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우리가 듣는 노래는 왜 대부분 3분~5분 사이일까



하루중 노래는 얼마나 자주 들으시나요?

저는 가끔씩 정적인 상태로 작업을 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많은 시간을 노래와 함께 하는 것 같습니다


노래라는 것은 정말 신기하죠

분명 얼굴도 이름도 모르는 사람이 쓴 노래지만

내가 사랑을 할 땐 모든 사랑 노래가 내 이야기인 것 같고

내가 이별을 할 땐 모든 이별 노래가 내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기쁠때 신나는 노래를 들으면서 기분을 더 업시키고

슬플때 기분을 바꿔줄 노래를 들으면서 멘탈을 다시 잡습니다





과거에는 노래나 음악을 듣기 위해선 직접 연주하는 곳을 찾아가야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듣고 싶은 노래를

언제나, 어디서나, 원하는 만큼 들을 수 있습니다


바로 스마트폰과 스트리밍 서비스 덕분인데요

(최근에 이 서비스의 가격이 오른다고 하죠..)


그런데 우리가 듣는 노래의 대부분은 3분에서 5분정도의 러닝타임을 가지고 있습니다

웬만한 노래는 3분 이상이고

웬만한 노래는 5분 이하입니다

물론 그 3분 이하 5분 이상의 노래도 있긴 하지만 극히 드물죠


왜 이런 시간의 통일성이 나타나는 것일까요?


최근에 북한이 한국과 시간을 통일하더니

노래 시간도 통일된 것일까요?



이 답을 찾기 위해선 190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야합니다

당시에는 노래를 듣기 위해선 LP판을 사용해야했습니다


LP판 레코드판이라고도 하죠

LP판은 당시 음악계 주류 매체로 등극했는데요

LP판의 러닝타임은 3분에서 5분정도가 한계였습니다


물론 더 긴 시간을 녹음할 수 있었지만 그렇게 될 경우 음질 저하가 있어서

함부로 사용하지 않았죠



라디오 역시 음악시간이 한계를 가지는데 일조를 했습니다

당시에는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방법이 많지 않았습니다

라디오는 음악을 듣는데 효용가치가 높은 물건 중 하나였죠


라디오에서 노래가 나오기 위해선 45rpm판에 녹음을 해야하는데

45rpm판도 5분 이내의 노래만 녹음할 수 있었죠


라디오에서 노래가 나오는 것은 굉장히 중요했습니다


라디오에서 나오는 노래를 듣고 많은 사람들이 앨범을 구매했죠

가수가 돈을 벌 수 있는 굉장히 중요한 수단이었습니다


노래는 대중들이 듣지 않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5분 이상의 노래를 만들면 라디오에서 틀 수 없으니

어쩔수 없이 시간을 맞춘 것이죠



물론 이런 제약에 신경쓰지 않고 5분 이상의 노래를 만든 사람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인물이 바로 밥 딜런인데요

그는 싱글 판매나 라디오 방송에 신경쓰지 않고 5분 이상의 노래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그 노래가 바로 Like a rolling stone이라는 노래죠



지금은 이런 기술적인 문제가 모두 해결되었습니다

라디오에선 5분 이상의 노래를 틀 수 있었고

LP판이 아닌 스마트 기기로 아무리 긴 노래도 들을 수 있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3분 이상 5분 이하의 노래가 계속 나오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과거에 계속 3분짜리 노래를 만들었고 그 노래를 계속 들어왔기 때문에

3분짜리 노래에 길들여졌기 때문입니다


역사적으로 우리가 들었던 노래는 3분, 4분짜리 노래가 대부분이었고

그 이상이 되면 지루하게 느끼는 것이죠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떨어진 음식은 3초안에 주워 먹으면 괜찮다는 3초룰 정말 괜찮을까?

- 한국에선 3초룰 외국에선 5초룰 -



음식을 바닥에 떨어트리는 것 만큼 더 큰 재앙이 또 있을까요?

만약 그것이 바로 만들어진 음식이거나

내가 정말 원했던 음식이라면..?


심지어 그것은 씻어먹을 수도 없는 그런 음식이라면?


죄송합니다

더 큰 스트레스를 받기전에 그만해야겠네요


그런데 우리는 보통 이렇게 떨어트린 음식을 3초안에 주워서 먹으면 괜찮다는 마음을 가지고

얼른 주워서 후후 불거나 툭툭 털어서 다시 먹곤 합니다


사실 약간의 찝찝함은 남아있긴 하지만 그것보다 음식을 먹었을 때 오는 그 행복이 더 크기때문에

그냥 먹게되는데요 이런말은 누가먼저 만들어냈을까요

정말 박수를 쳐주고 싶습니다


이런 말 때문에 우리는 합리화를 하면서 떨어진 음식을 먹을 수 있게 되었으니까요

그것이 아니라면 우리는 그냥 땅거지가 되었을 것 같습니다



3초룰이나 5초룰에 대해서 들어본 적이 있나요?

스포츠에 나오는 용어인 것 같지만

우리 일상생활에 자주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3초룰은 떨어진 음식은 3초안에 주워먹으면 괜찮다를 뜻하구요

5초룰은 떨어진 음식은 5초안에 주워먹으면 괜찮다를 뜻합니다


보통 3초룰은 우리나라에서 5초룰은 외국에서 사용합니다

우리나라보다 외국은 더 관대하네요


로마에 가면 로마의 법을 따르라고 했으니 외국에선 떨어진 뒤 5초가 지난뒤 음식을 먹어도 될 것 같습니다


심지어 2014년 영국에선 옥스퍼드 사전에 이 용어가 신조어로 등록되기도 했으니

떨어진 음식에 대한 관대함과 아까움은 사람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생각인 것 같습니다



2003년 질리언 클라크라는 시카고의 한 고등학생은

떨어진 음식에 대한 실험을 했습니다


아무래도 이 학생은 음식을 자주 떨어트리나보네요


실험결과 세균이 음식으로 옮겨가기엔 5초나 3초라는 시간은 굉장히 긴 시간이었습니다

음식은 떨어지자마자 세균이 달라붙기 때문에 5초든 3초든 의미가 없는 것이었습니다


절망하셨나요..?


하지만 절망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바닥의 상태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보통의 바닥이라면

음식에 붙은 세균의 양이 우리 몸에 큰 병을 일으킬 정도로 많지 않기 때문에

떨어진 음식을 주워서 먹어도 큰 탈이 나지 않는다고 합니다


물론 이것은 평소 건강이나 면역체계에 따라서 다르겠죠?


그러니까 우리는 평소에 하던 것 처럼

음식이 떨어지면 후후 불어서, 툭툭 털어서 3초안에 주워서 먹으면

몸에 큰 이상이 생기지 않을 것이라는 이야기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과자나 라면의 포장지 내부는 왜 모두 은색일까?

- 남북 통일에 앞서 포장지 통일? -



과자나 라면은 평소에 얼마나 자주 드시나요?

저는 물론 이런 것보다 과일을 더 좋아하긴 하지만

이 둘이 없는 세상은 상상하고 싶지 않네요



이런 과자나 라면의 공통점은 뭐가 있을까요

물론 가장 큰 공통점은 맛있다는 것이죠


한가지 더 공통점을 찾아봅시다


바로 포장지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는데요

외부의 포장지는 소비자를 유혹하기 위해

어떻게든 화려하고 맛있게 보이려고 애를 썼지만

포장지의 내부는 신경도 안쓰고 회사마사 통일이라도 한 것처럼

모두 은색을 띄고 있습니다



별 생각없이 이런 것들을 먹었는데

지금 돌이켜서 생각해보면

포장지를 뜯었을 때 그 내부는 모두가 은색이었죠


그런데 이 은색의 포장지에는 엄청난 과학의 비밀이 숨어있습니다



과자나 라면은 공기중의 산소를 만나면 눅눅해지고 맛도 떨어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든 산소를 차단해야하죠

먹다 남은 과자를 다시 먹으려고 하면 눅눅한 이유가 바로 이것 때문입니다


이런 과정을 산패라고 하는데요(지방류의 유기물이 산소·열·세균에 의해 분해 또는 산화되는 현상)


포장지는 바로 이런 산패를 막기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죠



과자나 라면의 포장지는 눈으로 보기에 한겹 같지만

실제로는 한겹이 아닙니다


두겹 이상의 포장지를 겹처서 만드는데요

이것을 다층포장재라고 합니다


여러가지 포장재중 산소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포장지는 알루미늄박이라는 포장지입니다



알루미늄박은 산소 분자보다 구조가 작아서

산소를 차단하고 수분과 빛도 차단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자나 라면의 포장지로 쓰이기에 딱인 것이죠



알루미늄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무엇인가요?

바로 알루미늄 쿠킹호일인데요

쿠킹호일의 색은 은색이죠


바로 알루미늄이 은색이기 때문입니다


역시 알루미늄박도 은색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자나 라면의 포장지 내부는 은색을 띄는 것이죠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