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트리아를 사냥해 포상금으로 1억원을 번 농부 이야기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서부 영화를 보면 현상금이 걸린 범죄자들을 잡는
현상금 사냥꾼이 등장합니다
이들은 다른 일은 하지 않고
현상 수배범을 잡는데만 시간을 소비하죠
물론 이것은 현실 세계에서도 가능한 일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범죄자들에게 현상금을 걸어놓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이런 현상금은
꼭 사람이 아니라 동물에게도 해당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는 뉴트리아라고 하는 쥐 때문에
농부들이 큰 피해를 입어
포상금을을 거는 일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때 뉴트리아를 잡아 포상금으로 1억원을 번 사람이 있습니다
뉴트리아는 하천이나 연못가에 사는 설치류의 일종으로
원래는 남아메리카에 분포하지만
고기의 맛과 모피에 대한 좋은 소문이 퍼지면서
유럽, 미국 그리고 우리나라에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때는 1980년대로
뉴트리아 고기는 닭고기나 오리고기와 비슷한 맛이 난다고 하고
뉴트리아 모피는 보온성이 좋고 물에 잘 젖지 않는다는 특징 때문에
큰 수익성을 보고 수입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설치류가 주는
거부감 있는 생김새 때문에
생각보다 모피나 고기가 잘 팔리지 않았습니다
원래는 사육을 통해 뉴트리아를 키워
사업을 확장하려고 했지만
사람들이 구매하지 않으니 사업이 망해버렸고
뉴트리아는 그렇게 그냥 방치되어 버렸습니다
사업이 실패했을 때 뉴트리아에 대한 마무리를
확실하게 해야했지만
뉴트리아는 남미에서 왔기 때문에
한국의 추운 겨울을 이기지 못할 것이라 판단한 정부는
뉴트리아를 그냥 방치해버립니다
뉴트리아의 평균 수명은 약 10년정도 되고
임신 기간은 2~3개월 정도로 짧은데다
한번에 5마리정도 새끼를 낳는
번식력이 꽤 좋은 설치류입니다
그런 덕분에 방치된 뉴트리아는 빠르게 번식하기 시작했습니다
게다가 예상과 다르게 뉴트리아는 한국의 추운 겨울을 견뎌내면서
문제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뉴트리아는 식물을 주식으로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쌀이나 배추를 먹어버려
농사에 큰 피해를 줬습니다
그래서 환경부는 2009년 뉴트리아를 생태계 교란종으로 지정했습니다
생태계 교란종이란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할 가능성이 있는 생물로
지정되면 사육이나 수입이 금지되며
개체수를 줄이기 위한 작업이 시작됩니다
세계자연보전연맹 역시 뉴트리아를 100대 악성 외래종으로 선정하기도 했으며
고기와 모피를 노리고 뉴트리아를 수입한 다른 나라들 역시
뉴트리아를 잡기 위해 아직까지 노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뉴트리아의 몸 길이는 꼬리를 제외하고 70cm정도 됐고
몸무게는 7kg정도 됐습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쥐보다 훨씬 크고 위협적인데다
먹는 양도 많아서 큰 골칫거리였죠
뉴트리아는 식물 뿐만 아니라
주변에 있는 물고기나 청둥오리까지 먹어버렸습니다
아무래도 외국에서 들어온 동물이라
국내에 있던 동물은
뉴트리아 대처법을 전혀 모르는 상황이라
당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이죠
게다가 마땅한 천적도 없었기 때문에
개체수가 늘어나는 것은 어렵지 않았습니다
사람 역시 뉴트리아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것은 마찬가지라
농사를 망치는 것을 두고볼 수 밖에 없었습니다
특히 낙동강쪽에 피해가 컸다고 합니다
그시절 김해시에서 배추 농사를 하던
한 농부의 밭도 예외는 아니었습니다
뉴트리아는 배추의 속만 파먹고 도망가버렸기 때문에
수확할 때가 아니면 당했는지 아닌지 정확하게 알 수 없기도 했고
야행성이라 사람이 자고 있을 때 활동해
눈치채는 것이 쉽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그 당시 배춧값이 많이 올라
큰 돈을 벌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던 농부는
큰 분노에 휩싸이게 되었습니다
사실 처음에는 배추가 왜 이렇게 되는지 알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감시카메라를 설치해 본 결과
생전 처음 보는 동물이 자신의 밭을 망치고 있었습니다
농부는 인터넷을 통해 동물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물론 관련된 자료가 대부분 영문이었지만
분노 앞에서 영어는 문제가 되지 않았습니다
물론 농부는 대학에 다닐 때 조경학을 공부했고
졸업 이후엔 종묘 회사의 연구원으로 일했었어서
번역을 하는 것이 어렵지 않은 과정이었다고 합니다
농부는 6개월동안 뉴트리아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2010년 부산, 김해, 낙동강 일대에서
뉴트리아를 소탕하기 시작했죠
물론 총을 사용했다면
더 쉽게 잡을 수 있었겠지만
아무래도 우리나라는 총을 사용하는게 번거롭기도 하고
김해는 문화재 보호 구역이라 총은 사용하지 못하고
주로 각목, 골프채, 덫을 사용했다고 합니다
그는 하루에 20~30마리정도를 잡아냈는데
이런 소문은 빠르게 퍼져 다른 지역에서도 농부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2010년 부산과 김해는 뉴트리아를 잡아오는 사람에게
한마리당 3만원을 주는 포상금 제도를 실시했는데
이런 덕분에 농부는 배추로 벌지 못한 돈을
뉴트리아로 벌 수 있었습니다
그야말로 뉴트리아 사냥꾼 전홍용의 시간이 시작된 것입니다
눈에 보이는 뉴트리아는 각목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뉴트리아는 덫을 이용해 해결했는데
덫을 사용하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다른 야생동물도 같이 걸렸기 때문이죠
그래서 농부는 뉴트리아만 걸리는 덫을 개발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가 며칠동안 낙동강을 돌고 나면
1톤 트럭에 뉴트리아 시체가 가득했는데
이것을 모두 포상금으로 바꾸자
지자체에서는 농부를 의심했다고 합니다
혹시 뉴트리아를 키워서 가지고 오는 것이 아닐까? 하고 말이죠
그래서 공무원들이 집을 수색하는 일도 있었지만
농부가 직접 사냥하는 모습을 보여주자
김해시도 납득했다고 합니다
농부가 뉴트리아를 잡으며 번 돈이 1억원이라고 알려져 있긴 하지만
이것은 조금 과장된 것이라고 합니다
2012년부터는 포상금이 2만원으로 줄어들기도 했고
포상금이라는 것 자체가 무한정으로 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죠
아무리 많이 잡아도
정해진 예산이 있기 때문에 농부가 벌 수 있는 돈은 한정되어 있었습니다
농부가 잡은 뉴트리아는 1만마리정도 된다고 하지만
번 돈은 6000만원정도 된다고 합니다
농부의 실력에 감명받은 낙동강유역환경청은
농부를 2014년 뉴트리아 퇴치반 반장으로 임명했고
2014년에는 5200마리
2015년에는 1800마리를 잡는 성과를 보였다고 합니다
농부가 이렇게 많은 뉴트리아를 잡아준 덕분에
뉴트리아 개체수가 조금씩 줄고 있으며
환경부는 2023년까지 완전 퇴치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사냥꾼이 은퇴하는 바람에
다시 뉴트리아가 활개치는 것이 아니냐 하는 우려도 있습니다
물론 뉴트리아가 농사를 망치고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기 때문에 개체수를 줄이는 것이 맞지만
이것은 뉴트리아의 잘못이 아닙니다
그들은 그냥 우리나라에 와서 생존을 위해 필사적으로 노력했을 뿐이죠
잘못은 인간에게 있습니다
인간의 욕심 때문에 외래종을 들여와놓고
제대로 관리하지 않아 이런 결과가 발생한 것입니다
은잡지를 자주 보신 분들이라면
과거 호주에서 있었던 전설적인 회색 토끼 전쟁을 기억할 것입니다
외래종을 잘못 들여오면 어떻게 되는지
보여주는 아주 확실한 예시였죠
물론 우리나라도 황소개구리 사건으로 한번 피해를 본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또다시 뉴트리아를 들여왔습니다
인간의 욕심은 끝이 없고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마 우리는 미래에 같은 실수를 또 할 것입니다
하지만 그 이후에 결과가 똑같아서는 안되겠죠
그러기 위해선 황소개구리, 회색 토끼 전쟁, 뉴트리아 사태를
기억하고 또 기억해야 합니다
'은근한 잡다한 지식 > 역사 잡다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치약대신 모래로 양치했던 조선시대(양치의 역사) (0) | 2020.09.10 |
---|---|
막대 아이스크림을 발명한 것은 11살짜리 소년이었다? (0) | 2020.07.23 |
조선시대 내시들은 왜 거세를 했을까? (0) | 2020.07.19 |
식당에서 나오는 공깃밥은 왜 모두 똑같을까 (0) | 2020.06.12 |
동물과 전쟁을 했지만 그냥 발려버린 사건(호주 에뮤전쟁) (0) | 2020.04.17 |
최초의 한글 띄어쓰기 그 시작은 외국인이었다 (2) | 2020.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