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ㄱ은 기역인데 ㅋ은 왜 키읔이라고 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키읔 아니고 키옄이 맞는 거 아님?

 

키읔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재미있는 한글놀이 해봅시다
화면에 보이는 한글 자음의 이름을 소리 내서 읽으면 됩니다

기역, 니은, 디귿, 리을, 미음, 비읍, 시옷
이응,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

한글 자음은 쌍자음을 제외하면 총 14개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8DDlEMMsjU

 


이들의 이름에는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법칙이 있습니다
먼저 초성에 해당 자음을 쓰고 ㅣ를 쓰고
그다음에 ㅡ를 쓰고 종성에 해당 자음을 쓰는 것이죠

이응, 지읒, 치읓처럼 말이죠

그런데 ㄱ, ㄷ, ㅅ은 조금 다릅니다
기윽이라고 하지 않고 기역이라고 하고
디읃이라고 하지 않고 디귿이라고 하고
시읏이라고 하지 않고 시옷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할 거면 ㅋ도 키옄이라고 하고
ㅌ도 티긑이라고 했으면 되는 거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도대체 왜 ㄱ, ㄷ, ㅅ만 이름이 다른 식으로 붙여진 것일까요
https://youtu.be/A8DDlEMMsjU

 


세종대왕이 한글을 처음 만들고
이것을 백성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훈민정음을 만들었습니다

훈민정음이 한글로 번역된 훈민정음 언해본을 보면
한글 자음과 모음을 설명하는 부분이 있는데

ㄱ은 어떤 것인지 ㄴ은 어떤 것인지 나와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ㄱ을 기역이라고 읽어야 한다고 나와있지는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 당시에는 ㄱ을 기역이라고 읽지 않고
가라고 하거나 기라고 하지 않았을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1527년 어문학자 최세진은 한자를 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한글 그러니까 훈민정음으로 한자를 공부할 수 있는 책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훈몽자회입니다


훈몽자회에는 한글 자음과 모음이 어떤 식으로 활용되는지도 나와있는데
자음을 초성, 종성에 쓸 수 있는 8개와
초성에만 쓸 수 있는 나머지 8개로 나누어 설명했습니다

이때 초성, 종성에 쓸 수 있는 자음은 ㅣ와 ㅡ를 합쳐 예시를 들었고
초성에만 쓸 수 있는 자음은 ㅣ에만 합쳐 예시를 들었습니다



그 결과 기윽, 니은, 디읃, 리을, 미음, 비읍, 시읏, 이응
키, 티, 피, 지, 치, 시, 이, 히라는 예시가 탄생하게 되었죠

하지만 이것을 한자로 옮기려고 하니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ㄱ의 윽, ㄷ의 읃, ㅅ의 읏을 나타낼 수 있는 한자가 없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별수 없이 ㄱ은 기역으로 ㄷ은 디귿으로 ㅅ은 시옷으로
비슷한 발음을 가진 한자로 바꿔 예시를 들었습니다

이후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한글 자음과 모음의 이름을 정해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발표했습니다
이때 최세진의 훈몽자회를 참고하게 되었는데


ㄱ은 기역이라고 ㄷ은 디귿이라고 ㅅ은 시옷이라고 나와있었기 때문에
이것을 그대로 가져와 한글 자음의 이름을 정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같은 법칙을 적용해
지, 치, 키, 티, 피, 히 라고 쓰여 있던 자음의 이름을
지읒, 치읓, 키읔, 티읕, 피읖, 히읗으로 정했습니다


즉 표현할 수 있는 한자가 없어 다른 식으로 예시를 든 것이
지금의 이름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ㄱ, ㄷ, ㅅ의 이름이 조금 다른 것이죠



북한 역시 한글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북한은 분단 이후 1954년 철자법을 새롭게 제정했는데

이때 ㄱ을 기윽으로 ㄷ을 디읃으로 ㅅ을 시읏으로
같은 법칙이 적용되도록 바꿨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닥터피시는 진짜 각질을 먹어 피부를 깨끗하게 해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닥터피시 선생님 시술 들어갑니다


닥터피시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튀르키예나 이란, 이라크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강이나 호수에 살고 있는 이 물고기의 이름은
가라루파입니다

가라루파는 40도가 넘는 온천에서 살기도 하는데
1900년대 초 튀르키예에서 가라루파가 있는 온천에 몸을 담그고 나면
피부가 좋아진다는 것을 발견한 뒤부터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지게 되었습니다

가라루파는 사람의 피부를 뜯어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주로 죽은 피부, 즉 각질을 뜯어 먹어 피부를 깨끗하게 해주고
지혈이나 치료 효과가 있는 타액을 발라
각종 피부병을 치료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도 합니다

그래서 가라루파를 닥터피시라고 부르기도 하죠
https://youtu.be/MQ6W0loFWKY

 


닥터피시는 조류나 바위처럼 단단한 곳에 붙어 물속에서 생활하는
부착생물을 주로 먹고사는데
이빨이 없기 때문에 이것을 뜯어먹는 것이 아니라
쪽 빨아먹는 식으로 먹는다고 합니다

그런데 닥터피시가 살고 있는 곳은 온도가 높아
물고기뿐만 아니라 다른 생물이 살기에 좋은 환경이 아닙니다

그래서 먹을 것이 풍족하지만은 않죠


이런 상태에서 사람이 들어오면 닥터피시는 이것을 먹을 것으로 생각하고
사람의 피부를 쪽 빨아먹게 되죠

사실 닥터피시는 건강한 피부와
각질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은 없습니다

건강한 피부에 비해 각질은 쉽게 떨어지기 때문에
그냥 다가와 쪽 빨았더니 각질이 떨어져 나온 것일 뿐이죠


즉 닥터피시는 각질을 먹어 우리의 피부를 깨끗하게 해주는 것이 아니라
그냥 먹었는데 그것이 각질이었던 것입니다

게다가 닥터피시가 피부를 치료해 준다는 이야기도
과학적으로 증명된 것이 아니라고 합니다

 



각질은 죽은 피부이긴 하지만
외부 자극으로부터 건강한 피부를 지키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닥터피시 치료를 받을 경우 각질이 모두 사라져
오히려 외부 자극에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또 닥터피시를 키우고 있는 어항이나 수조가
깨끗하리란 보장이 없기 때문에

닥터피시를 체험하는 정도라면 모를까
치료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좋은 선택이 아니라고 합니다


과거 우리나라에서도 닥터피시가 유행했던 적이 있는데
사실 이때 사용된 물고기는 닥터피시가 아니라
이른바 테무 닥터피시
중국에서 데려온 친친어였다고 합니다

친친어는 닥터피시와 다르게 이빨이 있기 때문에
각질뿐만 아니라 건강한 피부까지 뜯어먹을 수 있는 물고기입니다


심지어 피부를 잘 뜯어먹게 하기 위해
이들을 굶기는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결국 우리나라에서 있었던 닥터피시 치료는
사기로 밝혀져 유행이 끝나버리게 되었습니다



닥터피시는 키우는 것이 어렵기도 하고
애초에 수출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제는 쉽게 체험할 수 없지만

튀르키예에서는 여전히 닥터피시를 체험할 수 있는 곳이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비행기는 왜 하늘에서 그 비싼 연료를 버리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하늘에서 연료 버리기

퓨얼 덤핑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비행기가 하늘을 날기 위해선 연료가 필요합니다
비행기는 등유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연료를 사용하는데
이것을 항공유라고 부릅니다

점보비행기라고도 불리는 B747에 연료를 가득 채우면
216,000리터 정도 된다고 합니다
이것은 중형 승용차 3천 대 이상을 채울 수 있는 양입니다

중형 승용차는 1시간에 7리터 정도를 소모하는데
B747의 경우 1시간에 12,000리터를 소모한다고 합니다

 

https://youtu.be/7Lyhpwck7Is

 


자동차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의 양인데
B747에 들어가는 최대 연료 216,000리터를 돈으로 환산하면
약 1.5억 원 정도 됩니다

이처럼 비행기에 들어가는 기름값은 굉장한 수준인데
놀랍게도 이런 연료를 이렇게 비싼 연료를
하늘에서 버리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도대체 왜 연료를 버리는 것일까요



B747의 무게는 180t 정도 되고
여기에 승객이나 짐, 연료까지 채워지면
이륙할 때 중량은 400t 정도 된다고 합니다

비행기는 이륙할 때는 큰 무리가 없지만
착륙할 때는 바퀴가 이런 무게를 견뎌내야 합니다


바퀴가 버틸 수 있는 무게 이상이 되면
착륙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무게를 조절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는 무게를 Maximum Landing Weight
최대 착륙 중량이라고 합니다


사실 비행기가 이륙할 때는
최대 착륙 중량보다 훨씬 더 무거운 상태입니다

그럼에도 우리가 탄 비행기가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는 이유는
비행을 하면 연료가 소모돼 무게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비행기에 연료를 채울 땐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양과
만일의 상황에 대비할 수 있을 만큼의 양을 계산해 채웁니다

이러면 목적지까지 갔을 때 최대 착륙 중량보다 가벼워져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행은 언제나 예상한 대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비행기가 갑자기 고장이 나거나
날씨 때문에 목적지까지 갈 수 없거나
어떤 사람을 빨리 치료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목적지까지 가지 않고 근처에 있는 공항에 착륙하게 되는데
이러면 연료 소모가 예상한 것만큼 되지 않아
비행기가 무거워 착륙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착륙하기 전 무게를 줄이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무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연료를 버리는 것 밖에 없으니
하늘에서 연료를 버리는 것입니다


물론 연료는 굉장히 비싸지만
하늘에서 연료를 버려 낭비되는 돈보다
무리하게 착륙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비행기의 고장이나
비행기에 탄 사람의 안전상 문제가 훨씬 더 크기 때문에
이런 선택을 하는 것입니다

이처럼 하늘에서 연료를 버리는 행위를
퓨얼 덤핑 혹은 퓨얼 제티슨이라고 합니다



비행기의 연료는 날개 쪽에 보관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료를 버릴 수 있는 노즐 역시 날개 쪽에 있죠

비행기의 사진이나 영상을 보면
날개 쪽에서 뭔가가 분사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퓨얼 덤핑을 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렇게 하늘에서 연료를 뿌리면
연료가 지상으로 내려와 피해를 줄 수 있는 거 아니야?
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퓨얼 덤핑은 고도가 높은 곳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지상에 닿기 전에 모두 증발된다고 합니다

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항 근처에 덤핑을 할 수 있는 구역을 만들어 놓는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