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하지 말라고 하면 하고 싶어지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낙서를 하지 마시오
쓰레기를 버리지 마시오
잔디밭에 들어가지 마시오 처럼
무언가를 하지 말라는 금지 표지판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표지판입니다

그런데 이런 표지판이 있음에도

낙서를 하지 말라는 곳에는 낙서가
쓰레기를 버리지 말라는 곳에는 쓰레기가
잔디밭에 들어가지 말라는 곳에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에 업로드 한 이 영상의 제목 역시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였지만

영상을 보고 있는 분들이 계시죠

사람은 왜 무언가를 하지 말라고 하면 
더 하고 싶어지는 것일까요



미국의 심리학자 페니베이커와 샌더스는
화장실에 낙서를 줄이기 위해
금지 표지판을 붙이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한쪽 화장실에는 절대 이 벽에 낙서를 하지 마시오 라는 강력한 문구를
다른 쪽 화장실에는 낙서 금지 라는 다소 온순한 문구를 적었습니다

그 결과 더 강력한 문구를 적은 화장실에
더 많은 낙서가 있었습니다


자기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통제하고 예측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을
통제감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인간의 기본적인 심리 욕구이며
환경을 통제할 수 없게 되면 스트레스가 증가하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외부에서 이런 통제감을 억제하려고 하면
반발심이 커지게 되면서
적대감을 보이거나 공격 성향을 보이거나
통제감을 회복하려는 열망을 나타냅니다

이것을 리액턴스 효과라고 하죠



부모님이 아이에게 피망을 먹으라고 강요하거나
공부를 하라고 말하거나 청소를 하라고 말하면
아이는 반발심이 생겨 모두 하지 않으려고 하는데
이것이 바로 대표적인 리액턴스 효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인간은 본인의 자유가 통제 당한다고 생각하면
반발하려는 심리를 가지고 있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하지 않으려고 했던 것이라도
하지 말라고 하면 하고 싶어지는 것이고

하려고 했던 것도 하라고 하면
하고 싶지 않아지는 것입니다

또한 리액턴스 효과는 금지문이 강력할수록 더욱 커지기 때문에
절대 이 벽에 낙서를 하지 마시오라고 써놓은 화장실에
더 많은 낙서가 있었던 것이죠


어린아이의 경우 자신의 감정을 잘 통제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리고 왜 하면 안 되는지 잘 모르기 때문에
리액턴스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나지만

정상적인 성인의 경우 하면 안 되는 이유를 알기 때문에
자유를 통제당하더라도 리액턴스 효과가 더 작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그러니 하지 말라는 금지 표지판이 있는데도
그것을 무시하고 한다면
당신은 그냥 철부지 어린이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고양이가 상자를 좋아하는 이유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상자에 환장하는 이유

야생 고양이가 가축화된 것은
신석기시대부터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격적으로 키우기 시작한 것은 약 5천 년 전으로
고대 이집트에서 곡식을 먹는 쥐를 잡기 위함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양이는 개에 비해 조용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항상 그루밍을 하기 때문에 청결하고
무엇보다 귀여운 얼굴을 가지고 있고
귀여운 행동을 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좋아하는 동물입니다

또 높은 곳을 좋아하기도 하며
상자를 아주 좋아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죠

고양이를 위해 물품을 샀더니
물품에는 관심이 없고 상자에만 관심이 있더라 하는 이야기는
고양이 집사분들이라면 모두 공감할 내용일 것입니다

도대체 고양이는 왜 상자를 좋아하는 것일까요




현재 고양이는 대표적인 반려동물로 자리 잡고 있어
인간과 함께 사는 동물
인간에 의해 길러지는 동물로 인식되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야생동물이기 때문에
야생의 습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습니다

야생에서는 언제 위험이 닥칠지 모르기 때문에
몸을 숨길 수 있는 장소를 찾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고양이는 스트레스를 받으면
스트레스의 원인을 직접 해결하려고 하는 것보다
도망치거나 회피하려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고양이가 보기에 상자는 스트레스를 피할 수 있고
몸을 숨길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장소가 되기 때문에
상자를 보면 일단 들어가고 보는 것이죠


실제로 한쪽 집단의 고양이에겐 상자를 제공해 주고
다른 쪽 집단의 고양이에겐 상자를 제공해 주지 않았을 때의
스트레스 수치를 조사해 봤는데

상자를 제공받은 고양이 집단의 스트레스 수치가 더 낮았다고 합니다

고양이는 사방이 막혀있는 비좁은 공간에 들어가도 하는데
이것 역시 일단 숨고 보려는 고양이의 습성 때문인 것입니다



또 고양이는 육식동물이기 때문에
사냥을 통해 먹잇감을 구해야 합니다

사냥을 하려면 은신을 해야 하는데
상자는 은신을 하기에 아주 완벽한 장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상자에 들어가는 것이죠


연구에 따르면 고양이가 가장 쾌적함을 느끼는 온도는 30~36도 정도로
사람이 쾌적함을 느끼는 온도보다 더 높다고 합니다

즉 집은 고양이가 느끼기에 약간 쌀쌀하기 때문에
열 보존이 될 수 있는 아늑한 상자로 들어가는 것입니다

고양이는 자신의 영역 안에서 활동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상자는 누구에게도 방해받지 않는 공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상자를 좋아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정리하자면 고양이에게 있어 상자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기에도 좋고
몸을 피할 수도 있고
사냥을 위해 은신을 할 수도 있고
따뜻함을 유지하면서 휴식을 취할 수도 있는
가장 완벽한 공간이기 때문에
상자를 좋아하는 것이죠

이와 같은 이유로 호랑이나 사자, 표범 같은
고양잇과 동물도 상자를 좋아한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모르는 문제를 찍었을 때 바꾸는 것이 좋을까(몬티홀 딜레마)

 

뇌를 채워줄 은덩어리 지식들 은근한 잡다한 지식입니다

일러스트를 이용해 최대한 쉽고 간단하게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시청 부탁드리겠습니다

유튜브 채널 은근한 잡다한 지식 가기(클릭)

 

시험 문제를 풀다 보면
어김없이 모르는 문제가 나타나곤 합니다

이럴 땐 어쩔 수 없이 찍기를 해야 하는데
찍기는 사람에 따라 다른 방법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나머지 문제를 다 푼 뒤
찍었던 문제를 다시 보면
처음에 찍었던 것이 정답이 아닐 것 같은 느낌이 드는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찍었던 문제의 답을 바꾸면
틀리는 경우가 많다고 해 고민이 되곤 합니다

이럴 땐 도대체 어떻게 해야 더 현명한 판단이 될까요


여러분들의 눈앞에는 세 개의 문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문 뒤에는 하나의 자동차와 두 마리의 염소가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문을 하나만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문 뒤에 있는 상품을 가져갈 수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처음 문을 선택하면
선택한 문을 제외한 나머지 두 개의 문 중에서
염소가 있는 문을 하나만 열어 보여줍니다

이때 처음의 선택을 바꿀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데
여기서 자동차를 얻기 위해선
처음의 선택을 바꾸는 것이 좋을까요
아니면 그대로 가져가는 것이 좋을까요

 



이 문제는 1963년부터 방영된 미국의 티비 쇼
거래를 합시다(Let's Make a Deal)에서 나온 문제입니다

거래를 합시다는 몬티 홀이라는 사람이 진행했다고 해서
이 문제를 몬티 홀 문제 혹은 몬티 홀 딜레마라고 부르곤 합니다


처음 자동차를 선택할 확률은 3분의 1이 됩니다
하지만 선택 이후에 염소가 있는 문을 하나 보여줬으니


나머지 문에는 자동차 하나 염소 한 마리만 남게 돼
선택을 바꿀 기회가 주어진 순간부터는
자동차를 선택할 확률이 2분의 1이 됩니다

바꾸든 바꾸지 않든 50%의 확률로 자동차를 가져가니
어차피 똑같다고 생각해 대부분의 사람들은 바꾸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자동차를 가져갈 확률을 높이기 위해선
선택을 바꿔야 한다고 합니다

 



쉽게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문을 1번 문, 2번 문, 3번 문이라 하겠습니다

먼저 자동차가 1번 문에 있을 때

1번을 선택한다면 2번 문이 열리게 될 것입니다
선택을 바꾸지 않는다면 자동차를 가져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선택을 바꾼다면 자동차를 가져갈 수 없게 됩니다


역시 자동차는 1번 문에 있습니다

2번을 선택한다면 3번 문이 열리게 될 것입니다
선택을 바꾸지 않는다면 자동차를 가져갈 수 없습니다
하지만 선택을 바꾼다면 자동차를 가져갈 수 있게 됩니다

 


이번에도 자동차는 1번 문에 있습니다

3번을 선택한다면 2번 문이 열리게 될 것입니다
선택을 바꾸지 않는다면 자동차를 가져갈 수 없습니다
하지만 선택을 바꾼다면 자동차를 가져갈 수 있게 됩니다

정리해보자면 선택을 바꾸지 않았을 때는
자동차를 가져갈 확률이 3분의 1이 되고
선택을 바꾼다면
자동차를 가져갈 확률이 3분의 2가 됩니다

이것은 자동차가 2번에 있어도 3번에 있어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이런 상황이 발생하는 이유는
처음 선택에서 자동차를 고를 확률보다 염소를 고를 확률이 더 높기 때문입니다

처음에 자동차를 고를 확률은 3분의 1
만약 선택을 바꾸지 않는다면
그대로 3분의 1 확률로 자동차를 가져가게 되지만

처음에 염소를 고를 확률은 3분의 2가 되니
선택을 바꾸면 3분의 2 확률로 자동차를 가져가게 됩니다

 


더 쉬운 이해를 위해 문의 개수를 높여보겠습니다

여러분들의 눈앞에는 총 10개의 문이 있습니다

문 뒤에는 하나의 자동차와 아홉 마리의 염소가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문 하나만 선택할 수 있고
선택이 끝나면 염소가 있는 나머지 8개의 문을 열어줍니다

처음 자동차를 고를 확률은 10분의 1
염소를 고를 확률은 10분의 9가 됩니다

즉 웬만하면 염소를 고르게 될 것이니
선택을 바꿔야 자동차를 가져갈 수 있게 되겠죠



이제 시험 문제로 돌아가 봅시다

5개의 보기 중 정답은 하나 4개는 오답입니다

우리는 웬만하면 오답을 고르게 될 것이니
선택을 바꾼다면 정답을 고를 확률이
안타깝지만 올라가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 나머지 세 개의 보기가 확실히 아닌 것을 알았다면
선택을 바꾸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몬티 홀 문제를 시험 문제에 대입할 수는 없습니다

그럼에도 이것을 이야기한 이유는
처음 선택한 것을 바꾸면 틀린다 라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기 위함이었습니다



미국의 심리학자 저스틴 크루거는
문제의 답을 바꿨을 때와 바꾸지 않았을 때
정답률이 얼마나 차이가 날 것인지에 대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정답을 찍었는데 바꿔서 틀린 경우는 25%
오답을 찍었는데 바꿔서 맞은 경우는 51%로 나왔습니다

나머지는 오답을 찍었는데 바꾼 답도 여전히 오답이었습니다

즉 처음 선택한 것을 바꿨을 때
더 좋은 결과가 나왔다는 것이죠


그런데 왜 우리는 바꾸면 대부분 틀린다고 생각하는 것일까요

저스틴 크루거는 이것에 대해서도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1번 문제는 답을 바꿔서 틀렸고
2번 문제는 답을 바꾸지 않아서 틀렸다 라고 했을 때
어떤 상황이 더 후회스러운지를 물어봤는데


대부분의 참가자들은 바꿔서 틀린 것이 더 후회스럽다고 말했습니다

이것을 최초 직감의 오류라고 말합니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포기할 때 얻는 이득보다
포기할 때 얻는 손실을 더 크게 느끼기 때문에
이런 오류가 발생하게 된다고 합니다

심지어 답을 바꾸는 것이 유리하다는 사실을 알게 된 참가자들조차
답을 바꿨을 때 후회가 더 크게 느껴지기 때문에
답을 바꾸는 것이 꺼려졌다고 합니다

 


그래서 결국 시험 문제를 풀 때
답을 바꾸는 것이 유리한가
바꾸지 않는 것이 유리한가를 말해본다면

답을 바꾸는 것이 더 유리할 순 있습니다

하지만 틀렸을 때 밀려오는 후회에 대해선
보장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