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무혐의는 무죄가 아니라고? 무혐의와 무죄의 차이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무혐의는 무죄가 아니다??

재판 끝에 무죄 판결을 받아
조사 끝에 무혐의 처분을 받아
라는 내용의 뉴스를 본 적 있을 것입니다

무죄라고 하면 죄가 없다는 것이 증명된 것이고
무혐의라고 하면 증거가 없어
더 이상 수사를 진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하곤 합니다

그래서 무혐의 처분이라고 하면 무죄보다 더 확실하지 않은 느낌
뭔가 석연치 않은 느낌이 들기도 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무혐의는 무죄가 아니다 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무죄와 무혐의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평범한 생활을 하고 있는 우리는 일반 시민입니다

그러다 경찰이나 검찰 같은 수사기관으로부터
범죄 행위를 한 것으로 의심받으면
이때부턴 피의자가 됩니다

이후 검사가 법원에 유죄판결을 요구하는 공소제기를 할 경우
피의자는 피고인이 됩니다


피고인이 되면 법원에서 재판을 받게 되는데
죄가 인정돼 유죄 판결을 받으면 범죄자가
죄가 인정되지 않아 무죄 판결을 받으면 다시 일반 시민이 됩니다

즉 무죄는 피고인이 죄가 없다는 것을
법원이 판단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무혐의는 피고인이 아니라 피의자 신분에서 내려지는 것입니다

검사가 피의자를 조사해 본 결과
범죄 사실이 인정돼 유죄 판결이 내려질 것 같을 때 공소 제기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공소를 제기하지 않기로 하는 결정을 하는데
이것을 불기소처분이라고 하죠

무혐의는 불기소처분 중 하나로
피의자를 조사해 본 결과 범죄 사실이 인정되지 않을 때 내려지거나
범죄 사실을 인정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없을 때 내려집니다

 


재판에서 피고인의 범죄를 입증하는 것이 검사의 역할입니다
이때 증거를 이용해 범죄를 입증해야 하는데
확실한 증거가 없다면 무죄 판결이 내려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검사가 미리 판단해 증거가 없다고 생각되면
굳이 재판까지 가지 않고 무혐의 처분을 내려 사건을 종결시키는 것입니다

즉 무혐의는 피의자가 죄가 없다는 것을
검사가 판단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법원이 판결하는 무죄는 일사부재리원칙이 적용되어
다시 심리, 재판할 수 없지만
검사가 판단하는 무혐의는 이후에 확실한 증거가 나온다면
다시 수사해 공소 제기를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우주에 있는 행성은 왜 다 둥근 모양일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행성은 왜 다 둥근 모양일까

https://youtu.be/YBgtZs3o6Io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태양계를 이루고 있는 행성들입니다

이들은 다른 이름,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어떻게 된 것인지 모양은 모두 둥근 모양으로 똑같습니다

마치 누군가 행성은 둥근 모양으로 해야지 라고 정한 것처럼 말이죠


질량을 가지고 있는 모든 물질은
서로 끌어당기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것을 중력이라고 하죠

중력은 질량이 클수록 커지기 때문에
질량이 작은 물질은 질량이 큰 물질 쪽으로 당겨지게 됩니다



행성은 어느 날 갑자기 뿅 하고 나타난 것이 아니라
우주에 떠다니던 물질이 중력에 의해 서로 부딪히고 합쳐져
서서히 만들어진 것입니다

만약 위, 아래로 가는 대각선 방향의 중력이 강하고
다른 방향의 중력이 약하다면
물질이 점점 합쳐지면서 세모 모양으로 변하게 될 것입니다

 


상하좌우 방향의 중력이 강하고
다른 방향의 중력이 약하다면
물질은 네모 모양으로 변하게 되겠죠

하지만 중력은 거리가 같다면 방향에 관계없이
언제나 같은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물질이 점점 합쳐지면서 둥근 모양이 되는 것입니다




높은 곳에 있는 물체는 중력에 의해 낮은 곳으로 떨어집니다
즉 중심에서 먼 곳에 있는 물체는
중심에서 가까운 곳으로 옮겨진다고 할 수 있죠

이런 식으로 중심에서 가까운 곳이 채워지다 보면
표면의 높이가 어느 정도 같아지게 됩니다

 


중력은 공기나 물 같은 것도 끌어당깁니다
그래서 이들이 누르는 힘인 압력이 발생하게 되죠

우리가 평소 느끼는 압력은 1기압, 1atm으로
이것은 약 1kg의 힘으로 누르는 정도입니다

중력은 중심부로 갈수록 강해지기 때문에
압력도 중심부로 갈수록 강해집니다


세계에서 가장 깊은 해구로 알려져 있는 마리아나 해구의 경우
수심이 11km 정도 되는데
여기서 느끼는 압력은 1100atm
이것은 약 1t의 힘으로 누르는 정도입니다

지구 중심부로 가면 이 힘은 더 강해지겠죠



그렇기 때문에 행성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불규칙한 모양의 물질이 합쳐진다 하더라도
이런 압력에 의해 부서지고 변형돼 평평한 모양으로 바뀌게 됩니다

즉 행성은 중력과 압력 때문에 둥근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우리가 눈을 뭉칠 때 어떤 곳이든 동일한 힘을 준다면
둥근 모양이 되는 것과 비슷한 원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일부 소행성의 경우 둥근 모양이 아니라
불규칙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소행성의 질량이 너무 작아
중력과 압력에 의해 모양이 바뀌지 않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질량은 59해 7220경 t 정도
특이한 모양을 가지고 있는 소행성 아이다의 질량은 42조 t 정도로
지구 질량의 0.000000007% 밖에 안되기 때문에
모양을 바꿀 수 있는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지 않아
둥근 모양이 아닌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손톱에 반달이 없으면 건강하지 않은 거라고? 하얀 반점은 왜 생기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반달이 없으면 건강하지 않은 거라고?

 

https://youtu.be/Xhum6Ppcqk0

손가락 끝에 위치하고 있어
손가락을 보호하고 무언가를 잡을 때 도움을 주는 손톱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평생 동안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손톱 아래에는 손톱바탕질이라는 진피조직이 있는데
이곳에서 손톱과 관련된 세포를 조근이라고 불리는 손톱뿌리로 보내고
손톱뿌리에서 죽은 세포를 계속 밖으로 밀어내면서 자라게 됩니다

 


하루에 0.12mm 정도 자란다고 하며
밤보다 낮에, 겨울보다 여름에 더 잘 자라고
자극을 많이 받는 손가락의 손톱이 더 빠르게 자랍니다

손톱은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케라틴은 다른 단백질에 비해 단단하기 때문에
손톱 역시 단단한 것입니다

손톱 끝에 하얀 반달 모양의 부위가 있는 사람이 있는데
이곳을 조반월이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조반월이 없으면 건강하지 않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곳을 보이게 하려고
손톱 경계면에 있는 피부인 큐티클을 제거하기도 하죠

하지만 조반월은 손톱뿌리중 일부로
손톱이 만들어지는 곳, 손톱이 시작되는 곳일 뿐
건강과는 특별한 관계가 없다고 합니다

 


큐티클은 손톱과 피부 사이에 발생하는 공간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인데
건강을 위해 조반월을 보이게 하겠다고 큐티클을 제거하면
오히려 세균이 들어와 감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손톱 아래는 혈관이 있어 피가 흐르고 있기 때문에 분홍색으로 보이지만
조반월은 케라틴이 더 많이 있기 때문에
다른 손톱에 비해 두꺼워 하얀색으로 보입니다



가끔은 어디에 부딪힌 것도 아닌데
손톱에 하얀 반점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리 몸속에 필요한 필수 영양소 중 하나인 아연은
성장, 면역 기능, 생식 기능 같은 것에 영향을 주며

세포 분열이나 단백질을 합성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손톱이 잘 자라기 위해선 세포가 꾸준히 만들어지고
단백질 합성이 잘 되어야 하는데
아연이 부족할 경우 이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하얀 반점이 생기거나 하얀 가로줄이 생기게 됩니다

이것이 심하면 손톱이 갈라지거나 부서지기도 하는데
이럴 땐 아연이 많이 있는 굴이나 소고기, 오징어 같은 것들을 먹으면
손톱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손톱에 세로줄이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수분 부족, 영양분 부족, 피로, 노화가 원인이라고 합니다

손톱 색깔이 다르게 변하는 경우도 있는데
광택이 없고 하얗게 변했다면 빈혈의 가능성이
지나치게 붉은색이라면 고혈압의 가능성이
노란색이라면 당뇨나 호흡기 질환의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이처럼 손톱과 건강은 조반월이 있냐 없냐보다
상태가 어떻느냐로 알아볼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