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조커가 걸린 병 병리적 웃음 유발에 대해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조커는 왜 웃음을 참지 못할까

감정을 표현해 공감을 한다는 것은

쉬우면서도 어려운 일입니다

 

특히나 요즘처럼 대화를 말보다 메신저로 하는 시대라면 더더욱 그렇죠

 

메신저에서는 이모티콘을 보내거나 ㅋㅋㅋ, ㅎㅎㅎ를 사용하면

웃기지 않은 상황이라도 내가 웃으면서 공감을 하고 있다라고 표현할 수 있지만

 

실제로 대화를 하는 상황이라면

웃긴 이야기를 들어도 사람에 따라 웃는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웃지 못해 공감을 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때로는 감정을 숨기거나 거짓으로 표현해야 하는 경우도 있죠

 

 

감정을 표현하는 것만큼 감정을 숨기는 것 역시 어렵습니다

그래도 화를 참는 건 비교적 쉽지만

웃음이나 울음을 참는 것은 정말 쉽지 않습니다

 

웃음의 경우 웃으면 안되는 상황이나

웃으면 안되는 장소에서 갑작스레 터져버리면

그런 상황 때문에 더 참기 힘들어집니다

 

최근에 개봉한 영화인 조커에서는

본인이 가지고 있는 병 때문에 웃음을 참지 못해

곤란한 상황이 생기는 장면이 있습니다

 

도대체 어떤 병에 걸린 것이길래

웃음을 참지 못하는 것일까요?

 

우리가 왜 웃는지에 대한 정확한 연구는 아직 없습니다

단지 예상과 다른 상황이 발생했을 때 웃음이 터지는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죠

 

친구와 길을 걷고 있다면

아무런 상황이 발생하지 않고 길을 잘 걸을 것이라는 예상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만약 친구에게 물폭탄이 떨어진다면

내 예상과 다른 상황이 펼쳐졌기 때문에 웃음이 터져 나오게 됩니다

 

독일의 철학자 칸트는 긴장스러운 예상이 갑작스레 무(無)로 돌아갈 때 웃음이 터진다 라고 말했습니다

 

즉 웃음이란 기쁜 상황에 나올 수 있지만

슬프거나 화가나는 상황에도 나올 수 있다는 것이죠

 

어떤 대회에서 우승을 한다면

경쟁자와 계속 경쟁할 것이라는 나의 예상과 달리 내가 이겨버렸으니

예상과 다른 상황이 펼쳐지기도 하고

승리했다는 기쁨때문에 웃음이 나옵니다

 

반대로 준우승을 한다면

경쟁자와 계속 경쟁할 것이라고 생각했고 우승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내가 지게 되면서

예상과 다른 상황이 펼쳐져

패배했다는 슬픈 상황이지만 헛웃음이 나올 수 있죠

 

웃음을 담당하는 곳은 대뇌의 전두엽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전두엽을 자극했더니 웃음이 나왔다는 유명한 실험이 있죠

 

우리가 생활을 하다가 어떤 조건이 만족되면

즉 웃긴 상황이 펼쳐지면

전두엽은 운동 뉴런에게 웃으라고 신호를 보냅니다

 

그리고 운동 뉴런은 근육을 움직여

우리가 웃을 수 있게 만들어줍니다

 

그런데 전두엽에 이상이 생기거나

신경 회로에 문제가 생기면

자신의 의지와 상관 없이 웃게 됩니다

 

이것을 가성 감정표현 혹은 병리적 웃음 유발이라고 합니다

조커가 걸린 병이 바로 이것이죠

 

영화속에서 조커는 웃을 상황이 아닌데도 웃게 되고

이것 때문에 사람들이 오해를 해

꽤나 곤란한 상황이 펼쳐지기도 합니다

 

병리적 웃음 유발은 웃음 뿐만 아니라 울음도 터져나오는 병인데

뇌졸중, 알츠하이머, 파킨슨 병, ADHD처럼 뇌를 다쳤을 때 발생합니다

 

언제 터져나올지 알 수 없으며

언제 멈출지 역시 알 수 없기 때문에

하루하루를 고통속에서 살아가야 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우울증이 오기도 하며

감정을 담당하는 전두엽에 이상이 생긴 것이기 때문에

감정을 잘 조절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화를 참지 못하고 폭력적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병리적 웃음 유발은 SSRI라고 불리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이용해 치료를 합니다

 

세로토닌은 신경전달물질중 하나로

많이 분비되면 행복감을 느끼게 되고

적게 분비되면 불안함을 느끼게 됩니다

 

원래 세로토닌은 분비된 뒤 시간이 지나면 흡수돼 사라져야 하지만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를 먹을 경우 세로토닌이 흡수되지 않고 남아있게 됩니다

 

그래서 좀 더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되죠

 

병리적 웃음 유발처럼 뇌를 다치거나 정신 질환이 있는 경우

겉으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오해를 줄이기 위해 자신의 병을 알리는 카드를 가지고 다니기도 합니다

 

영화속 조커도 실제로 자신의 병을 알리는 카드를 가지고 다녔습니다

 

혹시 여러분들이 이런 병에 걸린 사람들을 만나 카드를 받는다면

오해하지 말고 이해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가로등 불은 누가 켜고 끄는 걸까(가로등의 작동 원리)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가로등은 누가 켜고 끄는 걸까

낮과 밤중에 어떤 시간을 좋아하시나요?

저는 개인적으로 낮을 좋아하지만

계절에 따라서 태양 때문에 낮에 덥거나

밤에만 볼 수 있는 야경 때문에 밤을 더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습니다

 

요즘에는 밤에도 낮처럼 밝기 때문에

활동을 하는데 큰 무리가 없지만

과거에는 밤에는 빛이 없었기 때문에 활동을 할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안전을 목적으로

야간에 통행을 금지하는 제도가 있기도 했죠

 

우리나라의 야간 통행금지는 1982년에 해제 되었습니다

 

지금은 건물에서 흘러 나오는 밝은 빛

가게 간판들에서 나오는 빛

그리고 거리에 설치 되어 있는 가로등 덕분에

밤에도 활동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생각해보면 참 신기한게

살면서 가로등을 켜고 끄는 사람을 보지 못했는데

밤이 되면 가로등이 켜지고

낮이 되면 가로등은 꺼집니다

 

마치 스스로 낮과 밤을 알고 있는 것처럼 말이죠

 

가로등은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 것일까요?

 

우리나라에 가로등이 들어온 것은 1897년으로

지금처럼 전기 가로등이 아니라

석유를 사용하는 석유 가로등이었습니다

 

석유는 사람이 직접 채워야 했기 때문에

이때는 가로등지기라는 직업이 있었는데

이 사람이 가로등에 석유를 채우고 가로등을 작동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합니다

 

이후에 전기 가로등이 등장하면서

가로등에 일출시간과 일몰시간을 입력해 놓는 타이머 방식이나

 

가로등 통제소가 무선으로 원격 조작하는 방식으로 발전되면서

가로등지기는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타이머 방식은 계절마다 시간을 바꿔줘야 했습니다

게절에 따라서 해가 지는 시간, 해가 뜨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이죠

 

그리고 원격 조작의 경우 가로등이 너무 먼거리에 있으면

작동이 잘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날씨가 갑자기 흐려지거나 안개가 껴

밤이 아닌데도 가로등을 켜야하는 경우

빠르게 대처하지 못했습니다

 

이후에 가로등은 센서를 이용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방식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이런 방법은 황과 카드뮴의 화합물인

황화카드뮴 셀이라는 광전도 소자를 이용한 것입니다

 

광전도 소자는 빛이 들어오는 양에 따라 저항값이 달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류가 잘 흐르는 물체를 도체라고 하고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하는 물체를 부도체라고 합니다

 

전류는 전압/저항 이라는 것이 옴의 법칙입니다

이것은 전류의 세기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에 반비례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기 가로등은 언제나 일정한 양의 전압이 들어옵니다

 

낮이 되면 가로등은 햇빛을 많이 받게 되고

가로등에 있는 황화카드뮴 셀에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전류와 저항 값은 반비례 하기 때문에

전류가 많이 흐르면 저항은 작아지게 됩니다

 

그럼 황화카드뮴 셀은 도체가 되죠

 

반대로 밤이 되면 빛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황화카드뮴 셀에 전류가 줄어들게 됩니다

그럼 저항값이 높아지고

 

황화카드뮴 셀은 부도체가 됩니다

 

단순하게 생각하면 도체가 됐을 때 전류가 잘 흐르니까

낮에 가로등이 켜져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할 수 있겠지만

황화카드뮴 셀은 가로등을 켜는 직접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가로등을 켜는 스위치를 작동시키게 됩니다

 

낮이 되어 전류가 많이 흘러 도체가 되면

스위치를 작동시켜 가로등을 끄게 만들고

 

밤이 되어 전류가 줄어들어 부도체가 되면

스위치 작동을 멈춰 가로등을 켜게 만드는 것이죠

 

이렇게 황화카드뮴 셀을 이용하면

낮인데도 어두워 가로등을 켜야하는 경우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가로등이 켜지게 됩니다

 

그리고 지금의 가로등은 GPS를 이용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있다고 합니다

 

과거에 사용하던 타이머 방식과는 달리

지금의 가로등에는 1년치 일출, 일몰시간이 들어 있습니다

그래서 계절이 지나도 사람이 직접 타이머를 바꿔주지 않아도 됩니다

 

게다가 인공위성의 신호를 받는 GPS를 이용해

가로등을 작동시키는데

이런 방법을 사용하면 먼거리에 있는 가로등도 작동시킬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습니다

 

만약 공사를 하는 지역이라 통행이 통제 되어 있는 곳이 있다면

밤인데도 가로등이 켜진다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하게 됩니다

 

사람이 다니지 않는 곳은 가로등을 꺼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전자제품도 점점 스마트하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사물에 인터넷을 넣기도 하고 인공지능을 이용해 사용자가 무엇이 필요한지

스스로 알 수 있게 바뀌고 있죠

 

이런 기술 발전 덕분에 가로등 역시 점점 발전하고 점점 스마트하게 변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성별은 어떻게 결정될까 그리고 간성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성별 결정 그리고 간성(인터섹스)

인간의 성별은 딱 두개밖에 없지만

그 비밀은 아직도 풀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있습니다

 

뭐든 다 똑같지만 성별 역시 우리가 선택해서 태어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어떤 성별로 태어나느냐에 따라서

완전 다른 인생을 살아가기도 하죠

 

동생이 있는 사람은 누나, 오빠, 형, 언니를 부러워하는 것처럼

남성인 사람은 여성을

여성인 사람은 남성을

부러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람의 염색체는 총 46개로

22쌍의(44개) 상 염색체와

한쌍의(2개) 성 염색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런 염색체는 태아 상태일 때 결정되기 때문에

우리의 성별은 엄마 뱃속에 있을 때부터 이미 결정돼 태어나게 됩니다

 

여러 염색체 중 성 염색체가 우리의 성별을 결정짓게 되는데

염색체가 XY라면 남자로 태어나게 되고

염색체가 XX라면 여자로 태어나게 됩니다

 

Y 염색체는 도대체 어떤 역할을 하기에

Y가 있으면 남자가 되는 것일까요?

 

엄마와 아빠가 성관계를 해

엄마의 난자와 아빠의 정자가 만나면 수정란이 만들어지고

임신이 시작됩니다

 

난자는 X 염색체를 가지고 있고

정자는 X 염색체 혹은 Y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X 염색체를 가진 정자가 난자와 만나면 XX가 만들어져 여자로 태어나게 되고

Y 염섹체를 가진 정자가 난자와 만나면 XY가 만들어져 남자로 태어나게 됩니다

 

즉 성별은 아빠에 의해서 결정지어지는 것이죠

 

남자와 여자의 가장 큰 차이점은 생식기에 있습니다

남자는 고환을 가지고 있고 여자는 난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남자의 고환에서 나오는 안드로겐(남성호르몬)은 근육을 발달시키고 골격을 발달시킵니다

 

난소에서는 에스트로겐(여성호르몬)이 나오는데

가슴을 발달시키고

임신을 가능하게 만들어줍니다

 

처음 태가 만들어질 때는 아빠에게 X 염색체를 받든 Y 염색체를 받든

모두 같은 모양의 생식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게다가 남자의 생식기로 발달되는 볼프관과

여자의 생식기로 발달되는 뮐러관을 모두 가지고 있죠

 

그래서 임신 초기에는 태아를 보더라도 남자인지 여자인지 알 수 없습니다

 

이후에 임신 8주~10주정도가 되면 생식기의 모양이 변하기 시작합닏

이때 영향을 주는 것이 Y 염색체입니다

 

Y 염색체 위쪽에는 SRY라고 불리는 유전자가 있습니다

SRY 유전자는 SOX9 유전자를 활성화 시키는데

SOX9 유전자가 활성화되면 고환이 발달됩니다

 

아빠에게 Y 염색체를 받았다면

SRY 유전자와 SOX9 유전자에 의해 뮐러관이 퇴화하고 볼프관이 발달하면서

고환, 정낭, 귀두같은 것들이 만들어지고

남성의 생식기 모양으로 바뀌게 됩니다

 

X 염색체에는 DAX1 이라는 유전자가 있는데

이 유전자가 두개 있다면 난소가 만들어집니다

 

아빠에게 X 염색체를 받으면 DAX1 유전자가 두개 있는 것이기 때문에 난소가 만들어지고

SOX9 유전자가 활성화되지 않으니 볼프관이 퇴화하고 뮐러관이 발달합니다

 

난소, 나팔관, 자궁같은 것들이 만들어지면서

여성의 생식기 모양으로 바뀌게 됩니다

 

성별을 결정짓는 것은 Y 염색체 그 자체가 아니라

Y 염색체에 있는 SRY 유전자인 것이죠

 

하지만 이런 성별 결정 방법에도 언제나 변수는 존재합니다

아빠에게 Y 염색체를 받았지만 Y 염색체에 SRY 유전자가 없다면

XY 염색체임에도 고환이 만들어지지 않고

여성의 생식기를 가진채로 태어나게 됩니다

 

그리고 아빠에게 X 염색체를 받아 XX 염색체가 됐음에도

알수 없는 이유 때문에 SOX9 유전자가 활성화 되면

고환이 만들어지면서 남성의 생식기가 만들어진채로 태어나게 됩니다

 

이런 경우를 인터섹스 한국말로는 간성이라고 합니다

 

간성은 0.05%의 확률

2000명중 한명꼴로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세계 여러나라는 물론 우리나라에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앞에서 DAX1 유전자가 두개 있으면 난소가 만들어진다고 했는데

XX 염색체를 가진 간성의 경우

X 염색체가 두개 있어서 DAX1 유전자가 두개가 되고 여성의 생식기도 같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이후에 자신의 진짜 성별을 알아챈 뒤

남성의 생식기를 제거하는 성보완 수술을 받기도 합니다

 

이것은 자신의 잃어버린 성을 되찾는 것일 뿐

트랜스젠더와 다른 개념으로 받아들어야 합니다

 

이처럼 성별은 단순히 아빠에게 어떤 염색체를 받느냐가 아니라

SRY 유전자가 있냐 없냐

SOX9 유전자가 활성화 되느냐 되지 않느냐

DAX1 유전자가 몇개 있느냐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는

꽤 복잡한 과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유전자에 따라서 XY 염색체를 가졌음에도

여자로 태어나는 경우가 있고

여자이지만 임신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영국과 미국의 국제공동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XY 염색체를 가졌음에도

SOX9 유전자를 비활성화시켜 암컷으로 태어나게 하는 실험에 성공했다고 합니다

 

성에는 많은 비밀이 숨어있는 만큼

이런 연구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보여지며

성 발달 장애나 불임에 대한 해결책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