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눈사람에게 옷을 입히면 눈사람은 좋아할까 싫어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눈사람에 옷을 입히면 좋아할까 싫어할까

 

눈사람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겨울에 눈이 오면 눈사람을 만드는 일을 안할수가 없습니다

귀엽게 모양도 만들고
눈코입도 붙여주고
마지막으로 옷을 입혀주면 나만의 눈사람이 완성됩니다

그런데 눈사람이 추울 것 같아서 옷을 입혀줬는데
옷을 입히면 더워서 녹아버리니까 오히려 싫어하는 거 아니야?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눈사람에게 옷을 입히면
눈사람은 좋아할까요 싫어할까요
https://youtu.be/6dHgGKOUMFU

 


구름에 있는 수증기가 점점 무거워져 아래로 떨어지게 되면
우리는 그것을 비라고 부릅니다

그런데 이때 온도가 낮아 얼어있는 상태로 떨어지면
그것을 눈이라고 부르죠

결국 눈은 물이 얼어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눈으로 만든 눈사람은
주변 온도가 0도 이상이 되면 녹기 시작합니다


또 햇빛을 받으면 열이 직접적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눈사람이 녹게 되죠

날씨가 추워지면 두꺼운 옷을 입거나
옷을 더 껴입게 됩니다

옷은 열을 만들지 못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옷을 입으면 따뜻함 느끼는 이유는


우리 몸에서 만들어지는 열을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게 붙잡아 주고

외부에 존재하는 냉기가 몸에 닿지 않게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영하의 날씨가 아닐 때
눈사람을 만들고 그냥 두면
눈사람보다 주변의 온도가 훨씬 높기 때문에
열을 전달받아 눈사람은 서서히 녹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이때 눈사람에게 옷을 입힌다면
옷은 반대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눈사람이 방출하는 냉기를 바깥으로 나가지 못하게 붙잡아줍니다

그리고 외부에 존재하는 열이 눈사람에 닿지 않게 막아주고
햇빛이 직접적으로 닿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즉 눈사람이 옷을 입으면 계속 차가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옷을 입지 않은 눈사람보다
옷을 입은 눈사람이 더 천천히 녹게 된다는 것입니다

우리에게 옷은 추위를 막아주는 물건이지만
눈사람에게 옷은 계속 추울 수 있게 해주는 물건인 것이죠

그러니 눈사람을 더 오래 보고 싶다면
옷을 입혀주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난자의 이야기 탄생부터 죽음까지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난자의 이야기


난자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여자와 남자의 가장 큰 차이라고 한다면
여자는 난소를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난소에서는 여성호르몬이 만들어집니다
여성호르몬은 가슴과 자궁에 영향을 주고
생식기관을 발달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https://youtu.be/SWSg14VZ-i8

 


또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데 가장 핵심이 되는
난자가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난소에는 난원세포라고 불리는 줄기세포가 있는데
난원세포가 세포분열을 하다 보면
상동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난모세포로 바뀌게 됩니다


이때 일종의 영양분이라고 할 수 있는
난황을 함께 가지게 됩니다

이것을 제1차 난모세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런 과정은 여자가 태아 상태일 때부터 진행되는 것이며
태어났을 때 이미 제1차 난모세포를 200만 개 정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남자는 정자가 되는 정모세포가 끊임없이 만들어지지만
여자는 태어난 이후에는 난자가 되는 난모세포가 만들어지지 않습니다

난모세포는 사춘기 이후부터 감수분열을 하는데
이때는 난모세포가 30만 개로 줄어있는 상태입니다


하나의 제1차 난모세포는 감수분열을 해
대부분의 물질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제2차 난모세포와
소량의 물질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제1차 극체로 바뀌게 되고

한 번 더 감수분열을 해 하나의 제2차 난모세포는
하나의 난세포와 하나의 제2차 극체로
하나의 제1차 극체는 두 개의 제2차 극체로 바뀌게 됩니다


여기서 난세포가 이후에 난자로 바뀌게 되며
세 개의 제2차 극체는 시간이 지난 뒤 사라지게 됩니다

난자의 가운데에는 염색체가 들어 있는 핵이 있습니다
핵을 세포질이 감싸고 있는데
세포질에는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미토콘드리아와
영양물질인 난황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 세포질을 난황막이 감싸고 있습니다


난자의 가장 바깥쪽에는 난자를 보호하는 투명대가 있는데
이후에 정자가 뚫어야 하는 난자 벽이 바로 투명대입니다

난자의 크기는 200um 정도 된다고 합니다
정자의 머리가 4um 정도 된다고 하니
이것과 비교하면 굉장히 큰 크기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사람이 가지고 있는 세포 중 가장 커다란 세포가
바로 난자입니다


난소에서 만들어진 난자는 난포에 머물고 있다가
사람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한 달에 한 번 주기로
난포가 터지며 난소에서 나팔관으로
나팔관에서 자궁으로 이동합니다

이것을 배란이라고 하죠


난자와 정자가 만나는 것을 수정이라고 하며
수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수정란이 만들어집니다
만들어진 수정란은 자궁내막에 붙게 되는데
이것을 착상이라고 합니다

배란은 수정을 위한 다시 말해 정자와 만나기 위한
사전 동작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혹시 모를 수정과 착상을 대비해 자궁내막이 두꺼워지게 됩니다



배란된 난자는 하루 정도 생존할 수 있습니다
만약 이때 정자와 만나지 못하면
두꺼워진 자궁내막이 벗겨지고
벗겨진 자궁내막과 함께 난자가 몸 밖으로 배출되는데
이것을 월경이라고 합니다

월경 이후 난소는 다시 새로운 생명을 탄생시키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해
새로운 난자를 만들어내는데
여자는 평균적으로 400번 정도의 배란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정자의 이야기 탄생부터 죽음까지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정자의 이야기

 

정자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남자와 여자의 가장 큰 차이라고 한다면
남자는 고환을 가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고환에서는 남성호르몬이 만들어집니다
남성호르몬은 근육과 뼈를 크게 만들고
생식기관을 발달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또 새로운 생명체를 만드는데 가장 핵심이 되는
정자가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https://youtu.be/7WxAoq_E2aA

 


고환에는 정원세포라고 불리는 줄기세포가 있는데
정원세포가 세포분열을 하다 보면
상동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정모세포로 바뀌게 됩니다

이것을 제1차 정모세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하나의 제1차 정모세포는 이후에 감수분열을 해
두 개의 제2차 정모세포로 바뀌게 되고


한 번 더 감수분열을 해 X 염색체 혹은 Y 염색체를 가지고 있는
4개의 정자세포로 바뀌게 됩니다

바로 이 정자세포가 이후에 정자로 바뀌게 되는데
이러는 과정에서 꼬리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정원세포가 정자로 바뀌는 과정을
정자 생산이라고 합니다



정자는 크게 머리, 중편, 꼬리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가장 앞부분을 머리라고 하는데
머리에는 염색체가 들어있는 핵이 있습니다

정자의 머리는 첨체라는 기관이 감싸고 있는데
첨체는 머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과 함께
이후에 정자가 난자를 만났을 때
난자의 벽을 뚫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머리 뒤에 있는 것은 중편입니다

중편에는 미토콘드리아가 있는데
미토콘드리아는 정자가 움직일 수 있도록 에너지를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이 에너지를 아데노신 삼인산, ATP라고 합니다

꼬리는 만들어진 에너지를 이용해 정자가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해줍니다

이처럼 정자는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몸 밖으로 배출되기 전까지 스스로 움직이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정자의 머리는 4um 정도 되고 길이는 50um 정도 된다고 합니다
머리카락의 지름이 50um 정도 된다고 하니
이것과 비교해 보면 굉장히 작은 크기라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정자는 올챙이와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꼬리를 좌우로 흔들며 앞으로 나아간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한쪽으로만 흔들며 나선형으로 나아간다고 합니다


고환에서 만들어진 정자는 정관의 팽대부에 머물고 있다가
남자가 성적 흥분을 느끼면 전립선을 타고 이동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이것을 사정이라고 하죠

남자가 한번 사정을 할 때 배출되는 정자의 양은
2억 5천만 개 정도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중에는 정상적인 정자만 있는 것이 아니라
머리가 두 개거나 꼬리가 두 개인 기형 정자도 있습니다

기형 정자는 다른 남자의 정자를 죽이거나
난자 벽을 뚫으며 정상 정자가 난자와 만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합니다



정자가 여자의 자궁에 있을 때는 3일 정도 생존할 수 있지만
몸 밖에 있다면 한 시간 정도 살다가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그리고 다시 새로운 생명을 탄생시키기 위한 준비를 하기 위해
남자의 고환에서 새로운 정자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