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깜짝 놀랄 때, 무서울 때 왜 엄마야 라고 하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왜 엄마야 라고 하며 놀랄까

기쁠때, 슬플때, 화가날때, 우울할때, 심각할때, 간지러울때, 의심스러울때, 미묘할때

우리는 얼굴 표정을 짓는 것 이외에도

감정을 더 표현하기 위해 감탄사를 내뱉습니다

 

이럴 때 나오는 감탄사는 사람에 따라 제각각이겠죠

 

깜짝 놀랄때, 무서울 때 역시 감탄사가 나오게 되는데

이대는 아마 많은 분들이 엄마야! 라는 말을 사용할 것입니다

 

그런데 엄마야 라는 말은 말 그대로 엄마를 부르는 것인데

왜 이런상황이 되면 엄마를 찾게 되는 것일까요?

 

 

아기는 태어난 순간부터 누군가에 의해 길러직 됩니다

스스로 무언가를 할 수 없기 때문이죠

 

보통 그 대상은 엄마, 아빠, 할머니, 할아버지

혹은 주변의 지인들에 의해서일텐데

그 중에서도 엄마에게 길러지는 경우가 많이 있을 것입니다

 

즉 아기가 태어나서 처음 인간관계를 맺는 대상은

바로 엄마가 된다는 것입니다

 

정신분석 방법중 하나인 대상관계이론에 따르면

이때 엄마와 함께 했던 경험은

아이의 머리속에 남게 되고

 

자라면서 이런 경험에 의해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게 된다고 합니다

 

아이가 태어나서 엄마를 처음 만났을 땐

엄마가 나이고 내가 엄마인 것처럼 느껴진다고 합니다

 

그리고 6개월이 지나야 엄마와 내가 각기 다른 사람이라는 것을 인지하죠

 

이때부터 아이는 본격적으로 바깥세계를 경험하게 되고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켜주는 사람이 언제나 엄마였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배가 고플 때 밥을 주는 사람

심심할 때 놀아주는 사람

도움이 필요할 때 도와주는 사람

 

이 모든 것이 엄마였다는 것을 깨닫고

이후에 같은 상황이 되면 아이는 엄마를 찾게 됩니다

 

이것은 위험한 상황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외험에서 나를 구해주는 사람이 언제나 엄마였다면

이후에 또 위험한 상황이 되면 엄마를 찾게 됩니다

 

시간이 흘러 우이가 많이 자라면

어렸을 때 기억은 사라지겠지만

위험한 상황에서 엄마가 나를 구해줬다는 사실은 머릿속에 남아있습니다

 

마치 본능처럼 말이죠

 

그래서 깜짝 놀라거나 위험한 상황이 되면

늘 그랬던 것처럼 자연스럽게 엄마를 찾게 되는 것입니다

 

이번에도 역시 엄마가 나를 구해줄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죠

 

물론 어린시절 관계를 맺은 대상에 따라

아버지를 찾는 경우도 있고

 

종교에 따라 엄마가 아니라 신을 찾는 경우도 있습니다

 

누군가를 더 의지하느냐에 따라서 다른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