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호주의 생태계가 박살나버린 사건 회색토끼 전쟁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회색토끼 전쟁

전쟁은 많은 살상자를 내기 때문에

가장 최후의 수단 아니 절대 일어나서는 안되는 행위입니다

 

요즘에는 전쟁을 거의 하지 않고 있지만

과거에는 각자의 영토를 확장하기 위해

더 잘사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전쟁을 하는 일이 많았습니다

 

뭐 각자 저마다의 이유가 있기에 전쟁을 일으킨 것이겠죠

 

전쟁이라고 하면 집단과 집단

국가와 국가간의 군사 충돌을 떠올리겠지만

호주에서는 사람과 동물간의 전쟁이 있었습니다

 

 

호주는 지도를 보면 알겠지만 다른 나라들과 많이 떨어져 있어

호주가 아니면 서식하지 않는 동물들이 많이 존재합니다

 

캥거루, 코알라, 오리너구리, 웜뱃같은 동물들이 대표적이죠

 

지금이야 동물원에 가면 이들을 많이 볼 수 있지만

과거엔 그렇지 못했습니다

 

호주에 처음 간 사람이 이런 동물을 본다면

미지의 세계에 온 것처럼 신기했을 것 같네요

 

 

토끼는 귀여운 이미지 덕분에 동화에도 많이 등장하고

여러 매체에서 캐릭터로 활용하기 때문에

우리이게 친숙한 동물중 하나입니다

 

때로는 영악한 동물로 표현을 하긴 하지만

어쨌든 귀엽다는 것은 변하지 않는 사실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호주사람들에게 만큼은 토끼는 귀여운 동물이 아닌

악마같은 동물입니다

 

원래 호주에는 토끼가 살고 있지 않았지만

1859년 영국 출신의 토마스 오스틴이라는 사람이

사냥목적으로 사촌에게 야생토끼 24마리를 보내달라고 하면서

호주에 처음 토끼가 발을 디디게 됩니다

 

토마스 오스틴이 사냥으로 들여온 토끼를 모두 잡았다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았겠지만

(이 당시에는 사냥을 즐겨 했다고 합니다)

 

토끼중 일부가 야생으로 도망치면서 문제가 시작됩니다

 

토끼는 강한 동물이 아니기 때문에 안정적인 종족 번식을 위해선

교미시간이 짧아야 했습니다

 

교미시간이 길다면 교미를 하는 동안 천적에게 잡아먹히기 때문이죠

 

암컷 토끼의 경우 자궁이 두개인 덕분에

임신을 하고 있는 동안 또 임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번에 새끼를 많이 낳기 때문에

 

포유류계의 바퀴벌레라고 불릴정도로 번식력이 뛰어난 동물중 하나입니다

 

이렇게 짧은 교미시간과 뛰어난 번식력 덕분에

야생으로 도망친 토끼의 개체수는 미친듯이 불어나기 시작했습니다

 

토끼의 천적은 여우, 늑대, 독수리같은 동물들이었지만

호주에는 이런 동물들이 존재하지 않거나 그 수가 많지 않았습니다

 

호주는 겨울에도 그리 춥지 않은 날씨이기 때문에

토끼는 1년 내내 번식할 수 있었죠

 

토끼의 개체수가 늘어나면서

호주의 풀들이 점점 말라가기 시작했습니다

 

풀이라는 풀은 모두 뜯어먹었고

나무 뿌리를 먹어 나무가 자라지 못하게 하거나

땅에 구멍을 파는 바람에 여러가지 피해를 입기도 했습니다

 

심지어 사람이 관리하는 목장에 들어와 가축의 식량을 먹기까지 하면서

호주의 생태계를 파괴시키고 있었습니다

 

영국사람이 들여온 고작 24마리의 토끼

그중 도망친 몇마리가 호주를 완전히 박살내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호주는 이제 토끼에 대해 대책을 세워야 했습니다

1901년 피해가 심해지자 토끼를 막기 위한 울타리를 설치했습니다

 

울타리는 총 세번에 걸쳐 설치했는데 길이만 3000km가 넘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토끼의 개체수는 더 증가했고

울타리는 낡아갔습니다

 

결국 1920년 토끼는 울타리를 뚫고

다시 호주 생태계를 위협하기 시작했습니다

 

호주는 토끼의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포상금을 걸어 토끼 사냥을 장려하기도 했으며

군대를 동원해 토끼를 죽이기도 했습니다

전염병을 퍼트려 토끼를 멸종시키려 했지만

 

이 모든 것들은 토끼에게 통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1929년 미국 주식이 폭락하면서

대공황이 터지게 되었습니다

 

대공황때문에 사람들은 일자리를 잃었고

돈을 벌지 못하니 먹을 걸 사지 못해 굶어죽는 사람의 숫자가 늘어났습니다

 

호주 역시 대공황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었습니다

일자리를 잃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했죠

 

하지만 호주 사람들은 적어도 굶어죽지는 않았습니다

 

호주에는 어마어마한 양의 토끼가 있었기 때문이죠

 

토끼는 사냥하는데 어렵지도 않았고

고기가 맛있기도 했으며 단백질이 풍부했기 때문에

대공황이 왔어도 호주사람들은 토끼고기를 먹으며 버틸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1939년에는 제2차 세계대전이 발생하게 되었는데

호주도 연합국 소속으로 참전했습니다

 

대공황의 여파가 아직 남아있었기 때문에 식량이 별로 없었지만

호주에는 여전히 토끼가 많이 있어서

 

토끼고기를 통조림으로 만들어 부족한 식량을 대체하기도 했습니다

 

울타리를 세울정도로 혐오스러웠던 토끼지만

대공황과 세계대전때만큼은 호주사람들을 배고픔에서 벗어나게 해준 영웅이었습니다

 

대공황과 세계대전이 끝난 뒤 토끼는 다시 혐오스러운 존재가 되었습니다

여전히 토끼의 개체수가 많이 있었기 때문이죠

 

울타리, 사냥, 전염병 어떤 것도 통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혀 새로운 방법이 필요한 때였습니다

 

호주에는 토끼의 천적이 없었기 때문에

불어나는 토끼의 개체수를 막지 못했다고 판단해

토끼의 천적인 여우를 들여오기로 합니다

 

외국의 용병을 이용해 국내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 것이죠

 

초반에는 여우들이 토끼를 잡아먹으면서

토끼 문제가 해결되는 듯 보였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여우가 문제가 되기 시작했습니다

 

호주에는 토끼들이 넘처났기 때문에

여우에게 이보다 좋은 땅은 없었습니다

 

먹을 것이 많으니 번식도 많이 할 수 있었고

그런 덕분에 여우의 개체수가 늘어나게 됐습니다

 

호주에는 여우가 없었기 때문에

다른 야생동물들은 여우 대처 방법을 몰랐습니다

 

여우 입장에선 도망가는 토끼를 사냥하는 것보다

도망가는 방법을 모르는 다른 동물들을 사냥하는 것이 쉬웠기 때문에

호주의 다른 동물들을 사냥하기 시작했습니다

 

토끼를 잡으라고 들여온 여우였지만

시간이 지나자 호주의 토종 야생동물들이 피해를 보게 된 것이죠

 

여우로도 토끼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자

1950년 호주는 점액종 바이러스를 이용해 토끼의 개체수를 줄이기로 합니다

 

점액종 바이러스는 토끼에게 치명적인 바이러스로

높은 살상력을 보여주는 바이러스입니다

 

이때 약 6억마리정도 토끼가 호주에 살고 있었는데

점액종 바이러스를 사용한 이후로 1억마리까지 감소했다고 합니다

 

호주에서 점액종 바이러스로 토끼의 개체수를 조절하는 것을 본 프랑스의 한 생물학자는

자신의 개인 사유지에 있는 토끼 개체수를 조절하기 위해 점액종 바이러스를 들여 왔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빠르게 퍼져 1954년에 프랑스 야생 토끼의 90%를

1955년 영국 야생토끼의 99%를 사망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호주에선 이런 기적이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1억마리까지 떨어진 토끼였지만

점액종 바이러스에 내성이 생긴 토끼가 늘어나게 되면서

1991년 다시 2억~3억마리로 불어나게 됐습니다

 

점액종 바이러스는 모기나 벼룩에 의해 전염 되는 바이러스지만

호주에는 벼룩의 개체수가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벼룩은 숙주에 달라붙어 피를 고정적으로 빨지만

모기는 벼룩에 비에 피를 빠는 양이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바이러스가 충분하게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죠

 

바이러스가 충분하게 들어가지 못하니 일부 토끼들은 점액종 바이러스에 대해 면역력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런 토끼들 사이에서 자식은 점액종 바이러스에 내성이 있을 확률이 있었고

이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다시 토끼 공포가 시작되어버린 것이죠

 

1995년에는 토끼 출혈병이라는 또다른 바이러스를 이용해

토끼 개체수를 줄이려고 했습니다

 

토끼 출혈병 역시 토끼에게 아주 치명적인 바이러스로

두달만에 천만마리가 넘는 토끼가 사망했다고 합니다

 

토끼 출혈병은 어느정도 효과를 보여주는 듯 했습니다

토끼의 개체수가 줄자 여우의 개체수도 줄어들었으며

토종 식물이 자라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토끼 출혈병 역시 내성을 가진 토끼들이 태어나기 시작했고

현재까지 호주는 토끼의 개체수를 확실하게 줄이지 못하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유전자 조작을 통해 토끼가 임신하지 못하게 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고 합니다

 

토끼 때문에 생태계가 무너지고

마치 전쟁을 한 것처럼 많은 피해를 본 호주

 

그래서 이 사건을 회색토끼 전쟁 혹은 토끼 역병이라고 부릅니다

 

 

여우는 토끼의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 들여왔다고 말했지만

1855년 사냥을 위해 들여왔다는 말도 있습니다

 

여우 역시 늘어나는 개체수를 조절하지 못했고

많은 야생동물이 피해를 봤다고 합니다

 

1840년에는 무건운 짐을 들기 위해 낙타를 들여왔지만

1900년대에 철도가 깔리게 되면서 낙타가 필요 없어졌습니다

 

그래서 호주 사람들은 낙타를 그냥 방치해버렸죠

 

시간이 지나 낙타는 100만마리까지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낙타 한마리가 한번에 먹는 물의 양은 약 100리터정도

 

낙타로 인해 사막화가 진행되었고 주변 식물들이 말라버리는 피해를 봤다고 합니다

 

낙타는 사람의 발이 닿지 않는 곳에 살고 있어

헬리콥터를 이용해 낙타의 개체수를 줄여야 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고 합니다

호주는 사탕수수 농사를 많이 하는 곳인데

사탕수수를 먹는 딱정벌레때문에 피해를 봤다고 합니다

 

그래서 1935년 딱정벌레를 없애기 위해 수수두꺼비를 들여왔습니다

 

하지만 수수두꺼비는 높이 뛰지 못하기 때문에

사탕수수 위쪽에 있는 딱정벌레를 먹지 못해 효과를 보지 못했다고 합니다

 

수수두꺼비는 독을 가지고 있어

오히려 수수두꺼비를 먹으려는 다른 야생동물들만 피해를 봤다고 합니다

 

독때문에 사람이 직접 개체수를 조절해야 하는데

과거보다 뒷다리가 더 길어지는 형태로 진화해버리는 바람에

이동속도가 빨라져 개체수를 줄이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네요

 

호주에는 신기한 야생동물이나 식물이 많이 있었지만

외부에서 들여온 동물들 때문에 많은 종류가 멸종됐다고 합니다

 

인간의 편의를 위해 들여온 동물들이

생태계를 완전히 무너트리고 있는 상황이죠

 

우리나라도 과거 식용 목적으로 황소개구리를 들여왔다가

큰 피해를 봤던 때가 있었습니다

 

이런 것들을 보면 생태계를 왜 인간이 간섭하면 안되는지 알 수 있는 것 같네요

자연은 정말 위대한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