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술을 못 마시는 사람도 계속 마시다 보면 결국 늘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술을 계속 마시면 늘게 될까

 

술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술을 마시면 얼굴이 빨개지고
머리가 아프고 토할 것 같은 기분이 드는 사람

심한 사람은 한 잔만 마셔도 이런 증상이 오는데
이런 사람을 알쓰라고 부르기도 하죠

 

https://youtu.be/GNMKBpGsc30

 


특히 한국, 중국, 일본 같은 동아시아 사람들에게 주로 나타난다고 해서
아시안 플러시 혹은 아시아 홍조 증후군이라고 부릅니다

우리가 술을 마시면 술에 있는 알코올은
대부분이 간에서 분해됩니다


간에 있는 효소에 의해 알코올이 아세트알데히드로 분해되고
다시 한번 아세트알데히드는 아세트산으로 분해됩니다

그리고 아세트산이 몸 밖으로 배출되면서
술이 소화됩니다



술을 한두 잔 밖에 마시지 않았는데
아시안 플러시 증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바로 아세트알데히드를 아세트산으로 분해하지 못하기 때문

다시 말해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는 ADH1B라는 유전자가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는 효소는 12번 염색체에 있는
ALDH2라는 유전자가 담당하는데

ALDH2에 변이가 일어나 효소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면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술 한두 잔에 얼굴이 빨개지는 아시안 플러시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ALDH2 유전자 변이는 아주 먼 옛날
중국에서 처음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것이 전 세계로 퍼져나가게 되었는데
약 10억 명 정도가 변이 유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30%가 변이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즉 열명 중 세명은 선천적으로 술을 잘 마시지 못하는 사람이라는 것입니다



아시안 플러시가 있는 사람은
술을 마셨을 때 취한다는 느낌이나
기분이 좋아지는 경험을 잘 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술을 마시는 이유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고
술을 멀리하게 되죠


요즘은 이런 문화가 많이 사라지고 있지만
성인이 되고 사회생활을 하다 보면
주변에서 술을 권하기도 하고

술을 잘 마시지 못한다고 하면
마시다 보면 느니까 조금씩 마셔보라는 소리를 듣기도 합니다


앞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술을 잘 마시느냐 마시지 못하느냐는
유전자에 의해 이미 결정되어 있는 사항입니다

마시고 토하고
마시고 토하고
마시고 토한다고 해서 늘거나 하는 그런 문제가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술을 잘 마시지 못했는데
마시다 보니 늘었다 라며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것은 술이 는 것이 아니라 둔감해진 것뿐입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증상이 없을 뿐
속은 여전히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하지 못해
비상사태라는 것입니다

이런 사람의 경우 알코올에 의한 문제가 더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하루 한두 잔의 음주는 오히려 건강에 좋다 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과거에는 이것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가 있기도 했지만
최근에는 건강에 좋은 적정 음주량이라는 건 없다
마시지 않는 것이 가장 좋다 라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사람을 전자레인지에 넣고 돌리면 어떻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전자레인지에 사람이 들어가면?

 

전자레인지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전자레인지는 전자기파 그중에서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음식을 데우는 장치입니다

마이크로파는 파장이 짧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물 분자가 마이크로파와 만나면 파장에 맞춰 물 분자가 회전하게 됩니다

전자레인지에 음식을 넣고 돌리면
전자레인지에서 만들어진 마이크로파가
음식에 있는 물 분자를 회전시킵니다

 

https://youtu.be/A407N4FIHFI

 


이때 물 분자는 회전하면서 주위에 있는 다른 물 분자와 부딪히게 되는데
이러면서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 열로 인해 음식이 데워지게 됩니다

즉 전자레인지는 정확히 말하면 음식 자체를 데우는 것이 아니라
음식에 있는 수분을 데우는 장치인 것입니다


떡이나 빵을 전자레인지에 돌리면 딱딱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떡이나 빵에 있는 수분이 데워지는 과정에서
모두 날아가 버렸기 때문입니다

사람은 70%가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합니다
전자레인지는 수분을 데우는 것이기 때문에
사람 역시 전자레인지에 들어가면
몸속에 있는 수분의 온도가 천천히 올라
그 안에서 익어버려 죽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사람은 전자레인지에 비해 굉장히 크고
가지고 있는 수분의 양도 많기 때문에
몇 초가 아니라 꽤 많은 시간을 돌려야 할 것입니다

만약 65kg의 성인 남자가 있다고 하면
이 사람이 가지고 있는 수분의 양은 45.5L입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1000W 짜리를 기준으로
전자레인지에 들어갔을 때 사람의 온도 상승을 계산해 보면
1초에 0.005도씩 오르게 됩니다

즉 전자레인지에 들어간지 200초가 되면
체온이 1도 올라가게 됩니다



사람의 정상적인 체온은 36~37도입니다
37도 이상이 되면 미열이라고 하고
38도 이상이 되면 발열이라고 하고
40도 이상이 되면 고열이라고 합니다

고열 상태가 되면 몸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42도 이상이 되면 사망하게 될 수 있습니다

전자레인지에 들어가기 전 온도가 36도라고 한다면
40도 이상이 되면 위험해질 수 있으니


전자레인지에 들어간지 800초가 되면 체온이 40도가 되니
이때부터 온몸이 익어버리게 될 것입니다

사람의 장기는 모두 같은 양의 수분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심장이 가장 적은 수분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가장 먼저 익어버릴 것이고
간, 폐, 뇌 순서로 익어버릴 것입니다



물론 우리는 전자레인지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전자레인지에서 죽을 위험은 없지만
이런 일이 전혀 일어나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미국에선 7주밖에 안된 아기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돌린 끔찍한 사건이 있었다고 합니다


아기는 2분 동안 돌려진 것으로 추측되는데
장기가 모두 파열됐고 몸의 60%가 화상을 입은 채로 사망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동물을 넣고 돌려 죽인 죄로
징역을 선고받은 사람도 있습니다

전자레인지는 음식을 데우는 장치입니다
생명체가 아니라 음식만 넣어야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우주에서 방귀를 뀌면 앞으로 나아갈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우주에서 방귀를 뀌면 앞으로 나아갈까

 

방귀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어떤 두 개의 물체가 있을 때
A라는 물체가 B라는 물체에 힘을 주면
B라는 물체 역시 A에게 같은 크기의 힘을 주게 됩니다

이것을 작용 반작용의 법칙이라고 합니다

작용 반작용의 법칙은 힘이 작용하는 곳이라면
어디든 존재합니다

 

https://youtu.be/Er5UMyJ4xKc

 

 


예를 들어 로켓이 발사되는 이유는
고온, 고압의 가스가 분사되는 작용과
분사된 가스가 로켓을 미는 반작용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때 반작용을 추진력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방귀도 로켓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방귀를 뀌면 방귀가 분사되는 작용과
분사된 방귀가 우리를 미는 반작용이 존재합니다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우리는 하루에
10번~20번 정도의 방귀를 뀐다고 합니다


이때 나오는 양은 500~1500ml 정도로
한번 뀔 때 50ml 정도 나온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기체도 질량이 있습니다
하지만 방귀의 경우 양이 아주 적기 때문에 질량도 아주 작습니다

가스가 로켓을 미는 반작용으로 로켓은 발사되지만
방귀가 우리를 미는 반작용으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우리의 질량에 비해 방귀의 질량이 아주 작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방귀를 뀌는 것으론 추진력을 얻을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우주에서 방귀를 뀌면 어떨까요

우주는 중력도 거의 존재하지 않고
진공에 가깝기 때문에 마찰도 없어
작은 힘으로도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물론 우주에서는 우주복을 입어야 하지만
이번에는 방귀를 우주로 배출해야 하니
우주복이 없어도 안전하다고 가정을 해봅시다


캐나다의 우주인 크리스 해드필드는 동료들과 함께
우주에서 방귀를 뀌면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를 실험해 봤는데
방귀의 힘이 너무 약해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합니다

방귀는 꾸불꾸불한 장을 통해 배출되고
항문은 엉덩이에 가로막혀 있어
강하게 분사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베르누이의 정리에 따르면 액체나 기체는
좁은 통로를 지날 때 속도가 빨라집니다

이것은 방귀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통로가 좁아지는 노즐을 만들어
항문에 꼽고 방귀를 뀌면
방귀로부터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럴 경우 1분에 2.5mm를 갈 수 있고
한 시간에 15cm
하루에 3.6m를 갈 수 있다고 합니다

지구에서 달까지 약 38만 5000km 떨어져 있다고 하니
방귀를 뀌어서 달까지 가려면
29만 3000년이 필요합니다


물론 방귀를 뀌면 뀔수록 가속도가 붙기 때문에
이것보다 더 빠르게 도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콩은 방귀를 많이 만드는 음식이라고 합니다

만약 우주에 나가게 된다면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콩을 많이 먹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