번호는 왜 010 번호로 시작하는 것이며 010을 다 쓰면 어떻게 될까 (0) | 2021.02.18 |
전갈과 전쟁 중인 나라 (0) | 2021.02.14 |
곰을 만났을 때 죽은 척하면 살 수 있을까 (0) | 2021.02.04 |
약속을 할 때 왜 새끼손가락을 거는 걸까 (0) | 2021.01.24 |
법정에서 재판을 할 때 존경하는 재판장님이라고 하는 이유 (0) | 2021.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