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글을 만든 사람은 세종일까 집현전 학자들일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한글은 정말 세종대왕 혼자 만들었을까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자 한글
한글은 누가 만든 것으로 알고 계시나요

2018년에 이루어진 설문조사에 따르면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55.1%
세종은 지시만 하고 학자들이 만들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24.4%
세종 혼자 만들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17%였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세종 혼자?
집현전 학자들이?
아니면 같이?

설문에도 나타난 것처럼 꽤 많은 사람들이
한글은 세종과 집현전 학자들이 같이 만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일부의 교과서에도 그런 식으로 나와있어
같이 만든 것으로 가르치고 있기도 하죠

하지만 한글은 세종대왕 혼자 만든 것이라고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kdVTaegeM4


조선 초기 사용되던 문자는 한자였습니다

조선 이전부터 사용된 문자였지만 배우는 것이 어려워
일반 백성은 말하고자 하는 것이 있어도
문자를 몰라 결국 그것을 말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죠

그래서 세종은 모든 백성이 쉽게 배우고 쓸 수 있는 문자를 만드는데
이것이 바로 한글입니다

 


1443년 12월 30일 세종실록을 보면 한글에 대한 내용이 최초로 등장합니다

언문이라고 하는 것이 바로 한글인데
백성들이 일상적으로 쓰는 글이라고 해서 언문이라고 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고 해서 훈민정음이라고 부르기도 했습니다

일부는 언문이 한글을 낮춰 부르는 말이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세종 역시 한글을 언문이라고 부르기도 한 걸 보면
꼭 그런 뜻은 아닌 것 같습니다


한글을 만들기로 결정한 일
한글이 만들어지고 있는 과정이 전혀 기록되지 않고
만들어진 뒤의 기록이 첫 번째인 것을 보면
신하들은 한글이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을 전혀 몰랐다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집현전은 학문을 연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입니다
만약 세종이 한글을 함께 만들기로 결정했다면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했을 것입니다

 


그런데 당시 집현전 학자들은 세종이 한글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크게 당황했으며 반대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정 3품의 집현전 부제학이었던 최만리는
상의도 없이 문자를 만든 것에 대해 비판했으며
한글을 야비하고 상스러운 무익한 글자라고 말했습니다


당시 조선은 명나라의 눈치를 보며 조공을 바치던 나라였는데
이렇게 큰 국가적 사업을 명나라의 허락도 없이 했다는 것 때문에
혹시라도 관계가 틀어질까 걱정하기도 했습니다

정 4품의 집현전 직전 김문 역시 한글에 대해 계속 반대했는데
세종은 이런 김문에게 곤장 100대를 명하기도 했습니다

한글을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만들었다면
이들이 반대하거나 처벌하는 일은 없었을 것입니다



한글, 즉 훈민정음이라는 문자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그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 훈민정음 해례본입니다

그리고 훈민정음 해례본을 한글로 풀이한 것이 훈민정음 언해본입니다

해례본과 언해본에는 세종이 한글을 만든 이유에 대해 쓰여있는데
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로 시작하는 유명한 문장이 바로 그것입니다


중간에 보면 내 이랄 윙하야 어엿비 너겨 새로 스믈 여듧 짜랄 맹가노니
라고 나와있습니다

여기서 나오는 '내'가 세종을 말하는 것으로
세종이 혼자 한글을 만들었다는 것을 증명하는 문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종이 아끼던 문관 신숙주는 1441년부터 집현전에서 일했는데
일부의 사람들은 신숙주가 세종과 함께 한글을 만들었다고 말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그가 쓴 책인 보한재집을 보면
세종이 언문 28자를 만들었다 라고 쓰여있습니다

이런 기록을 종합해 보면
한글은 세종이 혼자 만든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새로운 문자를 만든 것은 세종이지만
이것을 해석하고 설명하는 책을 만든 건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했습니다

그런데 이때 세종이 아주 깐깐하게 관여했다고 합니다
한자의 표준음을 정해 훈민정음으로 설명한 책인 동국정운을 보면
한자음에 대한 근거를 모두 세종이 정했다고 나옵니다

그리고 중국의 한자 사전인 운회를 훈민정음으로 번역하는 일에는
그의 아들인 동궁(문종), 진양대군(세조), 안평대군이 참여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만약 세종이 왕이 되지 못했더라면
최고의 언어학자가 되었을 것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만큼 세종이 언어학에 뛰어난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는 뜻이죠

집현전의 학자들조차 세종에게 비빌 수 있는 수준이 아니었다고 합니다
이런 재능과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이 만나
위대한 문자인 한글이 만들어진 것이죠

대왕이라는 수식어가 가장 잘 어울리는 왕인 것 같습니다


추가로 10월 9일 한글날은 한글이 만들어진 것을 기념하는 날이 아니라
훈민정음 해례본이 만들어진 것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한글은 언제 만들어졌는지 정확한 기록이 없기 때문에
해례본이 만들어진 날로 정한 것이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은 매운맛도 느끼지 못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무통각증인 사람은 매운맛을 못느낄까

라면, 떡볶이, 불족발, 닭발

이름만 들어도 침이 고이고 눈물, 콧물이 나오나요?
매운맛을 느낄 수 있는 대표적인 음식입니다

매운맛은 맛이라고 표현하긴 하지만
맛이 아니라 통증이라는 것을 다들 아실 것입니다

그렇다면 통증을 느낄 수 없는 사람은
매운맛도 느낄 수 없을까요?



우리의 몸이 손상되는 것 같은 불쾌한 감각
이것을 통증이라고 합니다

쉽게 말해 아픈 것이라고 할 수 있죠

무언가 자극이 발생하면 신경세포가 자극을 느끼고
자극을 전기신호로 바꿔 뇌로 전달하면 통증이 느껴집니다

즉 통증은 뇌가 신호를 받아야 느낄 수 있는 것입니다

 


내가 아파도 결국 뇌가 신호를 받지 못하면
아프다는 것을 느끼지 못합니다

실제로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병을 가진 사람이 있는데
이런 병을 무통각증이라고 부릅니다


우리 몸에 있는 NTRK1이라는 유전자는
단백질 수용체와 신경세포를 생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지만
변이를 일으키면 신경세포가 생성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됩니다

신경세포가 생성되지 않으면
자극이 발생해도 신호를 뇌로 전달하지 못하니
아무리 아파도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매운맛은 통각이라고 말하곤 하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는 통증과 다릅니다

매운 음식을 먹었을 때 느껴지는 고통과
맞았을 때 느껴지는 고통이 다른 것처럼 말이죠

정확히 말하면 매운맛은 온도 변화에 의한 통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매운맛은 온점에 반응하는 뜨거운 매운맛과
냉점에 반응하는 차가운 매운맛 두 가지가 있습니다


NTRK1 유전자가 변이를 일으키면 통증을 못 느낄 뿐만 아니라
온점, 냉점 같은 온도 감각에도 영향을 줘
온도를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더운 것, 추운 것을 느끼지 못하게 되죠

 


결국 매운맛은 온점, 냉점에 반응하는 것인데
무통각증이 있는 사람은 온점, 냉점이 반응하지 않으니
매운 음식을 먹어도 매운맛을 느낄 수 없습니다

영국의 조 카메론이라는 사람은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무통각증이 있는 사람입니다

매운맛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매운 음식을 아무렇지 않게 먹는 것은 물론
통증 자체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팔이 부러졌을 때도 손이 익어갈 때도
전혀 아프지 않았다고 합니다

게다가 출산을 할 때 출산의 고통도 전혀 없었다고 합니다


통증을 느끼지 못한다는 건 엄청난 위험을 안고 사는 것과 같습니다

아픈 것을 모르기 때문에 항상 멍들어 있는 것은 기본
피부가 찢어지거나 뼈가 부러져도
자신이 다쳤다는 것을 인지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합니다

또 NTRK1 유전자 변이는 땀샘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무통각증이 있는 사람은 땀이 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무통각증을 무한증을 동반한 선천성 통증 무감각증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땀은 체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아플 때 몸에 열이 나면 체온 조절을 위해 땀이 나와야 하는데
이들은 땀이 나지 않기 때문에 체온 조절이 이루어지지 않아
조금만 아파도 굉장히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무통각증이 있는 사람은
3살 이전에 사망하는 경우가 굉장히 많고
성인이 되어도 조금만 잘못하면 사망할 수 있다는 것을
항상 염두에 두고 있어야 합니다


무통각증은 유전이기 때문에
부모가 있는 경우 자식도 가지게 될 가능성이 아주 높고
아직까지 치료법이 발견되지 않았다고 합니다

무통각증은 통증을 못 느끼는 것인지 맛을 못 느끼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매운 음식이라 하더라도 재료 본연의 맛은 느낄 수 있으며
매운맛을 제외한 다른 맛도 느낄 수 있습니다

 


때로는 이들이 아플 때 아무렇지 않아 하기 때문에
감정이 없다고 생각하기도 하는데
통증이 없어서 아픈 것을 모르는 것뿐이지
기쁨, 슬픔 같은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태극기는 더러워져도 세탁하면 안된다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태극기 세탁 금지 괴담의 진실

개천절이나 한글날 같은 국가적 기념일에는
문 앞이나 베란다 창문에 태극기를 다는 경우가 있습니다

옷을 입다 보면 더러워지는 것처럼
자주 사용하진 않지만 태극기 역시
이런 식으로 사용하다 보면 더러워지겠죠

옷이 더러워지면 세탁기로 빨면 되는데
태극기는 더러워지면 빨면 안 되고
태워버려야 한다고 말하곤 합니다

도대체 왜 태극기를 빨면 안 되는 것일까요

 

태극기는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국기로
한국을 알리거나 국제적인 행사가 있을 때 사용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소중하게 다뤄야 하죠

이것은 법에도 나와있는데 국기법 제10조 제1항을 보면
태극기가 훼손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고 쓰여있습니다

 


만약 훼손되거나 더러워질 경우 태극기를 처리해야 하는데
사실 국가의 상징인 물건이 쓰레기통에 버려진다는 것이
그렇게 좋은 모습은 아닙니다

그래서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법에 나와있는데
국기법 제10조 제3항을 보면
훼손된 국기는 태워버리라고 나와있습니다

만약 태울 수 없는 경우 동네에 있는 민원실, 주민센터 같은 곳에
국기수거함이 의무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곳에 버리면 됩니다


살짝만 더러워져 빨면 깨끗하게 될 것 같을 땐
그냥 빨래를 하면 됩니다

태극기를 빨면 안 된다는 법은 없기 때문에
이것에 대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게다가 태극기 세탁은 행정안전부에서도 권장하고 있는 사항입니다



그렇다면 왜 태극기는 빨면 안 되고 태워야 한다는 말이 나온 걸까요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는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시도했습니다

1968년에는 국민교육헌장을 발표했는데
우리나라 교육은 이념, 목적, 철학, 방향이 없으니
이것을 정해준다는 이유였습니다


국민교육헌장은 초장, 중장, 종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초장은 우리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
중장은 우리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종장은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쓰여있습니다

전체적인 내용은 국가의 발전을 위해
개인은 노력해야 할 의무가 있다는 것이었죠

국민교육헌장의 가장 큰 문제점은
모든 국민에게 이것을 강요했다는 점입니다

 


특히 학생, 경찰, 군인, 공무원들에겐
헌장 전문을 암기하도록 강요했으며
외우지 못한 사람은 체벌하기도 했습니다

매년 12월 5일이 되면 암송대회를 열기도 하고
각종 자료를 만들어 국민들에게 세뇌시켰습니다

이것이 얼마나 심했는지 당시 학생이었던 사람들 중 일부는
50년이 지난 지금도 국민교육헌장을 외우고 있다고 합니다



이와 함께 1972년에는 국기에 대한 맹세문을 만들어
전국적으로 퍼트리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어떤 행사가 있을 경우
입학식, 졸업식처럼 국가적인 행사가 아니더라도
국민의례를 실시해 국기에 대한 맹세를 낭독하도록 했는데

맹세문 자체가 국가 발전을 위해 개인의 충성을 요구하는 내용이었습니다
국민교육헌장의 확장판 같은 느낌이었죠

물론 이것은 시대상에 맞지 않다는 이유로 현재는 수정되었습니다

 


이렇게 개인보다 국가를, 애국심을 강조하다 보니
국가를 상징하는 태극기가 신성시되었고
함부로 다루면 안 되는 것처럼 여겨졌습니다

우리나라에 세탁기가 보급되기 시작한 것은
1969년부터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당시에는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손빨래를 했습니다


그런데 성스러운 태극기를 손으로 주물주물
방망이로 두들긴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기 때문에
그 당시 사람들은 빨면 안 된다는 법이 없었음에도
태극기가 더러워지면 빨지 않고 태워버렸던 것입니다

시대가 많이 바뀌어 태극기에 대한 인식이 그때와 같지 않지만
이런 말과 행동이 전해져 내려와
태극기를 세탁하면 안 된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