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비둘기는 걸어 다니는데 참새는 왜 통통 튀어 다니는 걸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참새는 왜 통통 뛰며 움직일까

비둘기와 참새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비둘기는 인간을 무서워하지 않아
가까이 가도 도망가지 않고

참새는 인간을 무서워 해
조금만 다가가려고 하면 곧바로 도망가버리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비둘기와 참새는 두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땅에서 움직일 땐 큰 차이를 보입니다

비둘기는 인간처럼 한발 한발 내딛으며 걷고
참새는 두 발을 이용해 통통 튀는 식으로 움직입니다

이렇게 움직이면 뭔가 힘들 것 같은데..
두개의 다리가 있음에도 뛰어다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두개의 다리를 이용해 걸어다니는 것을
이족보행이라고 합니다

비둘기, 닭, 오리, 까치같은 새들은
두개의 다리를 이용해 걸어다니기 때문에
이족보행을 한다고 할 수 있죠

이들은 몸에 비해 굉장히 얇은 다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걸어다닐 땐 큰 무리가 없겠지만
뛰어다닐 경우(RUN) 몸의 무게 때문에
다리에 충격이 가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점프를 하게 되면 그 충격은 더 커지게 되겠죠

그래서 이들은 걸어다니는 것입니다

 


참새는 두개의 다리가 있지만
걸어다니는 것이 아니라 뛰어다니기 때문에(JUMP)
보행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참새는 비둘기, 닭, 오리, 까치에 비해 굉장히 가볍습니다

그래서 점프를 해도 다리에 무리가 가지 않습니다



참새의 다리는 아주 짧습니다

짧은 다리를 움직여 걷거나 뛰는 것보다
점프를 하면 더 먼 거리를 빠르게 갈 수 있습니다

이것은 사냥을 할 때 아주 유리하죠

 


땅에 있는 작은 돌이나 나뭇가지는
참새에겐 큰 장애물이 될 수 있습니다

걸어다니면 장애물에 걸려 넘어지겠지만
점프를 하면 장애물을 피할 수 있습니다


참새는 작고 연약합니다
적이 나타나면 빠르게 도망가야 합니다

비행을 하려면 도약이 필요한데
점프를 하며 움직이면 항상 도약을 하는 것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에
위급한 상황이 생겨면 빠르게 비행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들은 걸어다니지 않고
통통 튀며 움직이는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전쟁이 발생했을 때 동원령을 거부하면 어떻게 될까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동원령을 거부하면 어떻게 될까

현재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의 전쟁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생각보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러시아는 현재 동원령까지 선포한 상황입니다

동원령은 전쟁이 발생했을 때
병력이나 물자를 동원하기 위해 나라에서 내리는 명령을 말합니다

동원령이 선포되면 현역 군인이 아닌 사람들도
전쟁에 참여하게 되는데
평범한 일상을 살던 사람들에게는
갑자기 떨어진 날벼락 같은 소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훈련도 아니고 실전이기 때문에
한순간에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꽤 많은 사람들이 전쟁터로 끌려가지 않기 위해
러시아 탈출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만약 우리나라에 전쟁이 발생해 동원령이 선포됐는데
이것을 거부하고 전쟁터에 나가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현역 군인은 아니지만 전쟁이 발생할 때를 대비해
미리 훈련을 시켜두는 조직을 예비역(예비군)이라고 합니다

현역으로 복무할 수 있지만 병력 수급 사정에 따라
현역으로 가지 않은 사람들을 보충역이라고 합니다
공익 근무 요원이나 산업 기능 요원이 여기에 속하죠

전쟁이 발생해 동원령이 선포되면
예비역과 보충역은 동원 소집 인원으로 분류돼
각자 지정된 장소로 간 뒤 전쟁터로 나가야 합니다

 


만약 이것을 거부할 경우 그때부턴 도망자 신세가 되는데
전쟁터로 끌려가는 것보다 도망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원령이 선포됐다는 것은 상황이 심각하다는 것이고
그렇다는 것은 이미 도로, 공항, 항구가 통제됐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국을 탈출하는 것은커녕 이동하는 것도 쉽지 않으니
어딘가에 숨어있어야 하는데
도망자를 찾으러 다니는 헌병, 경찰을 피하는 것과 함께
적군까지 피해야 하기 때문에
동원령을 거부하고 도망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도망치다 잡힌 경우 병역법에 따라 처벌받게 됩니다



동원령에는 예비역과 보충역을 동원하는 인원동원과
식량, 자동차, 전기 같은 것들을 동원하는 물자동원이 있습니다

2014년 까지는 인원동원을 거부하면 4년 6개월 이하의 징역
물자동원을 거부하면 7년 이하의 징역에 처해졌습니다

 


그런데 물자동원에 비해 인원동원의 처벌이 너무 낮다는 이유로
2014년 이후부터는 7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그렇다면 현역 군인의 경우엔 어떨까요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기습 남침으로 시작된 6.25 전쟁

많은 병력이 투입된 만큼(약 100만)
사망자 수도 굉장히 많았던 전쟁이었습니다(약 17만)


6.25 전쟁 때는 군 기강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군인들이 도망가지 못하게 하기 위해
지휘관들에게 즉결처분권을 줬습니다

전쟁터를 벗어나거나 탈영을 시도할 경우
그 자리에서 즉시 사살해도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았죠

하지만 권력이 남용되는 경우도 많았고
병사들의 반발도 컸기 때문에
6.25 전쟁 이후엔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그렇다고 처벌이 아예 없어진 것은 아닙니다

군형법 제30조에 따르면 현역 군인이 적전 지를 이탈한 경우
여기서 적전은 적의 바로 앞을 뜻하는 말로
전투가 한창 벌어지고 있는 곳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곳을 이탈한 경우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게 됩니다
이외의 지역에서 현역 군인이 이탈한 경우엔 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게 됩니다


만약 휴가를 나왔다면 곧바로 복귀해야 합니다
곧바로 복귀하지 않을 경우 자신의 부대가 적전 지라면 사형, 무기 또는 10년 이상
이외의 지역이라면 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하게 됩니다

현재 동원령이 선포된 러시아의 경우
동원령을 거부하면 5년 이하의 징역이었지만
많은 사람들이 거부하자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는 것으로 처벌을 강화했습니다

추가로 전투를 거부하거나
자발적으로 항복하는 경우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하게 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현재 러시아에서는
동원령 반대를 외치는 시위가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망 사용료 내 이야기는 아닐 거라고 생각하나요?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망 사용료가 적용된 지구의 인터넷

최근 인터넷을 하면서 망 사용료라는 단어를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관련된 내용을 찾아보면 ISP라든지 CP라든지
생소한 영어 단어가 보이고
기업들끼리 돈이 왔다 갔다 하는 걸 보니
나와는 관계가 없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
큰 관심을 가지지 않았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영상을 끝까지 보시면
망 사용료 이거 쉽게 넘길 문제는 아닌 것 같은데?
하는 생각이 들 것입니다



과거 미국 국방부에서는 중요한 자료를
하나의 서버에 저장시켜 관리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핵미사일이 서버를 공격하면 어떡하지 하는 의문이 생겼고
1969년 여러 곳에 서버를 설치해 분산 저장하는 방법을 선택해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그리고 이 서버들을 연결해 자료를 관리했는데
이것을 ARPAnet이라고 불렀습니다

이 방법을 응용해 전 세계가 하나로 연결되는 인터넷이 탄생했습니다

 


인터넷은 International Network를 줄인 말로
전 세계를 하나로 묶어주는 그물 정도로 생각하면 됩니다

이 그물을 바로 망(網)이라고 부릅니다

우리가 인터넷을 통해 주고받는
텍스트, 사진, 동영상 같은 것들을 데이터라고 합니다

데이터는 망을 통해 전 세계로 전달되는데
데이터를 전달하는 망의 대부분은 바다 깊은 곳에 있습니다

이것을 해저 케이블이라고 하죠



즉 망 사용료라고 하는 것은 인터넷 사용료
인터넷 요금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인터넷을 사용하려면 사용료를 내야 합니다
이것은 당연합니다
누구에게도 예외가 없죠

우리도 인터넷 사용료 즉 망 사용료를 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정확히 말하면 우리는 망 사용료를 내는 것이 아니라
망 접속료를 내고 있습니다

 


컴퓨터를 이용해 인터넷을 하려면(유선)
통신사가 제공하는 인터넷 요금제에 가입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4만 원에 1Gbps, 3만 원에 500Mbps 요금제가 있다고 해봅시다
여기서 bps는 속도를 뜻하는 것으로
4만 원짜리에 가입하면 1G의 속도로 인터넷을
3만 원짜리에 가입하면 500M의 속도로 인터넷을 쓸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한 달에 한 번 돈을 내면
얼마를 쓰든 추가요금이 없다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무제한 요금제인 것이죠

즉 한 달에 4만 원에 해당하는 접속료만 내면
사용료는 따로 낼 필요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망 접속료를 내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서버에서 데이터가 얼마나 전송되는지를 뜻하는 단어가 트래픽입니다
트래픽이 많다는 것은 데이터가 많이 전송되고 있다는 것
즉 인터넷을 많이 쓴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트래픽이 많아지면 서버에 과부하가 오게 되고
한계를 넘어서면 서버가 다운됩니다
서버가 다운되면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것을 막기 위해선 더 좋은 서버를, 더 좋은 망을 사용해야 합니다

텍스트는 트래픽이 적습니다
사진은 텍스트보다 트래픽이 많습니다
동영상은 사진보다 트래픽이 더 많습니다

 


4만 원짜리 요금제에 가입한 A, B, C라는 고객이 있다고 해봅시다
A는 소설을 주로 봅니다 텍스트 위주죠
B는 웹툰을 주로 봅니다 사진 위주죠
C는 유튜브를 주로 봅니다 동영상 위주죠

C는 트래픽을 많이 먹는 고객입니다
하지만 C에게 추가요금을 내라고 요구하지 않습니다

이것을 망 중립성이라고 합니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이 얼마나 많은 트래픽을 발생시키든 그렇지 않든
모두 동일하게 처리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망 중립성은 관련된 법을 만들어 강제하고 있는 사항은 아니지만
마치 불문율인 것처럼 전 세계가 지키고 있는 규칙입니다



우리라의 통신사 KT, SK(SKB), LG(U+)
이들을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라고 부르는데
ISP는 개인이나 기업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즉 망을 가지고 있는 회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쉽게 통신사라고 부르겠습니다

통신사 입장에서 C는 신경 쓰이는 고객이지만
못 참을 정도는 아니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갈수록 인터넷은 점점 더 빨라졌고
그런 만큼 더 많은 트래픽이 발생하게 됐습니다

어느덧 소설에 그림이 추가되기 시작했고
웹툰에는 애니메이션이
동영상은 4K로 진화했습니다

이제는 A, B, C 모두 신경 쓰이는 고객이 되었죠
통신사의 부담은 점점 더 커지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2016년 칼을 빼어듭니다
불문율처럼 지켜지던 망 중립성을 깨고
사용한 만큼 돈을 내는 방식으로 바꾸었습니다

이것을 상호접속고시라고 합니다

물론 이것은 개인에게 해당되지 않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쪽에게 해당하는 사항입니다



사용한 만큼 돈을 내는 것을 종량제라고 합니다
인터넷은 망 접속료만 내면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었지만

상호접속고시 이후엔 종량제로 바뀌어
많이 사용하면 많이 사용할수록 더 많은 돈을 내게 되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망 사용료입니다

 


콘텐츠를 제공하는 쪽 이것을 CP(Content Provider)라고 부릅니다
네이버, 카카오, 아프리카TV
구글(유튜브), 넷플릭스, 메타(페북, 인스타) 같은 기업들을 CP라고 부르죠
이번 영상에서는 쉽게 기업이라고 부르겠습니다

2016년 상호접속고시 이후 국내 기업들의 부담은 커졌습니다
2016년 네이버는 700억 원을
카카오는 300억 원을 망 사용료로 냈다고 합니다



유튜브 영상,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틱톡까지
우리는 현재 동영상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동영상을 제공하는 기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죠

우리나라에도 동영상을 제공하는 기업이 많이 있었습니다
기억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판도라TV나 엠군이 대표적이죠

심지어 이들은 꽤 잘나가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왜 지금은 보이지 않는 것일까요
사람들이 사이트에 와서 영상을 보면 트래픽이 발생합니다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면 망 사용료를 많이 내야 합니다
네이버나 카카오에 비해 작은 기업이었던 이들은
망 사용료에 대한 부담을 줄이지 못하고 발전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는 사이 구글이라는 기업을 등에 업은
유튜브라는 플랫폼이 우리나라에 들어왔습니다

유튜브뿐만 아니라 넷플릭스, 메타도 들어왔습니다

이들은 모두 외국(미국) 기업입니다
서버의 위치는 각자마다 다릅니다



미국에도 통신사(ISP)가 있습니다
이들은 미국 통신사에 가입해 망 접속료를 내고
그들이 제공하는 망을 이용해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유튜브, 넷플릭스, 메타의 영상을 클릭하면
해저 케이블을 타고 데이터가 전송됩니다
그리고 내가 가입한 통신사의 망을 거쳐 내 컴퓨터로 들어옵니다

이들은 모두 영상을 제공하기 때문에 트래픽 양이 어마어마합니다


2021년 기준 구글(유튜브)은 우리나라 전체 트래픽의 27.1%를
넷플릭스는 7.2%를 메타(페북, 인스타)는 3.5%를 사용했습니다
2020년 세 기업의 트래픽을 합치면 약 34%였지만
2021년엔 약 38%로 올라갔습니다

통신사 입장에서 이들은 돈 한 푼 내지 않으며
트래픽만 잡아먹는 괴물들인 것입니다



그래서 통신사는 외국 기업에게 국내 기업과 마찬가지로
상호접속고시 즉 망 사용료를 낼 것을 요구했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망 사용료는 망 중립성에 위배되는 것으로
오직 우리나라에만 있는 독특한 규칙입니다

하지만 외국 기업은 외국 통신사에 망 접속료를 내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 망 사용료를 내는 것을 거부했고
이것으로 ISP(통신사)와 CP(기업) 간의 망 사용료에 관한 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2020년 넷플릭스와 SK 간의 법정 싸움
2022년 총 7건의 전기통신 사업법 개정안
이른바 망 사용료 법 발의가 대표적입니다



통신사는 외국 기업이 국내 망에 무임승차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런데 사실 그렇게 따지면 국내 기업도 무임승차하고 있는 것은 똑같습니다

외국에서도 네이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에 업로드된 동영상을 볼 수 있죠
하지만 외국 통신사는 네이버에게 망 사용료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그것이 바로 인터넷이기 때문이죠


우리는 유튜브, 넷플릭스, 메타를 이용하기 위해
인터넷에 가입해 돈을 내고 있습니다
기업이 망을 사용했기 때문에 돈을 내야한다고 말합니다
정확히 따지면 우리가 영상을 보기 때문에 트래픽이 발생하는 것이고
그것에 대한 비용은 이미 우리가 지불했습니다


국회에서는 유튜브나 넷플릭스 같은 외국 기업을 견제하고
국내 기업이 클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망 사용료야말로 애국이라는 것이죠

하지만 국내 기업이 죽고 유튜브나 넷플릭스가 성장한 이유는
망 사용료 때문입니다

또 국내 기업과 외국 기업을 차별할 수 없기 때문에
외국 기업이 망 사용료를 내야 한다고 말합니다

차별을 하지 않으려면 망 사용료를 없애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망 사용료 법이 통과되면 어떻게 될까요
법이 만들어졌으니 우리나라에서 사업을 하려면
돈을 낼 수밖에 없습니다

구글, 넷플릭스, 메타는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입니다
손해가 발생하면 다른 곳에서 이득을 챙길 것입니다


이용료가 올라갈 것이고 광고가 더 많아질 것입니다
어쩌면 서비스 품질을 떨어트리는 식으로 운영할지도 모르죠

실제로 개인 방송 플랫폼인 트위치는
최고 화질을 1080에서 720으로 낮추기도 했습니다

그래도 손해가 발생한다면 최악의 경우 한국 시장을 포기할지도 모릅니다

결국 우리들만 손해를 보게 되겠죠

 


또 이것은 아주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습니다
외국의 다른 통신사들 역시 망 사용료를 받으려 할 것이고
그럼 이제 역으로 우리나라의 기업이 손해를 보게 되겠죠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해 해외에 진출하려는 기업은
망 사용료라는 거대한 벽에 막혀 성공하지 못할 것입니다

전 세계를 연결했던 인터넷은 점점 좁아져
하나의 국가만 연결하는 작은 인터넷
아니 인트라넷이 되어버릴 것입니다



망 사용료가 확대되면 개인에게도
인터넷 종량제가 도입될 수 있습니다

사실 과거 전화 연결을 통해 인터넷을 하던 시절
사용한 만큼 요금을 내기도 했었습니다

아무것도 모르고 인터넷을 하다가
요금 폭탄 맞고 등짝 스매싱까지 맞았던 기억이 있는 분들이 계실 것입니다

망 사용료는 그때 그 시절로 돌아가는 법안이라고 표현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입니다
발전이 아니라 퇴화하는 법안이죠


이쯤 되니 망 사용료가 기업에게만 해당되는 내용이 아니라
나에게도 영향이 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드는 것 같나요?

통신사는 망 사용료를 받지 않으면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이들은 과거 와이파이가 나왔을 때도
카카오톡의 보이스톡이 나왔을 때도
자신들이 망할 것이라며 반대했습니다

 


참고로 SKT(무선인터넷)은 2021년 16조의 매출을
SKB(유선인터넷)는 4조의 매출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망 사용료에 관한 내용을 찾다 보니 이런 생각이 듭니다
망 사용료가 통과되면 플랫폼 이용료가 올라갈 것이고
망 사용료가 통과되지 않으면 트래픽을 핑계로
인터넷 요금 올리는 거 아니야?

이거 결국 개인만 손해네?

어쩌면 인터넷 요금을 올릴 명분을 만들기 위해
통과되지 못할 걸 알면서 일부러 이러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