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가 몰랐던 동전 던지기의 진실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충격적인 동전 던지기의 진실

 

어떤 순서를 정하거나
무언가 의사 결정을 할 때
동전 던지기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실제로 최초의 동력 비행에 성공한 라이트 형제는
누가 먼저 비행기에 탈 것인가를 동전 던지기로 정했고

https://youtu.be/7lDwk5jL3KU


아이스크림 가게인 배스킨 라빈스의 설립자인
배스킨과 라빈스는 누구의 이름이 먼저 올 것인가를
동전 던지기로 정했습니다

동전 던지기는 공식적인 자리에서도 많이 사용되는데
축구에서 승부차기를 하는 경우
누가 먼저 찰 것인가를 동전 던지기로 정하고


2015년 캐나다에서는 주의원 선거에서 동률이 나오자
누가 당선자가 될 것인가를 동전 던지기로 정했다고 합니다

이처럼 동전 던지기는 앞이 나오느냐 뒤가 나오느냐
단 두 가지 경우의 수
50:50의 확률이기 때문에
공정한 결정을 해야 할 때 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그런데 사실 동전 던지기는 50:50의 확률
반반의 확률이 아닙니다

동전은 앞면과 뒷면이 정해져 있습니다
우리나라 동전의 경우 100원은 이순신이 앞면, 숫자가 뒷면이고
500원은 학이 앞면, 숫자가 뒷면입니다


우리나라 동전은 구리와 니켈로 만들어지는데
어느 쪽에 얼마나 더 많은 재료를 썼느냐에 따라
무게가 달라지게 됩니다

동전을 던지면 무거운 쪽이 아래로 갈 확률이 높으니
완벽히 50:50이라고 할 수 없죠

그래서 공식적인 자리에서 사용하는 경우
앞면과 뒷면의 무게를 똑같이 만들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에도 동전 던지기의 확률은 50:50이 아닙니다



미국 스탠퍼드 대학교 교수인 퍼시 디아코니스는
동전 던지기를 할 때 위로 올려놓은 면과 같은 면이 나올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난다고 말했습니다

앞면을 위로하고 던지면 앞면이 더 많이 나오고
뒷면을 위로하고 던지면 뒷면이 더 많이 나온다는 것이죠

동전 던지기는 보통 엄지 손에 동전을 올려놓고
엄지 손을 튕겨 동전을 던지는 식으로 진행합니다


던져진 동전은 마구 회전하며 올라갔다 내려오는데
이때 동전의 중앙에서 완벽하게 같은 힘을 주고 튕길 수 없기 때문에
동전의 회전축이 흔들리게 됩니다

이것을 세차운동이라고 하는데
디아코니스의 말에 따르면 세차운동 때문에
동전 던지기를 할 때 위로 올려놓은 면이
공중에서 더 많은 시간 동안 떠있게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위로 올려놓은 면이 나올 확률이 더 높아지는데
이 확률은 51:49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프란티셰크 바르토스 연구팀은
디아코니스의 동전 던지기 이론을 증명해 보기 위해
동전 던지기를 35만 757번 진행했는데

던질 때와 같은 면이 나올 확률이 50.8%나 됐다고 합니다

디아코니스의 이론이 증명된 순간이었죠

즉 동전 던지기는 정확하게 50:50이 나오는
공평한 게임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물론 엄청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아니지만
중요한 순간 내가 한쪽을 골라야 한다면
위로 올려놓은 면을 고르는 것이
당첨 확률을 높이는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만약 라빈스가 이것을 알았다면
어쩌면 배스킨 라빈스는
라빈스 배스킨이 되었을지도 모르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같은 동전이지만 발행 연도에 따라 가격 차이가 나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저금통 털어서 1998년 500원 나오면 200만원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현금은 대표적으로
100원, 500원, 1000원, 5000원, 10,000원, 50,000원이 있습니다

이것들은 각각 숫자가 쓰여있는 만큼의 가치
100원은 100원, 500원은 500원, 1000원은 1000원의 가치를 지니고 있죠

하지만 일부 동전은
그냥 사용하지 않고 되팔 경우
동전이 가지고 있는 가치보다
훨씬 더 큰돈을 받을 수 있기도 합니다

이것은 동전에 쓰여있는 연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특정 연도에 제작된 동전의 경우 200만 원에 팔리기도 한다고 합니다

똑같은 가치를 지닌 동전인데
이렇게 연도에 따라 가격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여러 가지 동전 중에서 가장 높은 가치로 평가받고 있는 동전은
1998년에 발행된 500원짜리입니다

500원은 1982년부터 동전으로 만들어졌으며
그전에는 이순신과 거북선이 그려진 지폐로 사용되었습니다

돈은 한국은행이 한국조폐공사에 의뢰를 하면
한국조폐공사에서 만들게 되는데

현재 유통되고 있는 양을 고려해 만들기 때문에
만들어지는 양이 매년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500원 동전이 처음 만들어진 1982년에는 1500만 개가 만들어졌고
1983년에는 6400만 개, 1984년에는 7000만 개가 만들어졌습니다

이처럼 500원짜리 동전은 매년 1000만 개 이상 만들어졌죠

하지만 1998년에는 상황이 조금 달라졌습니다



1997년 우리나라에서는 이른바 IMF라고 불리는
외환 위기가 있었는데

이때는 나라가 가진 돈이 없어 부도 위기에 처하자
국민들이 힘을 합쳐 위기를 극복할 수 있게 도와줬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금 모으기 운동과 동전 모으기 운동 같은 것들이죠

 


원래 한국은행은 1998년 500원 동전을 5600만 개 만들려고 했지만
동전 모으기 운동으로 500원짜리 동전이 은행에 많이 쌓이게 되었고
유통 가능한 동전이 많이 있으니 굳이 만들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해
고작 8000개만 만들게 되었습니다

즉 같은 동전이지만 1998년 500원이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는 이유는
동전이 한정판이기 때문인 것입니다


게다가 이때 만들어진 동전은 유통시키기 위한 동전이 아니라
해외 홍보용으로 제작된 것인데
이것을 민트세트라고 부릅니다

1998년 500원 동전은 민트세트이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가지는 것은 더욱 어려웠고
이런 이유로 동전 하나가 200만 원까지 올라가는 상황이 되어버린 것이죠

동전 수집가들에게 있어 1998년 500원 동전은
끝판왕과 같은 존재인 것입니다



이와 같은 이유로 1987년 500원 동전
1981년, 1970년 100원 동전
1977년, 1972년 50원 동전
1981년 10원 동전 같은 것들이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이것보다 더 높은 가치를 지닌 동전이 있기도 합니다

사용을 위해 제작된 동전이 아니라
수집을 목적으로 특수 가공 처리한 동전을 프루프 세트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프루프 세트를 1982년 처음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이것 역시 해외 홍보용으로 2000개만 만들었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가질 수 없어 그 가치가 많이 올라가
초 S급 세트의 경우 3000만 원에 거래되고 있기도 합니다

그냥 돈으로 사용하면 666원인데 팔면 3000만 원!

 


물론 프루프 세트가 저금통에 들어있진 않겠지만
1998년 동전을 찾기 위해서라도
지금 당장 저금통을 확인해보는 것이 어떨까요

같은 연도에 만들어진 동전이라고 해도
상태에 따라 가격은 달라지겠지만
오늘 이후로 동전이 생기면
연도부터 확인하게 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