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산 중턱에 있는 연못에는 어떻게 물고기가 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어떻게 산 중턱에 물고기가 살고 있을까


산중턱 연못에 대해 생각해 본 적 있나요

산을 올라가다 보면 중턱에 작은 연못이나
호수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곳에 물고기들이 살고 있기도 하죠

https://youtu.be/xXbnrY0Jr0U

 

 

별로 이상한 건 아닌데?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합니다

바다나 강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것 같은데
물고기가 살고 있기 때문이죠

물고기가 물 밖을 나와 뚜벅뚜벅 걸어
등산을 해서 공기 좋고 물 맑은 이곳으로 온 것 같진 않은데
도대체 어떻게 여기에 물고기가 살고 있는 것일까요


산 중턱에 있는 연못에 물고기가 살고 있는 이유에 대해선
아직 정확히 알려진 것은 없고
몇 가지 가설만 존재할 뿐입니다

천둥, 번개와 함께 강한 비바람을 동반하기도 하는 토네이도는
우리나라에서 용오름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물 위에서 만들어지는 경우
그곳에 살고 있는 물고기가 토네이도에 휩쓸려
전혀 다른 곳으로 이동하는 일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2021년 텍사스에서 토네이도에 휩쓸린 물고기가
마을에 떨어지는 일이 있기도 했습니다

일부의 전문가들은 산 중턱 연못에 물고기가 있는 이유는
바로 이 토네이도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토네이도가 만들어질 때 물고기가 물 밖으로 나와
아주 우연히 연못에 떨어지게 됐다는 것이죠

물론 이것에 대한 근거는 없습니다



비가 많이 내려 물이 넘치게 되면
산 중턱에 있는 연못과 아래에 있는 연못이 연결되기도 합니다

일부의 전문가들은 바로 이때
아래에 있는 연못에 살고 있는 물고기가
물을 거슬러 올라간 것이라고 말합니다

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그 힘든 길을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는 경우가 있을까 싶기도 합니다



일부의 전문가들은 산 중턱 연못에 물고기가 살고 있는 이유는
새가 옮겼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새가 다른 연못이나 호수에서 물고기를 잡아먹을 때
물고기의 알을 같이 먹기도 합니다

이후에 사냥을 끝낸 새가 이동을 하다 똥을 쌌는데
그 똥에 알이 섞여서 나왔고
그 알이 마침 또 산 중턱에 있는 연못에 떨어져
그곳에서 물고기가 부화하게 됐다는 것이죠



헝가리의 생태학 전문가 아담 로바스 키스는
새가 물고기의 알을 먹은 뒤
부화시킬 수 있을까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는 청둥오리에게 잉어와 붕어의 알 각각 500개씩을 먹였고
이후에 청둥오리의 똥에서 소화되지 않은
잉어의 알 8개, 붕어의 알 10개를 발견했습니다


그리고 이 알을 수족관에 넣어 부화시켜봤는데
18개의 알 중에서 한 마리의 잉어와
두 마리의 붕어가 부화했습니다

즉 실제로 새가 물고기의 알을 먹고
연못에 똥을 쌌는데 그 똥에 알이 섞여 있었고
이후에 연못에서 물고기가 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1000개의 알에서 3마리가 부화한 것이라면 확률이 너무 낮은데?
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물고기가 한번 알을 낳을 때 수만 개에서 수십만 개를 낳는데다
청둥오리 말고도 다른 새가 알을 먹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생각보다 가능성은 꽤 높은 것이죠

이렇게 말하면 조금 이상할 수 있지만
정리하자면 산 중턱에 있는 연못에 물고기가 있는 이유는
새가 물고기를 낳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물고기는 떼로 몰려다니는데 서로 부딪히지 않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물고기도 어깨.. 아가미빵을 당할까

길을 가다 마주 오는 사람과 어깨가 부딪히면
우리는 흔히 어깨빵을 당했다고 표현합니다

좁은 길에선 의도하지 않아도
서로 부딪힐 수밖에 없고

사람이 많은 곳에선 부딪히는 것 때문에
넘어지거나 다치는 사례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깊은 바닷속에 사는 물고기들 중에는
몇백 마리씩 무리를 지어 움직이는 녀석들도 있습니다

이렇게 움직이다 보면 서로 부딪혀
어깨빵.. 아니 아가미빵을 당하는 경우도 있을 것 같은데
물고기는 서로 부딪히지 않는 것일까요




물고기는 가지고 있는 두 개의 눈으로 앞을 보지만
이들의 시력은 그리 좋지 못합니다

시력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청새치의 시력은 0.5 정도고
농어의 시력은 0.1 정도밖에 안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가까운 곳은 볼 수 있지만
먼 곳은 잘 보지 못합니다

 


특히나 바다 깊은 곳으로 가면 빛이 들어오지 않아
앞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심해어들의 시력은 거의 없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물고기 몸 측면에는 점선 같은 것이 있는데
이것을 측선 혹은 옆줄이라고 합니다

옆줄은 머리 부분부터 꼬리 부분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한쪽에 하나씩 두 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옆줄은 물고기가 가지고 있는 감각기관중 하나로
물의 온도, 물 흐름의 방향, 물 흐름의 속도
물의 진동을 느끼는 역할을 합니다

옆줄은 젤리 같은 물질이 감싸고 있는데
이곳에는 감각세포와 지지세포가 있습니다




만약 무언가가 물고기 근처로 다가오면
그 무언가가 물고기에 다다르기 전에
물의 진동이 물고기에게 먼저 닿게 됩니다

진동이 젤리에 전달되면 감각세포가 이것을 감지하고
지지세포는 감지한 신호를 뇌로 보냅니다

그럼 물고기는 물의 흐름이 바뀌었다는 것을 알게 되고
그 무언가와 부딪히지 않게
방향을 바꾸거나 더 빠르게 혹은 느리게 헤엄을 칩니다


그래서 이들은 떼로 몰려다녀도
부딪히거나 아가미빵을 당할 일이 없습니다

옆줄 덕분에 서로 속도를 맞추고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뿐만 아니라 바위에 부딪히지 않게 도와주기도 하며
포식자가 나타났을 때 빠르게 알아차려
도망갈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1976년에는 덮개로 눈을 가린 물고기와 옆줄을 제거한 물고기를
무리에서 떨어트려놓는 실험을 진행했는데

눈을 가린 물고기는 앞이 안 보였음에도 무리에 잘 합류했지만
옆줄이 제거된 물고기는 무리에 합류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즉 옆줄은 물고기에게 있어
눈보다 더 중요한 감각기관인 것입니다

때로는 피할 공간이 충분히 있었음에도
일부러 어깨빵을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물고기들도 서로 부딪히지 않게 노력하는데
어쩌면 이들은 물고기보다 못한 사람들일지도 모르겠네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물고기의 눈은 옆에 있는데 어떻게 앞을 보는 것일까

 

은근한 잡다한 지식(은잡지)에는 여러분들의 뇌를 채워줄 지식, 정보 영상들이 많이 있습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앞이 보이는 걸까?

물론 신체 기관중에서 중요하지 않은 기관은 없지만

눈은 정말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 보이지 않으면

무슨 행동을 하든 두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이런 두려움을 이겨낸

시각 장애인들을 보면 정말 대단하다고 느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어쩌면 앞을 볼 수 없다는 것보다 더 두려운 일은 없을수도 있겠네요

 

 

사람은 정면을 보고 있는 두개의 눈이 있습니다

그런 덕분에 입체감을 느낄 수 있고 거리감도 느낄 수 있습니다

 

눈을 한쪽 감은 상태에서 물건을 집으려고 하면

잘 되지 않는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이죠

 

눈이 없다면 다가오는 위험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언제나 위험할 수 밖에 없습니다

 

상당히 많은 생물이 두개의 눈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고기 역시 두개의 눈을 가지고 있죠

 

하지만 이들의 눈은 사람처럼 정면을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얼굴 옆에 달려 있어 각기 다른 곳을 보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앞을 바라보지 않으니 앞을 볼 수 없을 것 같기도 한데

물속을 자유롭게 헤엄치는 걸 보면

앞을 볼 수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물고기는 어떻게 앞을 보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은 물고기도 있지만

상당히 많은 종류의 물고기의 눈은 옆에 달려 있습니다

그래서 앞을 볼 수 없을 것 같지만

 

이들의 눈은 조금 튀어나와있는 덕분에

앞을 볼 수 있습니다

 

심지어 사람보다 더 넓은 시야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람의 눈은 정면을 바라보고 있기 때문에

옆이나 뒤를 보기 위해선 몸을 돌려야 합니다

 

눈동자를 돌리는 것으론 한계가 있죠

 

하지만 물고기의 눈은 튀어나와있는 덕분에

몸을 돌리지 않아도 앞, 뒤, 위, 아래를 볼 수 있습니다

 

물고기는 자신의 바로 뒤쪽이 아니라면

모든 곳을 볼 수 있습니다

 

이들의 눈이 이렇게 발달된 이유는 생존 때문이었습니다

 

물고기는 그렇게 강한 생물이 아니기 때문에

자신을 노리는 천적들의 존재를 빨리 파악해야 했습니다

 

물 속은 물론 물 밖의 상황도 중요했죠

 

넓은 시야를 가지고 있다면

멀리서 오는 천적을 빨리 보고 피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먹이를 찾을 때도 도움이 됩니다

 

사람처럼 두개의 눈이 정면을 바라보는 것보다

옆에 달려있는 것이 물고기의 생존확률을 높혀줬기 때문에

이들의 눈은 이렇게 진화한 것이죠

 

물고기의 시력은 그렇게 좋은 편이 아니라고 합니다

정확한 검사를 할 수 없겠지만

0.15정도의 시력을 가지고 있다고 하네요

 

하지만 물고기는 동체시력이 굉장히 좋기 때문에

먹이를 한번 포착하게 되면

빠르게 움직이는 먹이라도 끝까지 쫓아갈 수 있다고 합니다

 

같은 물고기라도 넙치와 가자미처럼 눈이 한쪽에 몰려있는 녀석들도 있습니다

이들의 새끼는 다른 물고기처럼 눈이 양 옆에 붙어있지만

자라면서 점점 한쪽으로 몰린다고 하네요

 

가자미는 오른쪽으로 몰리고

넙치는 왼쪽으로 몰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긴 하지만

이것이 100% 맞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넙치와 가자미는 바닥에서 생활을 하기 때문에

아래쪽은 보지 않고 위쪽만 집중할 수 있도록 되어있습니다

 

이런 물고기의 독특한 시야를 이용해서

어안렌즈를 만들어내기도 했습니다

 

어안렌즈를 통해 세상을 본다면 동그랗게 보인다고 하네요

 

물론 진짜 물고기는 세상을 이렇게 보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우리는 물고기가 될 수 없기 때문이죠

 

하지만 한가지 알 수 있는 사실이 있습니다

이들의 눈이 옆에 있는 이유는 생존에 유리한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