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태양계와 같은 수의 행성을 가진 외계 태양계의 발견

- 케플러-90(kepler-90) -




우리는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에서 얼마나 더 살 수 있을까요

물론 그것을 고민하는 것은 아주 먼 미래의 일이겠지만

인류가 영원히 존재하기 위해선

우리의 자손들에게 더 좋은 환경을 만들어주기 위해서


혹시 내가 환생했을 때 더 좋은 환경에서 살기 위해서

지금의 우리는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에서 살 수 없는지를 계속 연구하고 있습니다


지구의 자원은 한정적이기 때문인데요

이 광활한 우주에 지구 이외에 다른 곳에서는 생물이 살 수 없을까요?

개인적으로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분명 우주 어딘가 다른 생물이 살고 있을 것이고(외계인이라고 불리는 그 어떤 생물)

그들도 우리와 비슷한 고민을 하고 있을 것 같습니다




미 항공우주국 나사는 케플러 우주 망원경이 보내온 자료를

구글 머신러닝으로 분석해 케플러-90이라는 별 주위에서

8번째 외계 행성을 발견했다고 말했습니다


케플러-90는 우리 태양계와 같은 수의 행성을 가진 태양계입니다



과거엔 수금지화목토천해명 으로 많이 외웠지만

명왕성이 태양계에서 퇴출된 것은 제법 오래전 일이죠?


그래서 우리의 태양계는 지금 8개의 행성이 존재합니다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


케플러-90의 행성은

지금 우리가 부르는 수성, 금성처럼 딱 떨어지는 이름은 없지만

그들도 각각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에 발견한 8번째 행성은 케플러-90i(kepler-90i)라는 이름을 붙였는데요



사진에서 보믄 것 처럼 케플러-90i는 나중에 발견 되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보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의 순서에서 약간 어긋나죠


한가지 특이한 점이 있다면 우리 태양계의 행성은 크기가 제각각인데

케플러의 경우 멀리 떨어질수록 커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네요


케플러-90i는 지구에서 2545광년 떨어져있는데요

케플러-90 항성(케플러-90의 태양)을 14.4일에 한 번씩 도는 뜨거운 암석 행성입니다


지구는 태양을 365일에 한번씩 돌고있는데

이것과 비교해 본다면 태양과 얼마나 가깝게 붙어있는지를 알 수 있죠


그곳에 가면 2주에 한번씩 나이를 먹게 되겠네요


어쨌든 태양에 너무 가깝게 붙어있기 때문에

표면 온도가 너무 높아 생명체가 살기에는 온도가 너무 높습니다



케플러가 보내온 데이터에는 3만 5천개의 신호가 들어있는데

이것은 모두 외계 행성에 관한 데이터라고 합니다


케플러-90i가 태양에 너무 가까워 생명체가 살 수 없지만

케플러가 보내온 또다른 데이터를 분석하면

그것보다 훨씬 더 멀리 떨어진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가진 행성을 발견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영원히 살 수만 있다면 영원한 삶을 택해

미래에 어떤 우주로 나가는지 보고싶네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그 많던 검정색 영수증은 어디로? 갑자기 등장한 파란색 영수증

- 나중엔 빨간색 영수증, 초록색 영수증도 가능할까? -




물건을 사고 받는 영수증

습관적으로 영수증은 버려주세요 하는 분들은

아직까지 눈치채지 못했을 수도 있지만


영수증을 잘 받는 분들이라면 영수증 색이 어느순간 바뀌었다는 것을 느끼고 있죠





심지어 최근에는 SNS를 통해 파란색 영수증을 인증하는 것이

유행이라고 하니 새로운 것에 대한 인기를 실감할 수 있는 순간입니다


일반적으로 영수증이라고 하면

흰색 종이에 검은색 글씨가 쓰여있는 것을 떠올리기 마련인데

우리는 왜 영수증을 그렇게 알고 있는 것일까요?



이유는 단순합니다

검은색 글씨가 흰색 종이에 썼을 때 가장 잘 보이기 때문이죠


그런데 왜 갑자기 파란색 영수증을 쓰게 된 것일까요?




영수증은 감열지라고 불리는 특수 종이를 사용하는데요

이것은 종이에 염료가 들어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정 부분에 열을 가하면

열을 가한 부분만 글씨가 써지는 아주 신기한 종이죠



감열지에 들어가는 염료는 80%가 중국에서 만들어집니다

우리나라는 염료를 100%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데요


2017년 10월 중국은 환경규제 정책을 강화했습니다

그 결과 많은 염료 공장들이 문을 닫게 되었죠



공장이 문을 닫자 검은색 염료의 생산량은 턱없이 부족해졌고

가격은 상승했죠


그래서 검은색 염료의 대체자를 찾게 된 것입니다


검은색 다음으로 재고가 많았던 염료는 파란색 염료입니다

재고가 많다는 것은 그많큼 싼 값에 살 수 있다는 것이죠



요즘에는 많이 쓰이지 않지만

종이에 힘을 가해 글씨를 쓰면 뒷면에 글씨가 남는 감압지에 들어가는 염료가 파란색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비교적 싼 값인 파란색 염료를 수입해오기 시작했고

그것을 영수증에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결과 파란색 영수증이 탄생한 것이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2030년에 생길 수도 있는 미래의 직업 6가지




디지털 마케팅 업체 아카(AKQA)와 사우디아라비아의 미스크 재단의 미스크 글로벌 포럼 합동팀이

2030년까지 출현 할 수 있는 새로운 직업을 그림으로 표현해 공개했습니다



폐기물 재활용 기사입니다


재활용 기술 발전에 따라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한 신종 직업입니다

사실 그림으로 보면 저런 기계를 인간이 타고 다니면서

재로운 물건을 만들어낸다고?

생각이 드는데요


실제로 저런 기계를 타지는 않더라도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직업이

나올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지구의 자원은 한정적이다보니 서서히 다른곳으로 눈을 돌려야 하는데

쓰레기를 그냥 버리고 썩혀두기엔 너무 아까우니

쓰레기를 재활용 해서 어떤 것을 만들어낸다거나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면

그것으로 엄청난 이득을 보는 것이겠죠


옛날부터 생각했던 것이긴 한데

점점 실현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니 신기하네요


아주 어렸을 땐 자동차 안에 쓰레기를 넣으면 그것을 태우거나 뭐 어떻게 에너지로 바꿔서

기름을 넣지 않고도 자동차를 움직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그땐 말도 안되는 생각이었지만 어쩌면 미래엔 그렇게 될 수도 있겠네요



국가유산 보존사입니다


나라의 주요 건축물을 입체적으로 스캐닝해 디지털 기록물로 영구히 보존하는 일을 하는 사람입니다

충분히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이것은 굉장히 중요한 작업이죠

한 나라의 역사를 볼 수 있는 건물이 붕괴해버리면

역사가 통째로 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먼 미래가 아닌 가까운 미래에 꼭 나왔으면 하는 직업입니다


이크라에선 이슬람 국가에 의해 사라질 위협에 처해 있는

바빌론 유적을 레이저를 이용해 3차원 디지털 영상으로 남기는 작업이 진행되기도 했습니다


동그란 기계가 레이저를 쏘는 것을 보니

영화 에일리언이 생각나네요



블록체인 뱅킹 엔지니어입니다


블록체인 기술 인프라를 확장해 사람들이 세계 어느곳에서든 안전하게 은행 업무를 볼 수 있게 하는 직업입니다


뭐 이것은 먼 미래가 아니라 가까운 미래에 나올 수 있는 직업이라 생각됩니다

미래의 직업 6가지 중에서 가장 실현도도 높은 것 같구요

실제로 지금 블록체인을 이용해서 자율 주행 자동차같은 여러가지 기술을 발전시키고 있죠


블록체인 하면 가장 핫했던 비트코인을 먼저 떠올릴 수도 있는데

블록체인 기술은 코인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니까요



건축 프린팅 기사입니다


3D 프린터를 이용해 건축물을 만드는 사람입니다


과거에만 하더라도 3D 프린터 하면 아주 간단한 도형이나 섬세하지 못한 피규어같은 것들을 만들어내곤 했는데

이제 그 기술이 발전해서 더 대단한 것들을 만들어내고 있죠


실제로 미국의 MIT 대학에선 3D 프린터를 개발해 단층 건축물을 만드는 시연을 하기도 했습니다



공공기술 윤리 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새로운 기술들이 나타나면서 그것이 정말 안전한 것인지

악의적으로 사용되진 않는지 판단하는 직업입니다


갑자기 짠 하고 등장하기 보단

기술이 점점 발전하면서 그것을 통제하기 위한 사람들이 생겨나고

그러면서 직업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원격로봇 외과의사입니다


외딴 섬이나 먼 거리에 있는 환자들을 로봇을 통해 원격으로 진찰해주는 의사입니다


그림으로 그려서 로봇이 정말 대단하게 표현되었지만

사실 진찰만 한다고 생각했을 땐 지금도 충분히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맥박이나 심장박동, 카메라를 이용해 눈, 피부, 뼈 이런 것들을 보고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단하는 시스템은

지금의 기술력으로도 만들어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스마트폰이 들어오면서 3g 시대가 시작됐고 LTE를 넘어 이제는 5g가 자리를 잡고 있는 만큼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는 물건들이 점점 더 많아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2016년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린 세계경제포럼에서는

초등학생의 65% 현재 존재하지 않는 직업에서 일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고 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제가 초등학생일 때를 생각해보면

꿈을 적는 란에 공무원, 선생님, 과학자 같은 약간은 진부한 직업을 적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면 이런 직업 이외에도 수많은 직업들이 존재하니까요


특히 컴퓨터, 인터넷, SNS같은 완전히 새로운 것들이 등장하면서

돈을 벌 수 있는 수단이 바뀌었고

미래에도 그렇게 되지 말라는 법이 없으니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