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야생동물도 동족이 죽었을 때 장례식을 치르는 문화가 있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야생동무롲 아례식을 치를까

인간은 영원히 살 수 없기 때문에
누구든 언젠가 죽게 됩니다

죽는 다는 것은 참 슬픈일입니다

특히 가족이나 친척, 지인이 죽었을 때
그 감정은 더 심해지죠

그래서 슬픔을 달래기 위해
죽은 사람을 무사히 보내주기 위해 장례식을 치릅니다

그런데 영원히 살 수 없는 것은
인간 뿐만 아니라 동물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들도 가족이 있을 것이고 친척이나 동료가 있을 것이고
그들만의 사회를 이루고 있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야생동물도 동족이 죽었을 때
장례식을 치르는 문화가 있을까요?



누군가 죽었을 때 시신을 땅에 묻어주는 행위는
네안데르탈인 때부터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장례식이라는 의식은 현생 인류가 탄생하기 전부터
치러졌던 것이죠

네안데르탈인은 약 50만년 전에 존재했는데
동물은 이들보다 훨씬 더 옛날부터 존재했고
문명이 아직 발달되지 않았던 시대에도 장례를 치렀으니
동물들도 장례를 치렀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물론 인간처럼 체계적인 절차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들 나름대로 동족의 죽음에 대해 슬퍼한다는 것입니다


까마귀과에 속하는 어치는 죽은 동족을 발견했을 때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운다고 합니다

다른 이들에게 동족의 죽음을 알리는 것이죠

그럼 다른 어치도 날아와 죽은 어치를 지켜보거나
울면서 애도하는 경우도 있고
이틀동안 먹이를 먹지 않는다고 합니다

 


똑똑한 동물로 알려져 있는 까마귀 역시
동족이 죽으면 주변에 모여 슬퍼하는데
때로는 반짝이는 것들을 가져와
죽은 동족 옆에 두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만약 까마귀가 인간에 의해 죽게 되면
다른 까마귀들은 그 인간의 얼굴을
영원히 기억할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코끼리의 경우 동족이 죽게 되면
잎이나 흙 나뭇 가지를 가져와 죽은 코끼리 위에 덮어주고
주변에서 조용히 있는다고 합니다

 


영국의 야생의 스파이라는 다큐멘터리에서는
원숭이 인형을 가지고 실험을 진행했는데

인형이 나무에서 떨어진 뒤 움직이지 않자
원숭이들은 인형이 죽은 것으로 판단해
주변에 모여들어 애도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합니다

물론 동물들의 이런 행동이 장례를 치르는 것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행동이라고 보는 학자들도 있습니다

죽은 동물 옆에 모여드는 이유는
그 동물이 왜 죽었는지 분석하기 위함이라는 것이죠


특히 어치가 이틀동안 굶는 이유는
무엇을 먹고 죽었는지 모르기 때문에
위험 상황을 차단하기 위해서 그러는 것이다 라는 의견이 있습니다

우리는 동물의 언어를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그들의 행동이 정말 장례를 치르는 것인지 아닌지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동물 역시 슬픔이라는 감정을 느낄 수 있다고 하니
아마 그들 나름대로 누군가의 죽음에 대해
슬퍼하고 있는건 아닐까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파스를 붙이면 어떤 원리로 근육통이 치료되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파스를 붙이면  어떤 원리로 근육통이 치료될까

평소에 전혀 운동을 하지 않다가 갑자기 운동을 하는 경우
혹은 운동을 너무 과도하게 한 경우
좋지 않은 자세로 잠을 잔 경우
긴장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우리는 근육통을 느끼게 됩니다

근육통은 근육에서 느껴지는 통증을 말하는 것으로
한번 발생하게 되면 해당 부위를 움직이거나
자극을 받는 것만으로도 통증이 느껴지게 됩니다

근육통이 생기면 생활하는데 불편하기 때문에
이 통증을 해결하기 위해 파스를 이용합니다

파스를 사용하면 통증이 사라지면서
마치 근육통이 나은 것처럼 느껴지는데
도대체 어떤 원리로 근육통을 치료하는 것일까요?




파스는 바르는 파스, 붙이는 파스, 뿌리는 파스가 있지만
모두 통증과 염증을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근육통에 사용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먹는 진통제는 속쓰림이나 졸음 같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지만
파스의 경우 그 부위만 약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먹는 진통제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피부가 벗겨지거나 물집, 가려움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으니
주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파스는 먹는 진통제와 비슷한 작용을 하게 됩니다

몸을 다치면 몸속에 있는 세포는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을 만들어냅니다
프로스타글란딘은 염증을 만들어내고 통증을 느끼게 합니다

진통제 성분이 몸에 들어가면
진통제가 프로스타글란딘이 만들어지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통증이 느껴지지 않게 됩니다

파스의 원리도 이와 같습니다
파스를 붙이게 되면 해당 부위에 진통제 성분이 들어가면서
통증이 느껴지지 않게 됩니다


근육통이 생기면 가만히 있는 것보다
가볍게 운동을 하거나 마사지를 해주는 것이 좋은데

파스를 붙이게 되면 파스 성분 덕분에 통증이 사라지고
고통 없이 해당 부위를 움직일 수 있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마사지 효과를 받아 근육통이 치료되는 것입니다

즉 파스는 근육통을 직접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통증이 느껴지지 않게 하는 역할인 것입니다


하지만 파스는 피부에 붙이기 때문에
성분이 몸속으로 흡수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파스는 냉파스와 온파스로 나뉘어지며

다친 직후에 붓기를 빼려면 냉파스를
다친 이후에 혈액순환을 하려면 온파스를 붙여야 한다고 하지만

파스를 붙인다고 해서
이런 효과가 눈에 띌 정도로 느껴지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파스를 붙이고 시간이 조금 지나면
해당 부위가 후끈거리거나 시원하게 느껴지는데
이런 느낌 때문에 우리는 파스가 근육통을 치료하고 있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보통 냉파스에는 멘톨이 들어가고
온파스에는 캡사이신이 들어가는데
이런 성분때문에 그렇게 느껴지는 것이지

실제로 파스가 근육통을 치료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파스를 붙이면 근육통이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통증을 다른 통증으로 지워버렸기 때문입니다

몸을 다치면 프로스타글란딘이 신호를 뇌로 보내고
뇌가 신호를 받으면 통증이 느껴집니다

다시 말해 프로스타글란딘이 아무리 신호를 보내도
뇌가 신호를 받지 못하면 통증을 느낄 수 없다는 것이죠

파스를 붙이면 파스에 있는 멘톨, 캡사이신 덕분에 피부에 자극이 가해지고
자극은 뇌로 전달됩니다

뇌는 이것을 처리하느라 프로스타글란딘이 보내는 신호를 받을 수 없게 되고
신호를 받지 못하니 근육통에 의한 통증은 사라지게 됩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근육통은 자연스럽게 회복되고
파스를 뗐을 때 근육통이 느껴지지 않으니
마치 파스가 근육통을 치료한 것처럼 생각하게 되는 것입니다

바르는 파스를 아프지 않은 부위에 발라본다면
오늘 영상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드라이아이스는 차가운데 왜 맨손으로 만지면 화상을 입을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드라이아이스를 만지면 왜 화상을 입을까

여러분은 여러가지 맛을 파는
아이스크림 판매점에 왔습니다

신제품의 맛은 어떤지 먹어보기도 하고
맛있을 것 같은 아이스크림을 골라 직원에게 말했습니다

그리고 집에서 먹기 위해 포장이라고 말했죠

밖은 해가 쨍쨍이라 아이스크림은 금방 녹아버리겠지만
이것을 막기 위해 직원이 드라이아이스를 넣어줬습니다

그런데 참 이상합니다
드라이아이스는 차가운 물건인데
경고 문구를 보면 냉온화상을 입을 수 있으니
맨손으로 만지지 말라고 나와있습니다

드라이아이스를 만지면 왜 화상을 입는 것일까요?

일반적으로 너무 차가운 물건을 만지면 동상을
너무 뜨거운 물건을 만지면 화상을 입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드라이아이스는 높은 압력으로 이산화탄소를 액화시킨 뒤
다시 급격히 팽창시켜 만드는 것으로

1835년 프랑스의 샤를 틸로리에가 처음으로 발견했고
1925년 미국 드라이아이스라는 회사에서 공업적으로 생산하기 시작하면서
고체 이산화탄소는 드라이아이스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차가운 것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얼음인데
얼음의 온도는 0도정도 되지만
드라이아이스의 온도는 -78.5도정도 된다고 합니다

동상에 걸리면 기본적으로 피부가 화끈거리고 고통이 느껴집니다(1도)
조금 더 심하게 걸리면 감각이 사라지고 물집이 생기게 됩니다(2도)
더 심한 동상에 걸리면 피부 감각이 완전히 사라지고
색깔이 점점 청회색으로 변하다가(3도)
근육, 뼈가 얼고 피부는 검은색으로 변하게 됩니다(4도)


뜨거운 것이 피부에 닿을 경우 피부는 화상을 입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피부가 화끈거리고 고통이 느껴집니다(1도)
조금 더 심하게 걸리면 감각이 사라지고 물집이 생기게 됩니다(2도)

동상에 걸렸을 때 처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게 되죠

뜨거운 것을 만지면 뜨겁다고 느끼고
차가운 것을 만지면 차갑다고 느낍니다


하지만 그 정도가 심하다면 뜨겁다, 차갑다라는 느낌보다는
그냥 아프다라는 느낌만 받게 됩니다

우리가 생활을 하면서 동상에 걸리는 일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드라이아이스를 맨손으로 만지게 되면
차가운 온도 때문에 사실 동상에 걸리는 것이지만
차갑다라는 느낌보다는 아프다라는 느낌을 받게 되고

평소 화상에 걸렸을 때와 증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화상에 걸렸다고 착각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드라이아이스 경고 문구를 보면
냉온화상이라는 말도 안되는 단어가 쓰여있는 것이죠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