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영화처럼 손수건에 약물을 묻혀 기절시키는 게 가능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이게 진짜 가능할까

 

영화나 드라마, 애니메이션을 보면
무언가를 묻힌 손수건으로
코와 입을 막은 뒤 주인공을 기절시켜
납치하는 장면이 나오곤 합니다

이때 주인공은 손수건이 닿자마자 기절해버리기 때문에
별다른 저항을 하지 못하고 끌려가게 됩니다

물론 우리가 실제로 누군가를 이렇게 납치할 일은 없겠지만
장르를 가리지 않고 나오는 장면이기 때문에
실제로도 가능할 것처럼 보이는데

이것이 실제로도 가능한 것인지
그리고 가능하다면 도대체 어떤 물질을 사용하는 것일까요



우리는 은잡지 지난 영상을 통해
마취의 역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별다른 마취제가 없던 과거에는
환각물질로 사용되던 에테르를 이용해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만든 뒤 수술을 진행하곤 했습니다

하지만 에테르는 냄새 때문에 호불호가 심했고
일부 환자들은 마취가 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의사들은 더 나은 마취제를 찾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1847년 제임스 심슨이라는 산부인과 의사는
에테르보다 더 좋은 마취 효과를 가지고 있고
냄새도 괜찮고 더 안전한 물질을 마취 수술에 사용하는데
이것이 바로 클로로포름입니다

손수건을 이용해 주인공을 기절시킬 때 사용하는 물질은
아마도 이 클로로포름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클로로포름을 이용한 마취 수술은
클로로포름을 흡입하는 것으로 진행됩니다

마취에 쓰이는 물질은 ppm이라는 단위를 사용하는데
클로로포름의 경우 사람을 마취시킬 때 1500ppm 이상은 사용해야 하며
과거 수술을 진행했을 땐 20,000ppm 정도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만약 1500ppm보다 낮은 양을 사용하게 되면
마취는 일어나지 않고 현기증, 피로감, 두통 같은 것만 발생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손수건에 1500ppm 이상의 클로로포름을 묻힌 뒤
이것을 모두 흡입하게 할 수 있다면
영화에서처럼 누군가를 기절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클로로포름은 휘발성 물질로
공기중에서 빠르게 증발해버리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손수건에 충분한 양을 묻혔다고 하더라도
주인공이 올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에 증발해버립니다


게다가 클로로포름은 빛을 받으면 서서히 분해하기 때문에
이것을 막기 위해 갈색 병에 보관하는데
손수건에 묻히는 순간 빛에 노출되면서 분해 되니

마취 효과를 볼 수 없게 됩니다

또 클로로포름으로 기절시키려면 수 분 동안 흡입시켜야 하는데
이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도 하고

어떻게 많은 양을 잘 흡입시켰다고 하더라도
계속 흡입시키지 않는다면 금방 깨어나기 때문에

 


영화처럼 몇 초 만에 기절시킨 뒤 납치하는 것은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일
그저 과장된 표현이었던 것이죠

클로로포름은 흡입했을 때 심장, 간에 문제를 일으키고
마취 이후 구토가 심하다는 단점이 있어
현재는 사용하고 있지 않는 마취제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마취를 하면 고통이 느껴지지 않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마취를 하면 왜 안 아플까

 

무언가에 살짝 베이기만 해도
움직이다가 어딘가에 살짝 부딪히기만 해도
엄청난 고통이 밀려오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치지 않게 조심해야 하죠

하지만 사랑니를 빼거나
몸에 이상이 생겨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곤 합니다

치료를 위해선 칼을 대야 하는데
그냥 하면 고통을 참지 못해 쇼크로 죽어버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마취를 하고 수술을 진행하게 됩니다

마취를 하면 거짓말처럼 통증이 느껴지지 않는데
도대체 어떤 원리로 통증을 없애주는 것일까요




마취가 없었을 때는 수술을 하다가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독한 술을 이용해 고통을 감소시키기도 했고
헬륨을 마시면 고통이 사라진다고 해서
이를 뽑을 때 헬륨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헬륨을 너무 많이 마시게 되면
산소부족증 때문에 위험할 수 있는데
이것 때문에 헬륨을 자주 사용한 치과 의사가
젊은 나이에 사망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때로는 아편 같은 마약을 이용해
정신을 오락가락하게 만든 뒤 수술을 하기도 했었습니다

에테르라는 물질의 증기를 흡입하면 환각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과거에는 이것을 마약처럼 이용해 에테르 증기를 즐기곤 했습니다
이것을 에테르 유희라고 불렀습니다


1846년 미국의 한 의사가 이런 에테르를 이용해
고통 없이 환자를 수술하는데 성공해냅니다
이것이 바로 인류 최초의 마취제이죠

하지만 에테르는 냄새가 독했고
일부 환자들은 마취가 되지 않는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1847년 영국의 한 의사는 에테르의 단점을 보완할 물질을 찾아내는데
그것이 바로 클로로포름입니다

클로로포름은 에테르보다 더 적은 양으로 마취할 수 있었고
부작용도 적었으며 무엇보다 더 안전했습니다

클로로포름에 의한 마취 소식은 영국 빅토리아 여왕에게까지 들어갔고
1853년 왕자를 출산할 때 클로로포름을 사용하면서
대중적인 마취제로 퍼지게 되었습니다

물론 현대에 와서는 에테르나 클로로포름보다
더 안전한 마취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방안을 걷다가 레고를 밟는다고 상상해봅시다

발이 레고에 닿는 순간에는
레고에 대한 촉감이 전달될 것입니다

레고를 조금 더 밟게 되면 피부에 있는 통각 수용체는
지금 가해지는 자극의 정도가
피부를 손상시킬 수 있다고 판단해 신호를 뇌로 전달하고
뇌가 신호를 받으면 통증이 느껴지게 됩니다

그리고 그 순간 레고에서 발을 떼게 되죠

즉 레고를 밟으면 발에서 통증이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신호를 전달받은 뇌가 통증을 느끼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뇌에 신호가 전달되지 않으면
발에 어떤 자극이 발생하더라도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이때 신호는 발에서 뇌로 순간이동하는 것처럼
한 번에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뇌로 연결된 통로를 타고 이동합니다

마취를 하게 되면 마취제 성분이 신호가 전달되는 통로를 막아
신호가 뇌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됩니다

통각 수용체는 피부에 자극이 생겨 뇌로 신호를 보내지만
신호가 뇌에 전달되지 못하기 때문에
칼이 들어와도 통증을 느낄 수 없는 것입니다

이것은 전신 마취든 부분 마취든 같은 원리로 작용하게 됩니다



물론 마취를 했을 때 발생하는 부작용이 전혀 없다고 말할 순 없지만
과거에 비해 안전해진 것은 사실입니다

부디 부작용 없는 마취 방법이 만들어져
고통 없고 안전한 수술을 받을 수 있는 날이 빨리 왔으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