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은 왜 월화수목금토일이라고 불리게 되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시간이라는 건 참 신기한 것 같습니다
별거 아닌 것처럼 생각하긴 하지만
우리를 성장시키고 노화시키죠
하루하루 어떻게 시간이 흐르는지 느껴지지 않지만
되돌아보면 시간이 참 많이 흘렀다는 걸 느낄 수 있습니다
힘들고 어려운 상황일 수록 시간은 더디게 가지만
결국 그것은 느낌의 차이일 뿐 언제나 24시간이 흐르고 있죠
시계나 달력이 없었다면 우리의 생활은 어땠을까요?
물론 태양이 지기 때문에 밤이라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오늘이 과연 어떤 날인지 내일은 어떤 태양이 뜨는지 알 수 없을지도 모릅니다
매일매일 똑같은 하루
하지만 달력이 있기 때문에 어제와 또다른 하루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이 어떤 요일인지도
매일매일 24시간 누구에게나 동일한 시간이 주어지지만
누군가에겐 월화수목금금금이 될 수도 있고
누군가에겐 월화수목금 퇼이 될 수도 있습니다
604800
일주일이라는 시간을 숫자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렇게보면 일주일은 정말 길어보입니다
168
역시 일주일이라는 시간을 숫자로 표현한 것이죠
일주일은 604800초 혹은 168시간입니다
시간은 언제나 흐르고 월요일이 지나면 화요일이 오는 것처럼
금요일이 지나면 토요일이 옵니다
그리고 주말을 맞이하게 되죠
어김없이 일요일이 지나면 월요일이 오게 됩니다
아무렇지 않게 오늘이 무슨 요일이라고 말하긴 하지만
이쯤 되면 궁금합니다
일주일은 왜 7일이 되었으며
왜 월화수목금토일이라고 부르는 것일까요?
지금이야 과학이 많이 발전했기 때문에
시간을 보고 날짜를 알애내는 것은 어려운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과거에는 그렇지 못했죠
시간의 흐름을 알기 위해선 하늘을 봐야 했습니다
하늘에는 태양, 달을 비롯한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이 떠있죠
태양, 달,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은 눈으로 볼 수 있는 것들입니다
태양은 항성이고 달은 지구의 위성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과거에는 태양과 달도 행성으로 취급했습니다
그리고 이들은 지구의 주위를 돌고 있다고 생각했죠
우주의 중심에는 지구가 있고
지구의 주위를 여러 행성들이 돌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것이 바로 천동설이죠
7개의 행성이 지구의 주위를 돌면서 시간을 관리하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가장 빨리 도는 행성인 달이 가장 가까이 있는 행성이고
가장 천천히 도는 행성인 토성이 가장 멀리 있는 행성이었습니다
과거 사람들은 가장 먼 행성부터 가장 가까이 있는 행성 순으로
시간을 관리하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토성, 목성, 화성, 태양, 금성, 수성, 달 순서였죠
그래서 각각의 시간을 토성의 시간, 목성의 시간, 화성의 시간 등등으로 표현 했습니다
이들은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눴으며 한시간마다 각각의 시간을 대입했습니다
예를 들어서 1월 1일 첫번째 시간은 토성의 시간을
두번째 시간에는 목성의 시간 세번째 시간에는 화성의 시간 네번째 시간에는 태양의 시간
위의 규칙대로 쭉쭉 나가다보면 하루의 마지막 시간은 화성의 시간이 됩니다
1월 1일이 화성의 시간으로 끝났기 때문에
1월 2일의 첫번째 시간은 태양의 시간부터 시작합니다
두번째 시간은 금시(금성의 시간), 세번째 시간은 수시(수성의 시간)
이런식이었죠
이 규칙대로 시간을 계속 대입해보면
1월 3일 첫번째 시간은 월시
1월 4일 첫번째 시간은 화시
1월 5일 첫번째 시간은 수시
1월 6일 첫번째 시간은 목시
1월 7일 첫번째 시간은 금시가 됩니다
그러다 매일 첫번째 시간을 요일의 이름으로 사용하게 되었고
그 결과 토일월화수목금 이라는 요일이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한달인 30일이나 31일은 7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고
일년인 365일 역시 7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습니다
그래서 일주일이 7일이 된 것은 조금 의아하기도 합니다
10일 단위이거나 5일 단위라면 딱딱 맞아 떨어질텐데 말이죠
바다는 달의 영향으로 수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밀물과 썰물을 반복합니다
밀물과 썰물의 차이를 조수 간만의 차 혹은 조석 간만의 차라고 합니다
이런 차이는 언제나 일정하지 않습니다
수위의 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때를 사리라고 하고
수위의 차이가 가장 조금 나는 때를 조금이라고 합니다
그믐달과 보름달에 사리가 나타나고
하현달과 상현달에 조금이 나타납니다
사리와 조금은 바닷가 근처에 사는 사람이나 바다에 나가야 하는 사람들에게는
아주 중요한 정보였습니다
언제 어떤 달이 뜨냐에 따라서 그들의 생활이 결정되었죠
사리와 조금은 약 7일 간격으로 바뀌는데
일주일을 7일로 한다면 달을 보고 계산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들의 생활이 편리해집니다
그리고 눈으로 보이는 행성이 7개 였다는 점
종교의 예배일 때문에 일주일은 7일이 되었습니다
이슬람의 예배일은 금요일이었고
유대교의 예배일은 토요일
기독교의 예배일은 일요일이었습니다
이들은 매주 같은 날짜에 예배를 했기 때문에
편의를 위해 일주일은 7일이 된 것이죠
가장 멀리 있는 행성이 토성이기 때문에 토일월화수목금이라는 요일이 만들어졌지만
기독교의 경우 일요일에 예배를 드리기 때문에
기독교의 영향으로 일주일의 시작은 일요일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달력을 보면 일요일부터 시작해 토요일로 끝나는 것처럼 되어있죠
하지만 국제표준화기구(ISO)와 대한민국은 한주의 시작을
월요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토요일과 일요일은 말 그대로 주말로 규정하고 있죠
다만 미국같은 나라는 한주의 시작을 일요일로 하고 있습니다
모든 나라가 한주의 시작이 월요일인 것은 아닙니다
우리나라는 한주의 시작이 월요일이지만
과거부터 사용했던 달력이기 때문에 바꾸게 되면 혼란이 올 수 있어
그냥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은근한 잡다한 지식 > 생활 잡다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곰팡이가 핀 음식 떼어내고 먹어도 괜찮을까? (0) | 2019.09.26 |
---|---|
쌍란이 부화하면 쌍둥이 병아리가 태어날까? (0) | 2019.08.25 |
오줌은 왜 똥보다 참기 힘들까 (0) | 2019.08.11 |
콩코드의 오류와 매몰비용의 오류 (0) | 2019.08.02 |
여름에는 왜 태풍이 생기는 걸까 (0) | 2019.07.29 |
서점에 가면 왜 화장실에 가고 싶어질까 (0) | 2019.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