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사람도 냄새를 맡아서 범인을 잡을 수 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냄새로 범인을 잡을 수 있을까

 

 

우리가 코로 냄새를 맡으면
냄새 분자는 콧속에 있는 후각 수용체를 자극합니다
후각 수용체는 이것을 전기 신호로 바꿔 대뇌로 전달합니다
뇌가 신호를 받으면 냄새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죠

시각 정보와 청각 정보는
대뇌로 전달되기 전 간뇌에 있는 시상하부를 거쳐갑니다


하지만 후각 정보는 곧바로 대뇌로 전달되는데
이때 감정을 담당하는 편도체와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를 지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냄새를 맡으면
그때 느꼈던 감정, 그때 경험했던 기억이 저장됩니다

 


그리고 이후에 다시 그 냄새를 맡게 되면
편도체와 해마가 반응해
그때 느꼈던 감정, 그때 경험했던 기억이 다시 떠오르게 되죠

길을 가다 과거에 맡았던 냄새를 맡는 순간
그 냄새와 관련된 추억이 떠오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레이첼 헤르츠는
2004년 냄새와 기억에 관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녀는 실험 참가자들에게 사진을 보여주며 특정한 냄새를 맡게 했습니다
이후에 사진을 다시 떠올리도록 했는데
그때 그 냄새를 맡게 해주자
사진을 더 잘 떠올렸다고 합니다

 


이때 mri를 통해 뇌 사진을 찍어봤는데
냄새를 맡는 동안 편도체와 해마가 활성화됐다고 합니다

이 실험으로 냄새를 맡으면
그와 관련된 기억이 떠오를 수 있다는 것이 증명되었습니다


1913년부터 출간된 마르셀 프루스트의 책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는
주인공이 과자의 냄새를 맡다 어린 시절을 회상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이 당시엔 냄새와 기억 간의 관계가 밝혀지지 않았음에도
관련된 내용을 썼기 때문에 그의 이름을 따
냄새를 맡으면 기억이 나는 현상을 프루스트 현상이라고 불렀습니다



냄새를 맡으면 기억이 떠오르는 이유는 생존과 관련이 있다고 합니다
위험한 음식을 먹을 때 나는 냄새
위험한 동물을 만났을 때 나는 냄새를 기억하고

같은 냄새를 맡았을 때 위험했던 상황을 떠올려
빠르게 행동하는 것이 생존에 유리했기 때문에
그렇게 진화했다는 것이죠


만약 내가 범죄 현장에 있었고 결정적인 무언가를 목격했는데
그때 특정한 냄새를 맡았다면
프루스트 현상 때문에 당시 맡았던 그 냄새를 다시 맡는 것으로
목격한 것을 떠올릴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스웨덴의 심리학자 마츠 올슨은 
사람이 냄새를 맡아 범인을 찾아낼 수 있을지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폭력적인 영상을 보여주면서 한 사람의 몸에서 나는 냄새를 맡게 했죠

 


그리고 다섯 명의 냄새를 맡게 한 뒤 누가 범인일지 물어봤는데
실험 참가자들은 70%의 적중률을 보였다고 합니다

냄새를 맡으면 기억이 떠오르는 것과 함께
냄새 그 자체를 기억해 범인을 찾아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죠

이후에 중립적인 영상을 보여주고 냄새를 맡게 한 뒤
역시 누가 범인일지 물어봤는데
자극적인 영상보다 적중률이 떨어졌다고 합니다


다른 기억과 마찬가지로 냄새 역시
강렬한 자극을 받았을 때 더 쉽게 기억에 남다는 것을 뜻합니다

마츠 올슨은 사람의 후각 능력이
범인을 찾거나 증거를 모으는 데 도움이 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하지만 냄새라는 것이 주변 환경에 따라 쉽게 바뀌기도 하고
그때 그 냄새를 완벽하게 재연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냄새를 기억하거나 냄새를 맡아 기억을 떠올리는 것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이후에 과학이 많이 발달해 냄새를 완벽하게 재연할 수 있게 되면
후각은 중요한 증거자료가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손가락으로 귀를 막으면 나는 소리는 도대체 뭘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무슨 소리가 들리는 걸까

우리는 귀가 있기 때문에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끔 듣기 싫은 소리가 있을 때
손가락으로 귀를 막곤 합니다

그런데 손가락으로 귀를 막으면

우우우웅 하는 뭔지 알 수 없는 낮은 음을 가진 소리가 들립니다
마치 지구가 날 부르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데

도대체 이 소리는 무엇일까요



근육은 온몸에 퍼져있으며 우리가 움직이는데 도움을 줍니다

근육은 근육 섬유 다발로 구성되어 있고
근육 섬유 다발은 근육 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근육 섬유는 근육 원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근육 원섬유는 단백질 결합체인
마이오신 필라멘트와 액틴 필라멘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이오신 필라멘트가 액틴 필라멘트에 닿아
액틴 필라멘트를 이동시키면 이들 간의 간격이 좁아지는데
이것을 근수축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마이오신 필라멘트가 떨어져 액틴 필라멘트가
원래 위치로 돌아가면 간격이 다시 넓어지는데
이것을 근이완이라고 하죠



어딘가에서 소리가 나면 소리가 공기를 진동시키고
진동이 우리의 귀에 들어오면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즉 소리란 진동이라는 것입니다

근육이 움직여 모양이 바뀌면 작은 진동이 만들어집니다
이 진동이 우리의 귀에 들어오면 우리는 근육이 내는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이런 소리를 근육음이라고 말하기도 하죠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소리의 범위는 20Hz~20000Hz입니다
이것을 가청음파라고 합니다

근육음은 근육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20Hz 혹은 20Hz 이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일부의 근육이 내는 소리를 들을 수 있지만
이들이 내는 소리는 아주 작아
아무리 조용한 곳에 있다고 해도 그냥은 들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손가락으로 귀를 막으면
근육이 귀와 가까워지고
근육이 내는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됩니다

즉 손가락으로 귀를 막았을 때 들리는 소리는
근육이 내는 소리인 것입니다

이어폰을 끼거나 귀마개를 꼈을 땐
이런 소리가 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육음은 1600년대 처음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800년대 다리에서 나는 근육음을 실제로 측정하기도 했고
1809년 영국의 물리학자이자 화학자인
윌리엄 하이드 울러스턴에 의해 널리 알려졌습니다

최근에는 근육음이 몸속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장기 이식을 하면 정말 기억도 옮겨질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장기를 옮기면 기억도 옮겨진다고?

매일매일 아프지 않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다면 너무 좋겠지만
다치거나 병에 걸려 한 번씩은 아프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도 현대 의학은 굉장히 많이 발달되어 있어서
다치거나 아파도 약을 먹거나 수술을 하면
건강한 상태로 다시 돌아올 수 있습니다

몸속에 있는 장기가 아픈 경우 수술의 난이도가 올라갑니다
만약 수술을 해도 장기가 회복될 가능성이 없다면
다른 사람의 장기를 빌려오는 장기 이식 수술을 해야 합니다

그런데 장기 이식을 하면 장기를 기증해 준 사람의
성격이나 말투, 입맛 심지어 기억까지 옮겨온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것은 실제로 가능한 일일까요?

https://youtu.be/Lzz4fujEux0

1988년 클레어 실비아는 심장 이식 수술을 받았습니다
실비아는 맥주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았지만
수술 이후 이상하게 맥주가 땡겨 자주 마시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녀는 수술 전 단 한 번도 치킨 너겟을 먹은적이 없었지만
수술 이후에 치킨 너겟을 참을 수 없게 되어
난생처음으로 치킨 너겟을 먹었다고 합니다

 


여기서 놀라운 사실은 실비아에게 심장을 기증해 준 사람은
평소 맥주와 치킨 너겟을 자주 먹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장기 이식을 하면 기증자의 특징이
수혜자에게 옮겨온다는 대표적인 사례 중 하나입니다



미국의 신경 심리학자 폴 피어셀과 게리 슈왈츠는
2002년 장기 이식을 받은 사람이 이식 수술 후
기증자와 비슷하게 변화하는 것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심장 이식을 받은 47세 남성은 이식 수술 이후
클래식 음악에 빠지게 되었습니다

기증자는 17살 남성이었는데 클래식 음악을 굉장히 좋아했고
바이올린을 들고 수업을 받으러 가던 중 사망해 장기를 기증했다고 합니다

 


심장 이식을 받은 29살의 여성은 고기를 즐겨 먹는 사람이었지만
이식 수술 이후 고기 냄새만 맡아도 심장이 뛰고 역겨움이 느껴졌다고 합니다

기증자는 19살 여성이었는데
그녀는 채식주의자였다고 합니다

심장 이식을 받은 9살 소년은 원래 물을 좋아했지만
이식 수술 이후 물을 무서워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기증자는 수영장에서 익사한 3살 소녀였습니다

심장 이식을 받은 56세 남성은
가끔씩 번쩍이는 빛이 보이는 부작용을 경험했습니다

기증자는 34살 남성으로 총에 맞아 사망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총을 얼굴 바로 앞에서 맞았기 때문에
그가 마지막으로 본 것은 번쩍이는 빛이었을 것입니다


이처럼 장기 이식을 받은 수혜자를 연구해 본 결과
기증자와 수혜자 간 2개~5개의 유사점이 발견되었습니다

폴 피어셀과 게리 슈왈츠는
우리의 기억이 뇌에만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세포에도 저장된다고 주장합니다

이것을 세포 기억설, 셀룰러 메모리라고 합니다

 


장기를 이식하면 세포도 옮겨집니다
세포에는 기억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기증자가 경험한 것들이 수혜자에게 옮겨져

싫어하던 음식을 좋아하게 되거나
경험하지 않은 것을 기억하게 된다는 것이죠

USB를 이용해 전혀 다른 컴퓨터에 데이터를 옮기는 것과
같은 원리인 것입니다


하지만 학계에서는 이것을 인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기억이 정말 세포에도 저장되는지 저장된다면 어떤 원리로 저장되는지
저장된 기억이 어떻게 뇌와 동기화되는지
아직 밝혀내지 못했기 때문이죠

폴 피어셀과 게리 슈왈츠의 연구 결과가 발표됐음에도
여전히 기억은 뇌에만 저장된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수혜자들은 이식 수술 이후
기증자처럼 변화한 것일까요

이식 수술을 받았다는 것은
이식을 하지 않으면 다른 방법으론 가망이 없었다는 것을 뜻합니다

만약 기증자가 나타나지 않았다면
그대로 사망하게 됐을지도 모릅니다

즉 수혜자들은 죽음의 문턱에서 다시 돌아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입니다


이런 경험이 있다면 누구라도 심경의 변화가 생길 것입니다
그동안 하지 않았던 것을 도전해 보거나
먹지 않았던 음식이 먹고 싶어지는 것이
그리 이상한 일은 아니라는 것이죠

수혜자가 기증자처럼 변한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특징 중 몇개가 우연히 겹친 것인데
하필 장기 기증을 받았기 때문에
이것 때문에 그런 거 아니야? 하며 의미 부여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세포 기억설을 완전히 부정할 수는 없습니다
앞에서도 말했던 것처럼 아직 완벽하게 밝혀내지 못했기 때문이죠

어쩌면 미래에 세포 기억설이 사실로 밝혀져
장기 이식을 하면 기억도 옮겨진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질지도 모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