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음식은 위로 가는데 왜 간에 기별도 안 간다고 하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왜 간에 기별도 안 간다고 하는 걸까

 

 

음식을 먹으면 식도를 거쳐 위로 갑니다
위에 음식이 많이 쌓이면 우리는 배부름을 느끼죠

그런데 음식의 양이 너무 적어 여전히 배가 고플 때
간에 기별도 안 간다는 말을 하곤 합니다

음식은 위로 가는데 간에 기별도 안 간다니
생각해 보면 뭔가 이상합니다


여기서 기별은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있었던
일종의 통신문을 말하는 것입니다

특히 조선시대에 많이 만들어졌는데
왕의 명령을 전달하는 승정원에서 기별을 담당했다고 합니다

기별에는 새롭게 만들어진 법이나
왕이 내린 결정, 지시사항 같은 것들이 쓰여 있었고
조선이 추구하는 윤리관, 사회관, 세계관
유교적 사상을 전파하기 위한 내용도 있었습니다

 


기별은 매일 아침 정기적으로 발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전날 있었던 특이한 현상들도 쓰여있었다고 합니다

즉 기별은 나라에서 만드는 아침 신문 정도로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기별을 조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조선 초기 기별은 현직, 전직 관료들에게만 배포되었는데
이후에는 일부 사대부들도 볼 수 있었고
조선 말기에는 돈을 주면 양반들에게도 보여줬습니다

기별에는 각종 공지사항이 쓰여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이 요구한 것, 원하는 것이 이루어졌는지 알기 위해
기별을 기다렸습니다

그러다 보니 기별이라는 단어는 소식이라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했죠

 


즉 간에 기별도 안 간다 라는 건
간에 소식도 오지 않는다 라는 뜻으로 생각하면 됩니다

음식을 먹으면 위가 팽창합니다
간은 위 옆에 있는데 위가 팽창하면 간은 압박을 받게 됩니다


음식을 적게 먹으면 간은 압박을 받지 않으니
아무것도 느낄 수 없어 간에 기별도 안 간다는 말이 나왔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간은 통증을 전달하는 통각 수용기가 없기 때문에
압박을 받는다고 해서 통증을 느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먹은 음식은 위에서 분해되고
일부의 영양분이 흡수된 뒤 장으로 이동합니다

장에서도 영양분이 흡수되는데
이들 중 일부는 간으로 보내집니다

간은 해독 작용을 하는 장기로 알려져 있는데
해독에만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소화에도 관여를 합니다


그런데 과거에는 음식을 적게 먹으면 위나 장에서 모든 영양분이 흡수되고
간에는 영양분이 전달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했나 봅니다

그래서 음식을 적게 먹으면
간에 기별도 안 간다는 말이 만들어진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음식을 적게 먹는다고 해서
간에 영양분이 전달되지 않는 건 아니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